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1)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도서 앰블럼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수도권의 인구분산과 지역활성화를 위한 다지역-순환거주 전략 연구 [전자자료] = A study on the strategies of multiple-circular dwelling for the distribution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population to the local area and the activation of the local economy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21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내용구분
연구자료
형태사항
1 온라인 자료 : PDF
출처
https://www.nrc.re.kr/board.es?mid=a10301000000&bid=0008&mid=a10301000000&bid=0008&nPage=&act=view&list_no=0&otp_id=OTP_0000000000014335&publication_p_cd=RSPX002&keyField=&keyWord=
총서사항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 21-33-02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C 2020-10-1
면수
175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55674819
제어번호
MONO12024000065243
주기사항
주관연구기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협력연구기관: 국토연구원
총괄책임자: 송미령 ; 연구책임자: 양진홍
영어 초록 있음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4

Abstract 5

01. 연구의 개요 15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6

1. 연구의 배경 16

2. 연구의 목적 및 기대효과 18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19

1. 연구 범위 19

2. 연구 방법 20

제3절 선행연구 검토 및 차별성 21

1. 선행연구 검토 21

2. 본 연구의 차별성 22

제4절 연구 체계 24

02. 농촌 인구정책의 현황 및 다지역-순환거주 접근 필요성 25

제1절 지역활성화를 위한 농촌 인구정책의 현황 및 한계 26

1. 농촌 인구정책 및 사업 현황 26

가. 귀농ㆍ귀촌지원 정책 및 사업 26

나. 도ㆍ농교류 정책 및 사업 31

2. 농촌지역의 다양한 거주 유형 및 실태 33

가. 농촌지역 거주의 다양화 33

나. 장기체류형 33

다. 반정주형 35

라. 정주형 37

3. 농촌 인구정책의 한계 38

제2절 다지역-순환거주 접근 필요성 43

1. 여건변화 43

가. 코로나19로 새로운 거주동향 발생 43

나. 노년층은 의료 문제로 완전한 도시 거주 포기 곤란 44

다. 인구감소에 따른 국토공간계획 방향 전환 45

2. 다지역-순환거주 접근의 필요성 47

가. 농촌지역에 새로운 인구정책 도입 필요 47

나.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이용중심의 공간계획 접근 필요 48

03. 다지역-순환거주 해외사례 분석 및 개념 재정립 49

제1절 다지역-순환거주 해외사례 분석 50

1. 일본의 「2지역 거주」 정책사례 50

가. 「2지역 거주」시책 추진배경 및 추진경위 50

나. 「2지역 거주」시책의 제도적 근거 53

다. 「2지역 거주」의 중ㆍ장기 추진전략 및 시책방향 57

라. 「2지역 거주」 시범사업 추진사례 59

2. 영국의 「제2주거」 단지 조성사례 63

가. 영국의 제2주거 관련 제도 및 계획 63

나. 제2주거 단지 조성사례 65

3. 시사점 72

가. 일본 72

나. 영국 74

제2절 다지역-순환거주 개념 재정립 76

1. 국내ㆍ외 유사 개념 및 유형 검토 76

가. 일본 「2지역 거주」 76

나. 영미권 「제2주거」 79

다. 우리나라 「다지역 거주」 81

2. 다지역-순환거주 개념 재정립 84

가. 기존 논의의 통합 필요 84

나. 다지역-순환거주 개념 재정립 85

04. 다지역-순환거주 수요특성 분석 87

제1절 다지역-순환거주 수요조사 개요 88

1. 조사 목적 및 대상자 선정기준 88

2. 조사 방법 및 내용 89

제2절 다지역-순환거주 수요특성 분석결과 90

1. 인구통계학적 특성 90

2. 수요특성 분석결과 98

가. 다지역-순환거주에 대한 의향 등 98

나. 다지역-순환거주 시 선호하는 주거규모 및 사업방식 113

다. 다지역-순환거주 시 정부 및 지자체의 지원사항 129

제3절 결과 종합 및 시사점 130

1. 결과 종합 130

2. 시사점 132

05. 다지역-순환거주 모델 구축과 활성화 전략 133

제1절 기본방향 134

1. 기본방향 134

제2절 다지역-순환거주 모델 구축 135

1. 주요 수요층과 모델의 유형 도출 135

가. 주요 수요층 135

나. 유형 도출 135

2. 유형별 공간 조성 137

가. 여가 중심형 137

나. 교육ㆍ체험 연계형 138

다. 생산ㆍ일자리 연계형 138

라. 휴양 중심형 139

마. 복합형 140

3. 유형별 모델 조성방안 141

제3절 다지역-순환거주 활성화 전략 143

1. 기본목표 143

2. 활성화 전략 144

가. 지역 관계인구 창출ㆍ확대를 위한 기반 마련 144

나. 정책을 소유에서 이용 중심으로의 전환 145

다. 다지역-순환거주 정책 수혜대상 확대를 위한 운영방안 마련 149

라. 제도 정착 및 활성화 지원 152

06. 결론 및 향후 과제 157

제1절 결론 및 향후 과제 158

1. 결론 158

2. 향후 과제 161

참고문헌 162

[부록] 다지역-순환거주 수요 조사 설문지 168

판권기 175

〈표 1-1〉 선행연구 요약 및 본 연구의 차별성 23

〈표 2-1〉 상주시 귀농귀촌 지원 사례 27

〈표 2-2〉 신규마을조성사업의 개요 29

〈표 2-3〉 체류형 농업창업지원센터 지원사업의 개요 30

〈표 2-4〉 도ㆍ농교류 현황 32

〈표 2-5〉 정착 자금 주요 사용처(1순위+2순위) 38

〈표 2-6〉 노인 의료급여 지급 현황 45

〈표 2-7〉 농산어촌 활성화를 위한 제도 도입 48

〈표 3-1〉 「2지역 거주 촉진 협의회」 개요 60

〈표 3-2〉 「2지역 거주」 시범사업 대상지역 및 지역별 시범사업 주제와 핵심 내용 60

〈표 3-3〉 제2주거 인지세 적용(2015년 개정, 잉글랜드) 64

〈표 3-4〉 「2지역 거주」에 관한 국민 관심도 조사결과(2015년) 72

〈표 3-5〉 주택의 위상과 공간적 위치에 따른 멀티해비테이션의 유형 83

〈표 3-6〉 기존 유사개념 84

〈표 4-1〉 다지역-순환거주 수요조사 조사 내용 89

〈표 4-2〉 다지역-순환거주 설문대상자 인구통계학적 특성 90

〈표 4-3〉 현 거주 지역 외 거주 지역 92

〈표 4-4〉 타 지역 거주 이유 93

〈표 4-5〉 현 거주 주택 유형 95

〈표 4-6〉 주택 소유 형태 96

〈표 4-7〉 다지역-순환거주 관심 정도 98

〈표 4-8〉 다지역 순환거주 의향 100

〈표 4-9〉 다지역 순환거주 희망 이유 101

〈표 4-10〉 다지역 순환거주 비희망 이유 103

〈표 4-11〉 다지역 순환거주 시 동거 가족 구성원 104

〈표 4-12〉 다지역 순환거주 희망 지역(1+2+3순위) - (1/2) 105

〈표 4-13〉 다지역 순환거주 희망 지역(1+2+3순위) - (2/2) 106

〈표 4-14〉 다지역 순환거주 희망 입지 유형 108

〈표 4-15〉 다지역 순환거주 지역 선택 시 고려 요인(1+2+3순위) 109

〈표 4-16〉 다지역 순환거주 희망 방문빈도 111

〈표 4-17〉 다지역 순환거주 시 희망 생활 유형(1+2+3순위) 112

〈표 4-18〉 다지역 순환거주 시 선호 주거규모 114

〈표 4-19〉 단독형 희망 주택형태 115

〈표 4-20〉 단독형 희망 주택 소유형태 116

〈표 4-21〉 단독형 적정 주택 구입비용 117

〈표 4-22〉 단지형 희망 규모 119

〈표 4-23〉 단지형 희망 주택형태 120

〈표 4-24〉 단지형 주거 외 필요 서비스 122

〈표 4-25〉 단지형 입지조건 123

〈표 4-26〉 단지형 희망 사업주체 125

〈표 4-27〉 단지형 희망 운영방식 126

〈표 4-28〉 단지형 적정 주택 구입비용 127

〈표 5-1〉 다지역-순환거주 단지형 모델의 유형별 특징 142

[그림 1-1] 연구의 체계 및 흐름도 24

[그림 2-1] 귀농ㆍ귀촌가구 추이 30

[그림 2-2] 장기체류형 뉴스노출정도 33

[그림 2-3] 장기체류를 위한 임대형 숙박시설 사례 34

[그림 2-4] 주말체류형 농장(예시: 양평 수미마을) 35

[그림 2-5] 폐교를 활용한 캠핑장(예시: 횡성 별빛마을 캠핑장) 36

[그림 2-6] 수도권 대 비수도권 인구 비중 38

[그림 2-7] 3,463개 읍면동 기준 지방소멸위험 현황 40

[그림 2-8] 농산어촌인구와 고령화율 추세 41

[그림 2-9] 공유숙박플랫폼(예시: 에어비앤비) 43

[그림 2-10] 코로나19 이후 세컨드홈에 대한 수요조사 44

[그림 2-11] 인구감소에 따른 집약적 국토공간구조 개편 46

[그림 2-12] 한국의 거주인구 분포와 체류인구 분포 46

[그림 3-1] 일본 연령대별 2지역 거주 현황 및 장래 실천 의향 조사 결과(2005년) 50

[그림 3-2] 효고현에서 조사한 이주유형별 농촌이주 희망 비율(2000년) 51

[그림 3-3] 2지역 거주의 범위와 체제형태 54

[그림 3-4] 야마나시현의 2지역 거주 시범사업 개요 61

[그림 3-5] 나가노현의 2지역 거주 시범사업 개요 62

[그림 3-6] St Moritz, UK 66

[그림 3-7] The Lakes, UK 67

[그림 3-8] Westbury Fields Retirement Village(CCRC), UK 70

[그림 3-9] 국토교통성 「2지역 거주」 정의 77

[그림 3-10] 농림수산성의 「2지역 거주」 정의와 유형 78

[그림 3-11] 총무성의 「관계인구」 정의 79

[그림 3-12] 주택의 위상과 공간적 위치에 따른 멀티해비테이션의 유형 82

[그림 3-13] 다지역-순환거주 개념 재정립 86

[그림 3-14] 다지역-순환거주 개념을 적용한 가족생활 예시 86

[그림 4-1] 연령별 농촌으로 이동한 인구 88

[그림 4-2] 타 지역 거주 여부 91

[그림 4-3] 타 지역 거주 이유 93

[그림 4-4] 현 거주 주택 유형 94

[그림 4-5] 주택 소유 형태 96

[그림 4-6] 다지역-순환거주 관심 정도 98

[그림 4-7] 다지역 순환거주 희망 이유 101

[그림 4-8] 다지역 순환거주 비희망 이유 102

[그림 4-9] 다지역 순환거주 희망 지역 105

[그림 4-10] 다지역 순환거주 희망 입지 유형 107

[그림 4-11] 다지역 순환거주 지역 선택 시 고려요인 109

[그림 4-12] 다지역 순환거주 시 희망 방문 빈도 110

[그림 4-13] 다지역 순환거주 시 희망 활동 112

[그림 4-14] 희망 주택 소유형태 및 구입비용 116

[그림 4-15] 단지형 희망 규모 118

[그림 4-16] 단지형 희망 주택형태 120

[그림 4-17] 단지형 주거 외 필요 서비스 121

[그림 4-18] 단지형 입지조건 123

[그림 4-19] 단지형 희망 사업주체 124

[그림 4-20] 다지역-순환거주 희망 운영방식 126

[그림 4-21] 다지역-순환거주 시 정부 및 지자체 지원사항의 중요성 129

[그림 5-1] 다지역-순환거주의 모델 구축과 활성화 전략 수립을 위한 기본방향 134

[그림 5-2] 다지역-순환거주 모델의 생애주기별 유형 136

[그림 5-3] 여가 중심형(예시: (좌) 더스테이힐링파크, (우) 충주시 목계리 장기체류형 캠핑장) 137

[그림 5-4] 사례 예시: 네덜란드 호그벡 마을 139

[그림 5-5] 복합형(예시) 140

[그림 5-6] 다지역-순환거주 입지별 유형 제시 142

[그림 5-7] 도시별 유휴(의심)공공시설 현황(동수 기준, 2017) 145

[그림 5-8] 유휴공공시설 활용 예시 146

[그림 5-9] 다양한 이용방식 147

[그림 5-10] 원활한 적응을 위한 예비체험마을 조성(안) 147

[그림 5-11] 다지역-순환거주 추진단 신설(안) 예시 151

[그림 5-12] 공공참여형 개발방식[예시] 155

[그림 5-13] 공간디자인 품질 개선을 위한 민간전문가 제도 개념 및 유형 156

[그림 6-1] 다지역-순환거주 활성화 전략 160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