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제1장 | 문자의 필요성과 발전시작하며
문자의 필요성과 시작
그림과 기록
문자와 한자
문자의 분류와 한자
한자 낙후설

제2장 | 한자의 속성‘한자’라는 명칭의 유래
한자의 특성
한자의 문제점
한자의 정형화
한자의 초언어성

제3장 | 고문자 시기1: 갑골문과 금문역사 문물의 판단
갑골문의 발견
한자로서의 갑골문
금문

제4장 | 고문자 시기2: 전국문자와 소전 전국시대와 전국문자
전국문자의 종류
한자의 통일 : 소전

제5장 | 금문자 시기: 예변(隸變)과 한자 자형의 변화 금문자 단계
예서
초서
해서와 행서
발달의 방향

제6장 | 설문해자와 육서 설문해자
편찬 배경
최초의 체계적 분류
육서의 적용
『설문해자』의 의의

제7장 | 한자의 구성요소와 구조 한자의 구성과 필획
필순
편방의 의미와 활용
한자의 구조

제8장 | 간화자의 탄생과 한자의 정리 중국 간화자 탄생의 배경
간화의 방식
한자 사용의 제한

제9장 | 한자학과 연구 영역 한자학이라는 명칭
한자의 영어 표기 문제
한자학의 연구 목적
한자학의 연구 분야

제10장 | 한자문화권의 형성과 재형성 시작하며
한자문화권이라는 용어와 개념
한자문화권의 형성과 발전
한자문화권의 형성과 의의
한자문화권의 쇠락과 변혁
새로운 한자문화권의 형성
마무리하며

이용현황보기

한자학개요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21487 412.12 -24-20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0003121488 412.12 -24-20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B000107860 412.12 -24-20 부산관 종합자료실(1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한자는 국가와 민족의 특성을 초월한 기록 도구인 동시에 또한 과거와 현재를 잇는 기록의 도구입니다. 한자는 동아시아의 가장 뛰어난 발명이었으며, 동아시아 한자문화권 형성의 기초입니다. 동아시아에서 한자는 필수 불가결합니다.
우리나라에서도 한자는 과거뿐 아니라 현재에도 큰 영향력을 가진 문자입니다. 우리의 역사와 문화 곳곳에는 한자가 깊이 관여되어 있습니다. 인명, 지명, 관직명 외에도 지식을 표현하는 학술용어와 일반 생활 용어, 또 대부분의 문화유산은 한자로 기록되고 표기되어 있습니다. 일부 사람들은 이러한 사실을 부정하고 싶으나, 이것은 부정할 수 있는 사실이 아닙니다.
인류 문명사, 동아시아 그리고 한반도의 과거와 현재 모두에게 중요한 한자이지만, 한자에 대해 기초적인 이해를 하는 경우 또한 드뭅니다. 한자의 중요성과 필요성, 그 역할에 관해서는 이야기하지만, 실제 한자에 대해서는 일부 자원(字源) 정도만 말하는 경우가 대부분인 것도 사실입니다.
본 책은 한자의 시작부터 한자의 현재까지를 개괄적으로 서술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