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제1장 수학 기초학력과 직업적 소양으로서 수리력 1

제2장 기초학력 진단도구 및 교수 학습자료 개발 사례
: 중학생을 위한 수와 연산 영역을 중심으로 15

제3장 수학 기초학력 저하 및 도 ㆍ 농간 지역 격차의 원인 탐색 33

제4장 다이어그램과 수학 기초학력 지도 57

제5장 교육소외 학생의 기초학력 신장을 위한 체화된 수학적 교수법 모색 75

제6장 인공지능을 활용한 맞춤형 기초학력 진단 및 지원 95

이용현황보기

수학 기초학력 지도 : 대한수학교육학회 2023년 연보 = Improving basic academic skills in mathematics : the Korea Society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yearbook 2023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B000105727 372.7 -24-20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대학, 연구기관, 학교 소속의 연구자들의 원고를 통해 수학 기초학력 지도와 관련된 다양한 관점을 담아내기 위해 노력하였다. 1장은 새로운 학력관에 기초하여 기초학력을 재개념화하였고 이를 수리력과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2장은 수리력의 논의와 관련하여 수학 기초학력 진단도구 및 교수학습 자료 개발 과정을 제시하였다. 3장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토대로 수학 기초학력 저하 및 도·농간 지역 격차의 원인을 탐색하였다. 4장은 수학 기초학력 지도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서 다이어그램의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5장은 체화된 수학 교수법의 사례를 중심으로 수학 기초학력 지도의 대안을 제시하였다. 6장은 최근 교육 분야에서 인공지능 기술 도입이 활발한 상황을 고려하여 기초학력 진단 및 지원을 위한 인공지능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수학 기초학력 지도에 관심 있는 연구자, 교사, 정책 담당자들의 시야를 넓히고 새로운 변화의 시작으로 활용되기를 희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