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도서 앰블럼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새로운 마음 과학 : 확장된 마음으로부터 체화된 현상학까지 / 마크 롤랜즈 지음 ; 정혜윤 옮김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그린비출판사, 2024
청구기호
153 -24-17
자료실
[서울관] 의원열람실(회관),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부산관] 종합자료실(1층)  도서위치안내(서울관)  도서위치안내(부산관)
형태사항
398 p. ; 23 cm
총서사항
마음학 세미나 ; 01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76828736
제어번호
MONO12024000069736
주기사항
원표제: The new science of the mind : from extended mind to embodied phenomenology
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목차보기더보기

서문 및 감사의 글 7

1. 마음의 확장 15
1. 확장하는 마음? - 15
[상자 1. 1] 동일성과 독점적 실현 - 20
2. 마음과 심적 현상 - 27
3. 데카르트의 유령 - 31
4. 가장 친한 친구와 짖는 개 - 37
5. 비데카르트적 인지과학: 틀 - 44
6. 커다란 문제(E가 몇 개면 충분할까?) - 46

2. 비데카르트적 인지과학 53
1. 데카르트적 인지과학의 작용: 마의 시각 이론 - 53
2. 실례들: 케빈 오리건의 웹사이트 - 61
3. 생태학적 시지각 이론 - 66
4. 사랑을 담아 러시아에서 - 72
[상자 2. 1] 다양한 종류의 기억하기 - 76
5. 신경망과 상황적 로봇공학 - 79
[상자 2. 2] 신경망 - 79
6. 결론 - 90

3. 체화되고 착근되고 행화되고 확장된 마음 91
1. 데카르트적 인지과학(요약) - 91
2. 체화된 마음 - 93
3. 확장된 마음 - 102
[상자 3. 1] 필연과 우연 - 107
[상자 3. 2] 오토의 흥미로운 사례 - 109
[상자 3. 3] 확장된 마음에 대한 잘못된 이해 방식 - 113
4. 착근된 마음 - 121
5. 행화된 마음 - 125
6. 체화되고 확장되고 연합된 마음 - 146

4. 연합된 마음에 대한 반론들 151
1. 연합된 마음: 도전들 - 151
2. 확장된 마음과 이에 대한 불만들 - 152
3. 차이 논증: 확장된 마음속 동등성과 통합 - 154
4. 결합-구성 오류 - 161
5. 인지의 부풀림 - 164
6. 인지의 표식 반론 - 167
7. 체화된 마음에 대한 반론들 - 168
8. 체화된 마음과 확장된 마음의 화해 - 172
[상자 4. 1] 기능주의 - 172
9. 연합된 마음을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것들 - 183

5. 인지의 표식 187
1. 기준: 무엇에 유용한가? - 187
2. 기준에 대한 기준들 - 189
3. 기준 - 193
4. 기준에 대한 옹호: 인지-과학적 실천 - 208
5. 지각 확장하기 - 211
6. 인지 확장하기 - 215
7. 반론들에 대한 재검토 - 219
8. 결론 - 230

6. 소유권의 문제 233
1. 소유권과 팽창의 문제 - 233
2. 소유권: 통합 대 봉쇄 - 242
3. 통합: 인격적 수준과 전인격적 수준 - 248
4. 소유권: 기준학적 문제와 구성적 문제 - 253
5. 소유권과 행위주체성 - 258
6. 권한과 부풀림 문제 - 265
7. 인식적 권한의 파생적 특성 - 267
8. 대처와 인지의 연속성 - 275

7. 드러내는 활동이라는 지향성 개념 277
1. 서론 - 277
2. 경험적인 것으로서의 경험: 객관성의 힘 - 280
3. 뜻의 두 가지 의미 - 288
4. 파악된 뜻, 노에시스, 노에마에 관한 후설의 견해 - 294
5. 무(無)에 대한 사르트르의 견해 - 302
6. 계보들 체계화하기: 논쟁 - 307
7. 요약 - 316

8. 연합된 마음 319
1. 지각에서 인지로 - 319
2. 인과적 드러냄과 구성적 드러냄 - 322
3. ‘통과하는 여행’이라는 지향성 개념 - 330
4. 하이데거와 거리 제거 - 337
5. 지각적 드러냄의 매개체 - 340
6. 오토의 귀환 - 348
7. 드러냄과 인지적 드러냄 - 357
8. 체화된 인지와 확장된 인지: 다시 합치기 - 359
9. 소유권의 문제 - 361
10. 이상한 새로운 과학? - 366

옮긴이 후기 - 369
참고문헌 - 381
찾아보기 - 391

이용현황보기

조회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26790 153 -24-17 [서울관] 의원열람실(회관) 이용불가
0003126791 153 -24-17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107818 153 -24-17 [부산관] 종합자료실(1층) 이용가능
B000107819 153 -24-17 [부산관] 종합자료실(1층) 이용가능
  •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 제공)

    마음이란 단지 ‘뇌의 신호’가 아니다
    인지․신체․환경의 통합이라는
    ‘새로운 마음’ 개념에 대하여

    마크 롤랜즈의 『새로운 마음 과학』은 제3세대 인지과학으로 분류되는 ‘체화된 인지’에 관한 대표적 저술로서, 심적 과정이 사고하는 유기체의 머릿속에서 독점적으로 일어난다고 가정하는 데카르트적 인지과학의 마음관에 반박하면서 새로운 마음 과학의 논리적·개념적 토대를 구축하고자 한다. 체화된 인지에 관한 많은 문헌들 가운데서도 새로운 마음 개념에 대한 논의를 단일한 이론 안에 통합시키고 있으며 기존 논의들보다 독창적이고 유용하다.

    고전적 인지주의를 반박하는
    ‘새로운 마음 과학’의 정초

    데카르트적 인지과학에서는 감각정보가 입력되면 뇌가 이를 표상해서 인지 유기체에 의미 있는 정보로 변환시킨다고 설명함으로써 인지과정이 뇌에 독점된 과정이라고 말하지만, 저자가 추구하는 반데카르트적 인지과학은 인지과정이 머릿속에서만 수행되는 것이 아니고, 우리가 수행해야 하는 인지적 과제와 관련된 정보를 뇌 외부의 신체 및 환경 구조가 보유하고 있다고 본다. 그리고 우리가 외부 구조를 올바른 방식으로 이용하여 이 정보를 활용할 때 외부 구조가 인지과정의 부분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즉 인지 과정을 신경적 구조 및 과정, 신체적 구조 및 과정, 환경 구조 및 과정의 ‘연합체’로 간주하는 것이다.

    “체화되고, 확장되고, 착근되고, 행화되는 마음”?
    ―4E에 대하여

    오늘날 흔히 4E로 불리는 체화(embodied), 확장(extended), 착근(embedded), 행화(enacted)의 개념은 데카르트적 인지과학의 핵심 가정을 부정하거나 의문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롤랜즈는 이 4E 개념들에 주목하지만, 이 중 ‘체화’와 ‘확장’이 진정으로 반데카르트적인 마음 개념을 구성한다고 본다. 이렇듯 4E 개념들이 각각 주장하는 것이 정확하게 무엇이며, 데카르트적 인지과학의 중심 가정을 정말로 부정하는지, 그리고 4E 개념들 가운데 어떤 개념들이 서로 양립 가능하거나 불가능한지를 면밀히 고찰함으로써 이러한 자격의 정당성이 확보되는 길을 찾아 나선다.

    롤랜즈에 따르면 ‘마음의 체화’란, 심적 과정이 뇌 과정뿐만 아니라 뇌 과정과 그 외 신체 구조 및 과정의 조합에 의해서도 구성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또 ‘마음의 확장’에 따르면 인지 과정은 신체 내부 및 외부에 걸쳐 있는 혼성적 과정이며, 일부 인지 과정은 부분적으로 환경 구조의 조작, 활용, 또는 변환으로 구성된다. 두 가지 모두 마음의 ‘존재적 구성’에 대한 주장인 것이다. 그는 체화된 마음과 확장된 마음을 ‘연합된 마음’으로 통합한다. 연합된 마음은 새로운 마음 과학의 토대가 되며, 책에서는 이를 옹호하기 위해 여러 반론들에 대응하고 있다. 특히 ‘인지의 표식 반론’은 체화된 마음 및 확장된 마음이 호소하는 종류의 과정들을 인지의 자격이 있는 것으로 간주할 인지의 기준이란 없을 것이라는 반론인데, 저자는 여러 반론들이 결국 인지의 표식 반론으로 귀결되며, 인지에 대한 적절한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해소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새로운 마음 과학의
    이론과 실제를 연결짓는 혁신적인 접근

    롤랜즈는 인지과정이 신경적, 신체적, 환경적 구조 및 과정의 연합체로 간주된다는 점을 강조하며, 이를 통해 인지과정이 인지적 주체에게 속한다는 소유권 개념을 설명한다. 인지의 적절한 기준에 대한 제시, 기능주의에 대한 배제, 그리고 체화된 마음과 확장된 마음의 결합에 대한 시도는 4E의 다른 지지자들의 입장으로부터 롤랜즈의 입장을 구별해 주는 독특한 면모다. 특히 이 책의 후반부 전체를 할애할 정도로 저자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인지의 기준에 대한 논의 역시 4E에 대한 기존의 문헌들에서는 찾기 힘든 것이다. 즉 인지의 기준의 가장 중요한 핵심은 소유권 개념에서 찾을 수 있으며, 연합된 마음은 이로부터 자연스럽고 명백한 결과로 나타난다는 주장이다.

    새로운 마음 과학의 토대가 될, 진정으로 반데카르트적인 마음 개념이 무엇인지를 제시하고자 하는 이 책의 기획은 지금까지 상당히 산발적으로 제시되어 온 새로운 마음 개념에 대한 논의들을 단일한 이론 안에 통합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야심차고 참신할 뿐만 아니라 발전적이다. 또한 소유권 개념과 지향성 개념 등의 도입은 체화된 인지를 이에 대한 기존의 논의들과 전혀 다른 방향에서 새롭게 바라볼 수 있게 해 준다는 점에서 독창적이면서도 유용하다. 체화된 인지에 관한 많은 문헌들 가운데서도 단연 이 책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다.
    더보기
  • 책속에서 (알라딘 제공)

    [P.27~28] 마음은 어디에서 시작되고 어디에서 끝나는가? 이것은 특이한 질문이다. 철학과 심리학의 역사에 비추어 볼 때 일반적인 질문은 ‘마음이란 무엇인가’이다. 그리고 이에 대한 일반적인 대답은 ‘뇌’이다. 이러한 대답이 옳다면 마음은 뇌가 시작하는 곳에서 시작하고 뇌가 끝나는 곳에서 끝난다. 마음은 그저 뇌일 뿐 다른 어떤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뇌는 어디에서 시작하고 어디에서 끝나는가? 마음이 뇌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중추 신경계와 말초 신경계를 확고하게 구분한다. 뇌는 머리에 자리한 회색의 끈적끈적한 물질 덩어리로 뇌간, 해마, 대뇌 피질로 구성되어 있다. 만약 뇌가 이런 것이라면 마음도 이런 것이라는 것이다.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마음은 이 삼위일체 구조의 일부, 즉 우리가 생각하고 느끼는 것 등을 담당하는 부분이라는 것이다. 마음은 대뇌 피질과 해마(의 일부)인 셈이다. 이러한 마음 개념은 여전히 수용할 수 없을 만큼 애매모호하다. 하지만 가장 심각한 문제는 만약 마음이 나의 심적 상태 및 과정들과 다른 어떤 것으로 이해된다면 나는 나 자신에게 마음이 있는지조차 확신할 수 없다는 점이다.
    [P. 30~31] 이 책에서 옹호하는 비데카르트적 마음 개념은 사실 마음 개념이 결코 아니다. 또한 마음을 심적 상태 및 과정들의 근간을 이루는 것으로 생각한다면 더더욱 아니다. 비데카르트적 마음 개념은 심적 현상에 대한 개념이다. 그것은 일부 심적 현상들이 체화되거나, 착근되거나, 행화되거나, 확장된다는 주장이다. 이러한 점에서 비데카르트적 마음 개념은 데카르트적 인지과학의 심적 현상 개념을 단호히 거부한다. 즉 심적 상태 및 과정은 뇌 상태 및 과정과 동일하거나 또는 이들에 의해 독점적으로 실현되기 때문에 심적 상태 및 과정은 뇌에서 시작하고 뇌에서 끝난다는 주장을 단호하게 거부하는 것이다. 심적 상태 및 과정은 뇌 상태 및 과정과 동일하거나 또는 이들에 의해 독점적으로 실현된다는 견해는 현대에 생겨난 것이 아니다. 17세기 프랑스에서 등장한 마음에 대한 견해로부터 비롯된 것이다.
    [P. 98] 인지 과정에 대한 전통적인 개념의 많은 부분을 그대로 유지한다. 이것은 가령 진정한 인지는 뇌 안에서 일어난다는 생각, 즉 신경적 표상의 변환으로 이루어진다는 생각과 양립 가능하며, 다만 특정 사례에서 일어나는 이러한 변환 과정의 특성을 이해하려면 이러한 변환이 착근되어 있는 더 넓은 신체 구조를 이해해야 한다는 조건을 추가할 뿐이다. 인식적 해석에 따르면, 더 넓은 신체 구조는 이러한 인지 과정이 자리하고 있는 일종의 신체적 맥락을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과정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제대로 이해하려면 이러한 맥락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인지와 신체적 맥락이 구별되지 않는다는 의미는 아니다. 진정한 인지는 여전히 뇌 안에서 발생한다고 주장할 수 있으며, 이러한 주장은 체화된 마음 이론의 인식적 독해와 양립 가능하다.
    더보기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