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1장 서론 9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0
제2절 연구 내용 12
제3절 연구 방법 및 절차 13
2장 이론적 배경 14
제1절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15
1. Barrows의 문제중심학습 모델 16
2. 문제중심학습에서 고려해야 할 교수설계 요인 18
제2절 상호작용 21
1. 상호작용의 개념 21
2. 상호작용의 유형 22
제3절 피드백 27
1. 피드백의 개념과 특성 27
2. 피드백의 유형 29
제4절 코칭 34
1. 코칭의 개념 34
2. 코칭 프로세스 및 코칭 모델 35
3. 코칭 모델 비교 38
제5절 자기성찰 40
1. 자기성찰의 개념 40
2. 성찰일지의 구성요소 42
3장 역량개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방법 45
제1절 기존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 46
1. 기존 역량개발 교육과정 개요 46
2. 기존 교육과정의 문제점 분석 47
제2절 교육요구 분석 48
1. 교육생 48
2. 상사 53
제3절 모의과제 및 피드백 표준화 도구 개발 58
1. 모의과제 58
2. 피드백 표준화 도구 59
제4절 자기성찰일지 개발 61
4장 연구결과 62
제1절 교육 요구분석 결과 63
1. 교육생 인터뷰 결과 63
2. 상사 인터뷰 결과 65
제2절 교육과제 및 피드백 표준화 도구 68
1. 모의과제에 대한 퍼실리테이터 설문 결과 68
2. 표준화된 피드백 도구 69
제3절 1차 교육과정 기획안 79
1. 교육과정 계획 방향 79
2. 모의과제 구성 80
3. 1차 교육과정 기획안 80
제4절 1차 교육과정 결과 84
1. 자기성찰 결과 84
2. 교육 전-후 역량 차이 비교 92
제5절 최종 교육과정 기획안 101
5장 결론 및 제언 103
제1절 연구 요약 및 논의 104
제2절 제언 106
참고문헌 107
판권기 112
그림 Ⅰ-1. 연구 절차 및 방법 13
그림 Ⅱ-1. 문제중심학습의 절차(Barrows & Myers, 1994) 17
그림 Ⅱ-2. 역량개발교육에서의 피드백 29
그림 Ⅲ-1. 역량개발 교육에 대한 개념 모델 46
그림 Ⅲ-2. 피드백 표준화 도구 개발 체계(초안) 60
그림 Ⅳ-1. 비대면 교육에서의 교육생 활동 83
그림 Ⅳ-2. 예비 사무관을 위한 역량개발 교육과정 구성도 101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