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 8

Ⅰ. 서론 26

1. 논의의 배경 26

2. 연구의 목적과 범위 26

Ⅱ. 선행연구 28

1. 주요 연기금의 인플레이션 헤지 정책 28

가. 미국 캘리포니아 공무원연금(CalPERS) 28

나. 캐나다 CPPI 33

다. 네델란드 ABP 35

라. 국민연금(NPS) 기금의 자산배분 현황 35

2. 인플레이션 헤지에 관한 이론적 배경 38

3. 자산군과 인플레이션에 관한 연구 39

4. 국민연금기금의 금융부문 자산군과 인플레이션 41

Ⅲ. 표본 및 모형 설계 42

1. 표본 선정 42

2. 모형 설계 46

가. 선형 모형 46

나. 비선형 모형 47

Ⅳ. 실증분석 결과 50

1. 기초통계량 50

2. 단위근 검정 58

3. 회귀분석 결과 60

가. 국민연금 벤치마크의 인플레이션 헤지 효과 분석(선형 모형) 60

나. 국민연금 벤치마크의 인플레이션 헤지 효과 분석(비선형 모형) 66

다. 자산군별 주요 지수의 인플레이션 헤지 효과 분석(선형 모형) 76

라. 자산군별 주요 지수의 인플레이션 헤지 효과 분석(비선형 모형) 80

Ⅴ. 결론 및 시사점 90

1. 실증분석 결론 90

2. 시사점 90

참고문헌 92

[부록] 95

판권기 98

표목차

〈표 Ⅱ-1〉 CalPERS의 연금제도(plan)별 목표 투자비중 29

〈표 Ⅱ-2〉 CalPERS의 연금제도 30

〈표 Ⅱ-3〉 CalPERS 인플레이션 자산군의 목표 자산배분 31

〈표 Ⅱ-4〉 물가연동 채권(ILB)의 벤치마크 구성 및 투자허용범위 32

〈표 Ⅱ-5〉 실물자산의 투자성과 33

〈표 Ⅱ-6〉 CPPI의 자산배분 34

〈표 Ⅱ-7〉 국민연금기금의 자산배분 36

〈표 Ⅲ-1〉 자산군과 지수의 세부사항 43

〈표 Ⅳ-1〉 기초통계량 51

〈표 Ⅳ-2〉 단위근 검정 59

〈표 Ⅳ-3〉 국민연금 벤치마크 지수의 인플레이션 헤지 능력: 선형회귀분석1 62

〈표 Ⅳ-4〉 국민연금 벤치마크 지수의 인플레이션 헤지 능력: 선형회귀분석2(시차변수 모형) 63

〈표 Ⅳ-5〉 국민연금 벤치마크 지수의 인플레이션 헤지 능력: 선형회귀분석3(하위 표본기간 분석) 64

〈표 Ⅳ-6〉 국민연금 벤치마크 지수의 인플레이션 헤지 능력: 비선형 회귀분석 69

〈표 Ⅳ-7〉 자산군별 주요 지수의 인플레이션 헤지 능력: 선형회귀분석 77

〈표 Ⅳ-8〉 자산군별 주요 지수의 인플레이션 헤지 능력: 비선형 회귀분석 81

〈표 Ⅳ-9〉 자산군별 주요 지수의 헤지효과(비선형 모형) 결과 요약 89

그림목차

[그림 1] 국민연금기금의 해외투자 추이 37

[그림 2] 해외투자의 자산별 구성 추이 37

[그림 3] 국민연금 벤치마크 변수의 추이 52

[그림 4]/[그림 A-1] 국민연금 대체투자(국내부동산, 국내인프라) BM 수익률 분포 55

[그림 5]/[그림 4] 국민연금 벤치마크 변수의 분포 56

[그림 6]/[그림 5] 국민연금 벤치마크 변수의 박스플롯 57

[그림 7]/[그림 6] 국내주식 BM 수익률의 평활화 확률 72

[그림 8]/[그림 7] 국면별 국내주식 BM 수익률 72

[그림 9]/[그림 8] 해외주식 BM 수익률의 평활화 확률 73

[그림 10]/[그림 9] 국면별 해외주식 BM 수익률 73

[그림 11]/[그림 10] 국내채권 BM 수익률의 평활화 확률 74

[그림 12]/[그림 11] 국면별 국내채권 BM 수익률 74

[그림 13]/[그림 12] 해외채권 BM 수익률의 평활화 확률 75

[그림 14]/[그림 13] 국면별 해외채권 BM 수익률 75

부록표목차

〈부록 표 1〉 상관관계 분석 95

이용현황보기

인플레이션 헤지를 고려한 국민연금기금의 투자방안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72692 332.67254 -25-5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0003172693 332.67254 -25-5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