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누군가 오고 있다 햇살에게 ㆍ 13 간이역 ㆍ 14 가을밤에 합창 ㆍ 15 인생 종점 ㆍ 16 고독 ㆍ 17 연인 ㆍ 18 가을 ㆍ 19 세월이 가면 ㆍ 20 낙엽 ㆍ 22 명자 해당화 ㆍ 24 제주의 흰동백 ㆍ 25 누군가 오고 있다 ㆍ 26 낙화 1 ㆍ 28 2024 다시 새날 ㆍ 29 내 삶의 교차로 ㆍ 30 용두암 ㆍ 31 너 ㆍ 32 세월길 ㆍ 33 그곳에 당신이 있어야 ㆍ 34 짝사랑 ㆍ 36 앞에 놓인 길 ㆍ 37 꽃이 피는 날 ㆍ 38
제2부 대문 위의 능소화 마중 ㆍ 41 기다림의 몸짓으로 ㆍ 42 생명의 줄 ㆍ 43 빈 가슴 ㆍ 44 빈 잔 ㆍ 45 겨울 사랑 ㆍ 46 새날 ㆍ 47 홀씨 ㆍ 48 포장마차 ㆍ 49 반달 ㆍ 50 하루 ㆍ 51 황혼(黃昏) ㆍ 52 바람 ㆍ 54 대문 위의 능소화 ㆍ 55 파도 ㆍ 56 봄비 1ㆍ 57 사파에서 하노이로 ㆍ 58 판시판 ㆍ 59 눈사람 ㆍ 60 봄비 2 ㆍ 61 빈 것(空) ㆍ 62 소 ㆍ 63 어디에 나를 두고 오듯 ㆍ 64
제3부 어제와 오늘 사이 4월 ㆍ 67 낙화 2 ㆍ 68 단풍 ㆍ 69 봄바람 ㆍ 70 어제와 오늘 사이 ㆍ 71 동행 ㆍ 72 빈 휘파람 ㆍ 73 거리의 무희 ㆍ 74 1993년 12월 31일 ㆍ 75 5월의 편지 ㆍ 76 벚꽃 지던 봄날 ㆍ 77 편지 ㆍ 78 흰 눈이 전하는 편지 ㆍ 79 버린 고향엔 ㆍ 80 낙화 3 ㆍ 81 모란이 지는 날 ㆍ 82 강 ㆍ 83 봄밤 ㆍ 84 잡초 ㆍ 85 인생길 1 ㆍ 86 꽃 사랑 ㆍ 87 바른길 ㆍ 88
제4부 그냥 살다 보면 영산홍 ㆍ 91 상사화(相思花) ㆍ 92 계절병 ㆍ 94 당신의 손 ㆍ 96 하늘비 ㆍ 97 당신에게 ㆍ 98 여름 한낮 ㆍ 99 같이 삽시다 ㆍ 100 길 위에는 ㆍ 101 어느 여인 이야기 ㆍ 102 낙동강 칠백 리 ㆍ 104 푸념 ㆍ 105 금계국 핀 길 따라 ㆍ 106 꽃잎 떨어지고 ㆍ 107 바람이 ㆍ 108 그냥 살다 보면 ㆍ 109 꿈속에서라도 ㆍ 110 봄이 오면 ㆍ 111 이 순간 ㆍ 112 추억 속에 담긴 어린 날 ㆍ 113 인생길 2 ㆍ 114
작품 해설_문학평론가 리헌석 ㆍ 115
이용현황보기
내 삶의 교차로 : 김명동 제12시집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35916
811.15 -24-1557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135917
811.15 -24-1557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 서평 #1 - 삶의 모퉁이 길목마다 고단한 외로움이 쌓이고 있어도 잡은 손 놓지 말고 같이 갑시다 ―「같이 삽시다」 일부
새로운 세기가 시작되는 2000년대의 사회 분위기는 희망과 우려가 공존하였습니다. 그 시기에 만난 김명동 시인은 문단의 일꾼을 자처하였습니다. 큰 일이거나 작은 일을 가리지 않고 솔선하였습니다. 중소 건설회사를 경영하던 분이 갑자기 시인으로 등단을 하고, 새로운 문학단체를 조직하더니, 동인지를 발간하고, 시화전을 개최하며, 시낭송에도 앞장을 섰습니다. 필자 역시, 그 시기에 대전문인협회 회장을 맡아 다양한 문학 활동을 시행하던 때였기 때문에 서로 간담상조(肝膽相照)하기에 이르렀습니다. 앞의 시는 서정적 자아의 일반화된 권유일 터이기에, 다양한 사람들이 공유할 수 있는 주관적 정서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2 - 그리움은 가슴을 파고드는 화살이 되어 어디쯤에서 날아오고 있는 것일까 기다림은 얼마나 많은 날을 내 마음속에 멍들이고 있을까 ―「상사화(相思花)」 일부
무릇 사람들이 그리워하는 바탕은 ‘결핍(缺乏)’과 닿아 있습니다. 사랑이 이루어졌다면, 그리움이 아니라 환희(歡喜)나 충만(充滿)을 노래하였을 터입니다. 정서적 안테나가 일반인들보다 더 예민한 시인들이 어떤 대상을 그리워하는 것은 그 대상과 일체가 되지 못하였음을 방증(傍證)하는 단서입니다. 그리움이 절실하면 절실할수록 그리움의 대상을 만날 확률은 멀어질 것입니다. 그리움의 대상을 기다리는 것도 동일한 궤적으로 그려집니다. 아무리 기다려도 대상을 만날 수 없을 때, 그 기다림은 절망하기에 이르고, 초자연적인 사물에 정서를 의탁하기도 합니다.
#3 - (강의) 길목마다 여울은 회오리 물살을 만들고 바윗돌에 두들겨 맞아 시퍼멓게 멍이 든다. ―「강」 일부
강이나 바다에서 폭이 좁아 물살이 빠르게 흐르는 곳을 ‘여울’이라고 합니다. 특히 강에서는 폭이 좁거나 강바닥이 경사를 이루어서, 바위나 돌이 깔려 있게 마련이고, 그로 인해 여울소리가 크게 울립니다. 한쪽으로 치우친 여울에서는 물살이 회오리를 치며 흘러서 수심이 깊은 곳도 있습니다. 이 곳의 물은 푸른 색을 띠는데, 바윗돌과 부딪쳐서 시퍼렇게 멍이 들었다고 노래한 것 같습니다. ‘여울’은 물살이 세게 흘러 사람이나 나룻배가 건너기 힘듭니다. 그리하여 강에서의 여울은 백미터쯤 위쪽이거나 아래쪽 물결이 잔잔한 지점에 나루터가 있게 마련이고, 이곳에서 나룻배로 건넙니다. ‘여울’은 물결이 세어서 건너기 어렵기 때문에 ‘고생’ ‘시련’ ‘역경’ 등의 이미지가 생성됩니다.
#4 - 소리 없이 한 잎 두 잎 꽃대궁 이별하며 떠나가려 합니다
꽃은 지려고 피는가 봅니다. ―「낙화 3」 일부
시인은 때로 애상적 정서를 작품화합니다. 꽃은 긴긴 날에 애간장을 다 태우고, 몸을 비틀며 피어나서, 봄비를 맞으며 활짝 피어나더니 금세 집니다. 그 현상을 바라보던 시인은 ‘꽃은 지려고 피나 봅니다’라는 시상(詩想)을 찾아냅니다. 태어나는 식물과 동물은 언제인가는 모두 지거나 죽게 마련이고, 이는 우주 만물에게 주어진 운명이고 삶인데, 시인은 자신의 애상적 서정에 의탁하여 꽃의 삶을 바라봅니다. 꽃은 지려고 피는 것이 아니라, 피었으니 언젠가는 지게 마련입니다. 그러나 시인은 꽃이 피었다가 지는 시기가 너무나 짧기 때문에, ‘꽃은 지려고 피는가 봅니다’라는 애상적 정서를 꽃에 이입(移入)한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