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 단군 신화는? 단군 신화 특별한 것이 있나? 역사일까? 신화일까? 왜 신화로 했을까? 최초 세상은 어떤 모습일까?
Ⅲ. 천국, 신들의 이야기 하늘나라 천국? 어때? 환인이 환웅에게 한 명령은? 하늘나라에 대한 내 생각 생각해 보기
Ⅳ. 아래 세상 천사들의 이야기 천사? 천사는 뭘 하지? 첫 번째 한 일: 가르쳐 주었다 명령(가르침)에 대한 내 생각 생각해 보기 두 번째 한 일: 변하게 하다 사람 되는 법 삼칠일의 비밀 본디 사람은 세 번째 한 일: 신들의 합작품 사람의 욕심 신과 함께 행복을 낳다 백성과 임금과 윤리 유학에 대한 내 생각 생각해 보기
V. 사람의 이야기 요즘 사람은? 단군, 독립해서 나라를 세우다 생각해 보기 조선 사람들은? 법치주의와 나라에 대한 내 생각
VI. 나는 단군 신화를 이렇게 읽었다 등장인물에 대해서 나는 누구인가? 내가 읽은 최고 교훈집
이용현황보기
미련곰탱이가 사람이 되네 : 인성 교육의 길라잡이, 단군 신화의 비밀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40575
398.20951 -24-10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0003140576
398.20951 -24-10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B000110713
398.20951 -24-10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오늘날 단군 신화를 되돌아보아야 할 이유! 우리는 과연 제대로 단군 신화를 알고 있을까?
조상의 빛나는 얼 단군 신화에 담긴 비밀을 재치 있게 풀어내다
오늘날 우리에게 닥친 문제에 해답을 줄, 신화에서 찾아낸 교훈
우리 민족의 건국 신화에는 고조선의 단군 신화와 북부여의 해모수 신화, 고구려의 동명왕 신화, 신라의 혁거세 신화, 가락국기가 전하는 수로왕 신화 등 다양한 건국 신화가 많다. 고조선의 단군 신화는 삼국유사를 비롯하여 제왕운기, 동국이상국집, 신동궁여지승람, 대동운부운곡, 세종실록지리지 등에 수록되어 오늘날까지 전해졌다. 그런데 왜 수많은 신화 중에서도 단군 신화가 수천 년을 넘어 한민족의 대표적인 신화로 우뚝 서 있을까? 한국인이라면 모르는 이가 없는 단군 신화이지만 의문을 품고 깊이 생각해 본 이는 많지 않다.
저자는 이 질문에 대한 답으로, 단군 신화는 이 땅을 천국으로 만들기 위해 사람이 갖추어야 할 인간성에 대한 조상들의 지혜가 담겨 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단군 신화는 우리 민족의 건국 역사다. 홍익인간 정신은 고조선의 건국이념이었고, 대한민국의 교육법이 정한 교육의 기본이념이 되었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추구하는 이념은 오직 한 가지다. ‘사람이 세상을 이롭게 하고, 인간을 구원하기 위해서는 이 땅을 천국으로 만들자’라는, 바로 홍익인간의 정신이다. 팽배한 이기주의와 황금만능주의, 배려와 양보, 협력의 가치가 무색해진 오늘날에 와서 가장 필요한 정신이기도 하다.
단군 신화는 우리의 기원과 사명이 무엇인지 알려주고, 등장인물들을 통해 사람이 알고 지켜야 할 이치를 알려준다. 개천은 하늘에서 땅으로 문을 연 것뿐만이 아니라 사람으로 갖추어야 할 행실을 지켜 땅에서 하늘나라를 만드는 것도 개천이라고 말한다. 이 책을 통해 단군 신화가 우리의 대표 신화인 이유를 조목조목 짚어 나가다 보면 신화로만 생각했던 막연한 이야기가 근래 들어 퇴색된 소중한 가치와 우리 민족이 나아가야 할 청사진을 품고 있음을 깨닫게 될 것이다.
책속에서
[P.27] 신들은 인간이 불가능한 신비로운 능력을 발휘하는 존재를 말한다. 신들 중에 천지를 창조하고 전지전능한 능력과 상과 벌로서 공의를 수호하며 구원이나 영생, 윤회 등을 약속한 것들은 종교화가 되었다.
신화의 공통적인 것들은 신들이 사는 천국은 신별로 특별한 능력과 역할이 있고 천국과 세상의 어떤 혼란을 바로잡는 이야기로 전개되고, 대부분 주인공 신이 중심이 되는 한 세대의 이야기로 전하고 있다.
서양 신화는 그리스·로마 신화처럼 제우스를 중심으로 폐륜에 의해 신들 간의 투쟁이나 모험담이나 영웅담으로, 북유럽신화는 신들이 운명을 극복하려 하지만 극복하지 못하고 종말적인 운명론적 신화로, 인도 신화는 베다와 힌두 신화를 중심으로 많은 신을 등장시켜 종교화되었고, 이집트 신화는 ‘라’를 중심으로 사후세계에 중심을 두었다.
반면 동양 신화는 신의 권위를 이용해 국가 정통성을 부여하거나 윤리적, 도덕적 가치를 기준으로 상과 벌을 주는 교훈적 신화가 많다.
[P. 55] 인간은 어리석으니 자기가 편하기 위해 배움에 목말라하는 것이 당연하고 모른다는 것, 안다고 하더라도 능력이 없다면 어린 것이다. 배워야 하고 도움받아야 하는 것은 당연하고, 자연스러운 것이다. 어린 내가 배워 서로를 이롭게 하는 조화(造化)를 이루는 나로 변해간다면 남도 같이 변하는 것이 이치대로 되어가는 세상이다. 어린이에서 어른(이룬이)으로 성장하는 방법을 몸으로 보여주고 가르쳐 체험하게 하여 천국을 만드는 방법을 후손에게 전해지게 하라 하셨다.
[P. 219] 고조선의 멸망 원인이 무엇인지 잊은 것 같다. 정치를 인간이 한 일을 다스리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사람과 인간 자체를 다스리고자 하는 욕심으로 정치의 목적이 변질된 것이 문제였다. 결국, 즐겁게 더 하고 싶은 욕심이 신의 진리에 맞는 다스림이 되어야 함에도 오히려 이치에 맞게 다스리는 빛이 인간 욕심에 가려져 버린 것이다.
꿈을 꾸지 못하게 하고 꿈을 방해하는 자는 구별하여 다시는 그런 짓을 못 하도록 권리를 일정 기간 제한하고 차별하며, 공익의 역할을 못 하게 내치는 형벌을 정하여야 한다. 사람을 만드는 가장 마지막 방법이 환웅이 호랑이를 쫓아 버리듯이 우리에게서 버림받게 하는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