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축사
추천사
서문


CHAPTER 1 대한민국의 발전 과정: 고난 극복과 기적의 역사

1. 대한민국의 유구한 역사
단군신화로부터 시작
홍익인간이 우리의 민족성
수많은 외침에도 버텨낸 5000년의 역사
고구려-수나라 전쟁
고려-거란 전쟁
여몽전쟁
임진왜란
승리의 요인: 남다른 상무정신과 창의성

2. 대한민국의 탄생
건국
건국 당시 남북한의 차이
한국전쟁의 발발
낙동강 방어선과 인천상륙작전
유엔군과 전 세계의 도움
3년여간 지속된 전쟁
전후 세계 최빈국으로 전락
경제성장의 밑바탕이 된 한미동맹

3. 부국강병을 위한 피나는 노력
경제개발 5개년 계획
새마을운동
경부고속도로
수출 주도 산업화 전략
자본집약중화학공업 육성
한강의 기적
세계 10위권의 경제대국과 6위권의 군사강국으로 발전

4. 세계 평화와 자유민주주의 수호에 기여하는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발전 과정을 공유
소총 한 자루도 못 만들던 나라에서 전투기까지 생산하는 나라로 발전
한국전쟁 당시 우리가 받은 도움을 다시 돌려줄 차례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하는 개발도상국 등에 방위산업 발전 경험을 공유


CHAPTER 2 1970년대 방위산업 발전: 태동과 기반 조성

1. 방위산업의 시작 배경
1·21사태(김신조사건)
미국 푸에블로함 납치사건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미군 정찰기 격추사건
닉슨 독트린과 주한미군 철수

2. 방위산업의 첫발

3. 국방과학연구소(ADD)의 창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국방과학기술 연구 활동
국방과학연구소 창설
국방과학연구소 진해분소

4. 번개사업: 최초의 방위사업

5. 1차 율곡사업: 기본병기 국산화를 통한 대북 방위력 확보

6. 미사일 개발
미사일 설계 기술의 획득
추진제 제조 기술 확보
관성항법장치 기술의 확보
최초의 국산 미사일 ‘백곰’ 완성

7. 핵 개발

8. 방위산업 기반 조성
국방부 조병창
구미전자공업단지
창원기계공업단지

9. 방위산업 육성을 위한 제도적 기반 구축
1차 방위산업육성회의: 방위산업 방향 설정을 위한 첫 번째 회의
생산체제 기본방침 및 계열화업체 지정
2차 방위산업육성회의: 방산업체 지정
3차 방위산업진흥확대회의: 항공산업 육성
「군수조달에 관한 특별조치법」
율곡사업 집행방침 및 절차 마련
방위성금 모금
「방위세법」 제정

10. 한국방위산업진흥회의 설립

11. 한국방위산업학회의 설립


CHAPTER 3 1980년대~2000년대 방위산업 발전: ‘시련과 도전’에서 ‘경쟁과 도약’의 시기로

1. 1980년대 ‘시련과 도전’의 시기
국방과학연구소 구조조정
획득 환경과 제도의 변화
2차 율곡사업: 한국형 무기체계 개발
3차 율곡사업: 첨단전력의 확보
1980년대 방위산업 주요 육성 정책

2. 1990년대 ‘안정과 성장’의 시기
김영삼 정부의 출범과 ‘21세기 국방연구위원회’
방위력개선사업제도 개선 연구와 ‘방위사업실’ 신설
국방개혁추진위원회와 획득실 창설
군사혁신기획단
1990년대 주요 방위력개선사업과 육성 정책

3. 2000년대 ‘경쟁과 도약’의 시기
방위사업청 개청
국방개혁 2020
방위산업의 신경제성장 동력화
2000년대 방위산업 주요 육성 정책


CHAPTER 4 2010년대부터 현재까지: K-방산의 글로벌 산업으로의 도약

1. 2010년대 수출산업으로 본격 육성
방위산업의 개방과 경쟁 본격화
무기체계 품질경쟁력 향상을 위한 시행착오와 노력
방산중소기업 육성과 대중소기업 균형 발전 도모
민·군 간 연구개발 협력체계의 재편 및 확대
국방과학연구소 임무 재정립과 업체 주관 연구개발 본격 확대
방산부품 국산화 확대를 통한 방산부품산업 육성 착수
수출형 산업구조로의 전환 추진
방위산업 기술 보호 기반 강화

2. 2020년대 글로벌 방위산업으로 새로운 도약
방위산업 육성을 위한 법적 근거 마련
소재부품 국산화 및 방산부품산업 육성 기반 강화
5대 국방신산업 지정 및 육성 추진
방산혁신 클러스터 사업을 통한 지자체와의 방산협력 강화
국내 방위산업의 글로벌 진출 본격화
정부 조직의 재편
무기체계 획득 제도 재편
국방기술개발 추진 방식 고도화


CHAPTER 5 K-방산의 미래: 2030년대 글로벌 방산강국으로 가는 길

1. 급변하는 글로벌 안보환경과 방위산업

2. 글로벌 방위산업의 트렌드와 K-방산의 변화
미국
유럽연합
글로벌 방위산업의 변화와 전망
국내 산업에서 K-방산의 위상 변화
K-방산의 글로벌 위상 변화
K-방산 생태계의 변화

3. 2030년대 글로벌 방산강국으로의 길
비전과 목표
중점 전략
주요 과제

4. 복합무역 형태의 글로벌 교역 추진
일본에서 종합상사 기업 형태의 출현 배경
한국의 경제성장기 종합상사 출현 배경과 역할
국제 방산시장에서 종합상사의 필요성
국제 방산 수출국 다변화의 당위성
국제 무기 거래 시 돈이 아닌 현물 거래 사례
새로운 시장으로 부상한 아프리카

5. 대한민국 방위산업의 글로벌 스탠다드를 위한 과제

에필로그
새로운 역사를 써가고 있는 K-방산
K-방산이 가진 숙제


부록 1 국산 무기체계 소개

1. 소화기
K1 기관단총
K2 소총
K7 소음기관단총
K3 경기관총
K6 중기관총
K4 고속유탄기관총
K14 저격소총
K5 자동권총
K16 기관총
K15 기관총

2. 화력무기
KH178 견인포
KH179 견인포
K55 자주포
K9 자주포
K105A1 자주포
KM181 박격포
KM187 박격포
KMS114 박격포
KSM120 자주박격포 “비격”
K136 다연장로켓 “구룡”
K239 다연장로켓 “천무”
K10 탄약보급장갑차
K56 탄약보급장갑차

3. 기동무기
K1 전차
K1A1 전차
K2 전차
K200 장갑차
K21 보병전투차
K806/K808 장갑차
KAAV 상륙돌격장갑차

4. 함정
참수리급 고속정(구형, PKM)
참수리급 고속정(신형, PKMR)
윤영하급 유도탄고속함(PKG)
포항급 초계함(PCC)
울산급 호위함(FF)
인천급 호위함(FFG-1)
대구급 호위함(FFG-2)
도산안창호급 잠수함(SS-3)
광개토대왕급 구축함(DDH-1)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DDH-2)
세종대왕급 구축함(DDG-1)
독도급 대형수송함(LPH)

5. 항공기
KT-1 훈련기
KUH-1 수리온
LAH 경공격헬기
T-50 훈련기
FA-50 다목적 경전투기
KF-21 전투기

6. 유도무기
현무 미사일
KTSSM(전술지대지유도무기)
현궁 대전차미사일
천검 공대지미사일
비궁 유도로켓
비룡 유도로켓
해성 대함미사일
해룡 함대지미사일
K-745(청상어) 어뢰
K-731(백상어) 어뢰
K-761(범상어) 어뢰
홍상어 대잠로켓
신궁 대공미사일
천마 대공미사일
천궁 대공미사일
L-SAM

7. 대공포
K30 비호 자주대공포
K30W 천호 자주대공포

부록 2 대한민국 방산업체 소개

부록 3 대한민국 방위산업 연표

이용현황보기

대한민국 방위산업 50년 그리고 미래 = 50-years of Korean defense industry and its future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39326 338.47355 -24-4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0003139327 338.47355 -24-4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중
B000126356 338.47355 -24-4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자랑스런 대한민국 방위산업 50년 역사와
글로벌 방산강국을 향한 미래 비전

최근 몇 년간 K-방산의 눈부신 성장은 우리 모두에게 큰 자부심을 안겨주고 있다. 2022년, 대한민국의 방산수출액이 170억 달러를 돌파하며 대한민국은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방산대국으로 자리 잡았다. 이는 단순한 수출 실적을 넘어, 대한민국 방위산업의 기술력과 품질이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다는 증거이며, 우리 산업의 미래 가능성을 여실히 보여주는 성과이다.

6·25전쟁의 잿더미 속에서 무(無)에서 유(有)를 창조하며 우리나라를 글로벌 방산강국으로 이끌며 새로운 역사를 써나가고 있는 대한민국 방위산업은 국가안보를 넘어 경제성장과 기술 혁신의 중요한 동력으로 작용해왔다. 초기의 열악한 환경에서 출발하여 오늘날 세계적인 방산 강국으로 성장한 배경에는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지원, 민군 협력 체계, 그리고 산업계의 끊임없는 노력과 혁신이 있었다.

대한민국 방위산업은 그동안 수많은 도전과 난관을 극복하며 성장해왔다. 1970년대에 시작된 중화학공업 육성 정책은 대한민국 방위산업의 시초를 이뤘고, 이후 대한민국은 자주국방의 필요성을 절감하며 첨단 무기체계 개발에 박차를 가했다. 소총 한 자루 만들기 어려웠던 시절을 지나, 오늘날 우리는 세계 최고 수준의 자주포, 전차, 항공기 등을 독자적으로 개발하고, 이를 전 세계에 수출하는 방산강국으로 발돋움했다.

최근 세계 안보 정세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중동 지역의 갈등, 동북아시아의 긴장 등으로 인해 방위산업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대한민국의 방위산업은 그 역할과 책임이 더욱 커지고 있다. 우리는 첨단 기술을 바탕으로 한 무기체계의 개발과 수출을 통해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정을 지키는 데 기여하고 있다. 대한민국이 진정한 글로벌 방산강국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우리가 걸어온 길을 되돌아보고, 앞으로의 도전을 준비해야 한다.

대한민국 방위산업은 끝없는 도전을 통해 쌓은 기술력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국제 사회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 적극적으로 기여해야 한다. 이는 단순한 경제적 이익을 넘어, 국제적 책임과 의무를 다하는 길이며, 대한민국의 글로벌 리더십을 더욱 강화하는 길이기도 하다. 대한민국 방위산업의 지속적인 발전과 더불어, 국제 사회에 대한 기여가 한국의 미래를 더욱 밝고 희망차게 만들 것이다.

한국방위산업학회(회장 채우석)는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국내 방위산업 분야의 최고 전문가인 장원준 전북대학교 교수, 김호성 국립창원대학교 교수, 유형곤 한국국방기술학회 정책연구센터장과 함께 대한민국 방위산업의 50년 역사와 미래 비전을 담은 『대한민국 방위산업 50년 그리고 미래』를 펴냈다.

이 책은 단순한 과거의 기록을 넘어 미래 대한민국 방위산업이 나아갈 전략적 방향을 제시하고, 글로벌 방산 시장에서 한국 기업들의 경쟁력을 강화할 실질적인 지침을 담고 있다. 특히, 각 방산업체의 주요 역량과 주력 수출 품목을 소개하여 해외 시장 홍보와 마케팅에 도움을 주도록 기획되었다.

대한민국 방위산업의 발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변화하는 글로벌 안보환경에 발맞추어 대한민국 방위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 귀중한 자료로서, 방산인과 국방 관계자들뿐만 아니라 우리 국민 모두가 대한민국의 자주국방 역사를 이해하고 자부심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이 책의 구성

이 책은 총 5개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에서는 5000년을 이어온 대한민국의 발전 과정을 요약하여 소개한다. 단군신화와 홍익인간의 건국 이념을 시작으로, 임진왜란과 같은 주요 전쟁, 상무정신과 애국심 등 승리의 요인을 분석한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대한민국의 탄생과 한국전쟁의 발발 원인과 경과, 유엔(UN)과 전 세계의 지원 등을 다룬다. 전쟁 후 최빈국에서 부국강병을 이뤄내고 세계 10위권 경제대국과 6위 군사강국으로 발전한 과정을 기술한다.

제2장에서는 방위산업의 태동 배경과 기반 조성을 다룬다. 김신조 일당의 청와대 습격사건과 같은 북한의 도발, 자주국방 노력을 포함한 방위산업의 기반 조성 과정을 설명한다. 국방과학연구소 창설, 번개사업 추진, 미사일 개발 착수, 창원과 구미공단 조성 등 다양한 제도적 기반 구축 내용을 포함한다.

제3장에서는 198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의 방위산업 변화를 다룬다. 전두환 정부 시기의 해외 구매 선호로 인한 방위산업 침체, 율곡사업의 추진, 1990년대 이후의 경쟁과 혁신을 통한 자립 과정 등을 설명한다. 이 시기에 방위사업청이 신설되고, 국방획득제도가 개선되면서 방위산업이 국가의 신성장 동력으로 발돋움한 과정을 담았다.

제4장에서는 2010년대 이후 방위산업이 글로벌 수출산업으로 도약하는 과정을 소개한다. 이 시기에는 방위산업에 본격적인 경쟁체제가 도입되면서 국제 경쟁력이 향상되었다. 국방기술진흥연구소 신설, 방산혁신 클러스터 사업 등을 통해 방위산업이 국가의 주력 산업으로 성장하는 과정을 다룬다. 이를 통해 방위산업은 본격적인 수출산업으로 도약하게 되었다.

제5장에서는 K-방산의 미래 비전과 도전 과제를 정리했다. 글로벌 방위산업의 트렌드와 변화를 전망하고, 2030년대 글로벌 방산강국으로 나아가는 길을 제시한다. 비전과 목표, 중점 전략, 주요 과제 등을 제시하며, K-방산의 성공 경험과 노하우를 한국전쟁 파병국 및 중·후발국들과 공유하기 위한 복합무역 형태의 교역 방식을 소개한다. 이러한 방식이 글로벌 표준이 되어 세계 평화와 안정에 기여할 수 있도록 과제를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국산 주요 무기체계와 대한민국 주요 방산업체, 그리고 대한민국 방위산업 연표를 부록으로 수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