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01 우주경제 변화의 중심 1. 우주, 미지에서 기회로 … 18 2. 우주는 새로운 경제 공간 … 30 3. 우주경제는 이렇게 움직인다 … 34 4. 우주경제, 가까이에 있다 … 41 5. 우주항공방산을 위한 여정의 시작 … 54 6. 뉴스페이스의 변화는 생태계를 어떻게 바꾸는가 … 57
PART 02 우주항공방산의 통합 개념, 현재와 미래를 잡는 전략 1. 방위산업과 우주산업을 연계할 새로운 기회 … 62 2. 우주경제의 통합 개념, 현재와 미래 전략 … 79 3. 우주항공방산의 새로운 기회와 성장 … 85 4. SA&D 인더스트리에서 해답을 찾는다 … 91 5.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탐색하라 … 95 6. 투자 관점에서 바라보는 시각 … 99
PART 03 시장 선점을 위한 기업들의 성과와 전망 1. ‘274조 원 기업’ 스페이스X … 120 2. K-방산, 우주 시장을 향한 국내 기업 … 126 3. 우주 관광을 실현하는 7개 회사 … 132 4. 주목받는 글로벌 기업 … 136 5. 발사체 기업의 화려한 약진 … 145 6. 위성을 통한 새로운 기회 … 153 7. 우주공간, 다양한 기술의 적용 … 162
PART 04 우주경제의 비즈니스 기회를 노려라 1. 우주 쓰레기 제거, 18조 원 성장 시장 … 170 2. 위성산업의 다양한 서비스 … 179 3. 인공지능, 우주기술 혁신 가속화 … 188 4. 엣지 컴퓨팅, 우주에서 더 가치 있게 활용한다 … 191 5.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와 원웹(유텔셋)의 차이점 … 197 6. 위성 개발자, 내·외부 플랫폼 사용자를 고객으로 … 205 7. 우주의학, 우주비행사와 우주공간 비즈니스 기회 … 209
PART 05 우주경제의 미래 1. 미-중 경쟁이 지구를 넘어 우주로 확장 … 216 2. 인도 재벌들도 우주전쟁 참전 … 226 3. 왜 달 착륙을 목표로 하고 있을까? … 228 4. 현실적인 문제를 마주한 우주산업 … 233 5. 우주산업에 대한 무어의 법칙 … 241
PART 06 우주경제를 위한 과제들 1. 우주항공방산의 비즈니스 전략 수립을 위해 … 248 2. 우주항공방산 분야 공급망 확보 … 252 3. 우주항공방산, 더 성장하려면 스타트업을 육성해야 한다 … 255 4. 기술적 수용을 통한 성장과 효율성 … 264 5. 우주경제 상업화를 위한 4가지 과제 … 275 6. 우주에서의 경제적 기회 탐색 … 280 7. 우수한 인재 육성과 인력 확충 … 285
이용현황보기
우주경제에 투자하라 : '우주항공방산(SA&D)'을 통한 우주경제 비즈니스 전략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41249
338.476291 -24-8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0003141250
338.476291 -24-8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중
B000116137
338.476291 -24-8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우주?! 미지에서 기회로?! 우주에 일렁이는 변화의 파도에 올라타라
밤하늘에 빛나는 달을 보며, 우주여행을 떠올려본 적이 있는가? 저 우주에서 지구는 ‘창백한 푸른 점(Pale Blue Dot)’으로 보인다. 《코스모스》의 저자 칼 세이건(Carl Sagan)은 NASA의 우주선 보이저 1호가 찍은 지구의 사진을 보고 이렇게 표현했다. 지구는 창백한 푸른 점에 불과해도 아직은 온 우주에 유일한 인류의 거처다. 하지만 이제는 이 창백한 푸른 점을 벗어나려는 많은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지구가 점처럼 느껴질 만큼 광활한 우주이지만, 그곳에서 인류의 경제활동은 이미 시작되었다. 아직 체감하지 못하고 있을 뿐이다. 우주에서는 우주 정거장이 만들어지고, 우주 관광 상품이 기획되고 있으며, 수많은 발사체가 우주로 향하는 등 우주경제 시장이 펼쳐지고 있다. 각 국가의 정부는 관련 예산을 확대하고 있으며, 정부에서 주도하던 것들을 민간기업에서도 참여하도록 기회를 열어주고 있다. 이 책은 급격한 우주경제의 변화를 이해하고 그 변화의 물결에 함께할 수 있도록 돕는 안내서다. 우주경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는 정보들을 전달해주고 있으며, 우주산업이 가져올 혁신적인 변화들을 이해하기 쉽게 소개하고 있다. 우주, 항공, 방위산업, 즉 우주항공방산 분야를 중심으로 알기 쉽게 설명하며, 우주에서 미래의 비즈니스 아이템과 전략을 제시한다. 이러한 내용은 다른 분야에 있는 독자들에게도 소중한 인사이트가 될 것이다. 우리는 바야흐로 초연결, 초지능, 초융합이라는 ‘연결의 확장 시대’에 살고 있다. 삶의 공간이 우주공간까지 연결되고, 이제 일자리도 우주공간에서 찾을 수 있는 시대가 가까이 왔다. 우주에 펼쳐질 변화의 파도를 보고만 있을 것인가, 이 파도에 올라탈 것인가? 이 책에서 제시하는 답은 올라타라는 것이다. 우주는 이미 미지의 공간에만 머물러 있지 않다. 이제는 기회의 공간이다. 이 책에 나와 있는 우주 투자 성공 전략으로 한계가 없는 가능성이 열려 있는 우주경제에 투자하자.
‘우주항공방산(SA&D)’을 통한 무한한 가능성의 우주경제 비즈니스 성공 전략
우주는 새로운 경제 공간이며, 우주경제 생태계는 도전과 기회를 주고 있다. 공학박사이며 우주항공방산 전문가인 지은이는 우주에서 끝없는 도전과 비즈니스의 기회를 발굴하며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이 책은 지은이가 기업가, 투자자, 정부기관 및 대학, 우주, 항공, 방산 분야 등에 두루 관심이 있는 독자들에게 우주경제 관련 인사이트를 주기 위해 쓴 것이다.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우주경제의 흐름을 이해하고, 현실적인 난관을 미래의 비전으로 바꿀 수 있는 도전의 기회를 만들어줄 것이다. 이 책은 모두 6개의 PART로 구성되었다. PART 01은 우주경제 변화의 중심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려주며, 우주경제가 어떻게 움직이고 있는지를 소개하고 있다. PART 02는 우주항공방산의 새로운 기회와 성장에 관한 내용이다.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은 어떻게 탐색할 수 있으며, 투자 관점에서는 어떻게 바라봐야 할지를 설명하고 있다. PART 03은 우주경제 시장 선점을 위한 기업들의 성과와 전망에 관한 내용이다. 괄목할 만한 성과를 내고 있는 스페이스X, 우주 관광 사업을 실현하는 7개의 회사, 발사체 기업과 우주 시장으로 나아가는 국내 기업들까지 폭넓게 소개하고 있다. PART 04는 우주경제 비즈니스 기회에 관한 것이다. 우주 쓰레기 제거 사업과 위성산업, 인공지능, 엣지 컴퓨팅 등을 다루고 있다. PART 05는 우주경제의 미래를 그렸다. PART 06은 우주경제가 당면한 과제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소개하고 있다. 이 책을 읽고 나면 우주경제가 가깝게 느껴질 것이며, 우주공간에서 비전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책속에서
[P.11] 이 책이 기업가, 투자자, 정부기관 및 대학, 우주, 항공, 방산 분야에 다방면으로 관심이 있는 분들에게 우주공간을 경제공간으로 인식하는 데 다양한 인사이트를 줄 것으로 기대한다. 우주경제 상황은 매우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중요한 역할 중 하나는 미래의 비전을 제시하는 것이다. 세계적으로 진행되는 우주경제의 흐름을 이해하고, 우주경제의 현실적 난관을 미래의 비전으로 만들어야 한다. 우주공간이 기회의 공간으로 이동하는 인식의 변화와 구체적 방법을 찾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 이러한 여정은 순탄하지 않을 수 있다. 파도가 넘실거리는 바다에서 파도와 바람의 방향을 이용해서 서핑하는 것처럼 많은 사람이 용기를 내서, 우주공간에 일렁이는 파도에 올라타길 바란다.
[P. 20] 앞으로 우리가 어떤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하는 것에 따라 우주를 위한, 어쩌면 무모하게 생각했던 노력이 현재와 미래사회의 삶을 편리하게 만들어줄 수 있게 될 것이다. 우주 인터넷부터 우주 관광까지, 엄청난 확장성을 자랑하는 우주산업은 거대한 블루오션으로 평가받는다. 우주산업에 참여하던 구글과 같은 기업도 이제는 우주기업으로까지 확장 중이다. 앞으로는 우주 관광 및 우주제조와 같은 신산업이 출현해 우주산업 성장을 이끌 것이다. 동시에 복잡해질 우주궤도를 관리할 우주 교통관제 이슈와 국제 규범 등 다양한 분야에 중요한 이슈들이 발생할 것이다.
[P. 54] 필자가 처음 우주산업이 미래 신산업으로 가능성을 주장했을 때가 2017년이다. 아무도 우주산업에 관심이 없던 그때 필자는 주어진 상황 속에서 우주산업 시작의 여정을 시작했다. 대기업에서 우주사업부를 만들자고 기획안을 올리고, 우주항공 전문 투자 기업을 초청해서 우리의 가능성을 방산에서부터 시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