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표제: Emotion-focused counselling in action 참고문헌과 부록, 색인 수록
연계정보
외부기관 원문
목차보기
역자 서문 한국의 독자들에게 전하는 말 저자 서문
01 정서중심상담과 인간중심 경험적 접근 정서중심상담 소개 정서중심상담이란 무엇인가 정서중심상담의 발전 정서중심상담의 실무: 시작 전 점검 목록 정서중심상담의 실무 원리 정서중심상담에 대한 일반적인 우려 사항 접근의 성과에 관한 근거 학습 과정을 돕기 위한 제안들 상담 사례 소개
02 정서중심상담에서의 정서 이론 정서의 정의와 중요성 정서도식: 정서는 무엇으로 구성되는가 정서 강도와 정서조절 정서 범주: 어떤 종류의 정서가 있는가 정서 반응 유형
03 정서의 심화와 변화 정서 변화와 정서 심화 모델 변화 과정 진입 EFC에서의 정서 심화 모델 결론
04 정서중심상담의 시작: 관계 형성 및 작업의 시작 정서중심상담의 시작 단계 EFC에서 정서에 대한 공감적 조율 및 공감적 반응의 유형 치료적 현존 확립하기 내담자와 적극적으로 협력하기 및 공유 사례개념화 발달 시작하기 초기 내러티브 작업: 내담자가 자신의 이야기를 하도록 돕기 Jonah가 상담을 시작하다
05 초기 작업 단계: 전개 및 포커싱 정서중심상담에서의 치료적 과업 개관 문제 반응에 대한 환기적 전개 불분명한 감정에 포커싱하기 Bethany: 초기 작업 단계에서의 전개 및 포커싱
06 초기 작업 단계: 두 의자 작업 내적 갈등에 대한 두 의자 대화의 개요 사전 대화 및 시작 단계 깊이 들어가기 및 새로운 변화 단계 부드럽게 하기 및 협상 및 대화 후 단계 다른 종류의 갈등에 대처하기 Bethany: 초기 작업 단계의 두 의자 작업
07 후기 작업 단계: 미해결 관계 문제를 위한 빈 의자 작업 빈 의자 작업의 개요 빈 의자 작업의 시작 및 도입 단계 빈 의자 작업의 심화 및 표현 단계 빈 의자 작업의 완료 및 처리 단계 빈 의자 작업의 변형
08 후기 작업 단계: 공감적 인정 및 자비로운 자기진정 취약성과 정서적 고통 다루기 취약성에 대한 공감적 인정: 고전적인 인간중심 과업 괴로움에 대한 자비로운 자기진정 Bethany의 후기 작업 단계
09 통합 단계: 효과적인 종결 작업 종결 과정 개요 Bethany의 통합 단계 종결의 치료적 과업 다양한 종결 유형 Jonah의 종결 상담
10 정서중심상담의 다음 단계 개관 정서중심상담의 기타 측면 다른 내담자 집단에의 적용 간략한 EFC 과정 연구 요약 EFC 상담의 모니터링 방법 추가 학습과 상담 실무를 위한 권장 사항 결론
부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이용현황보기
정서중심상담의 실제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43178
616.8914 -24-21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143179
616.8914 -24-21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122310
616.8914 -24-21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내담자의 삶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상담자들은 전문가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이론을 접한다. 자신에게 알맞은 상담이론을 탐색하고, 다양한 이론들의 장점을 취합해 자신만의 상담 접근법을 개발해 나간다. 이 과정에서 탐색되는 여러 이론 중 인간의 긍정적인 잠재력, 자기와 타자의 다양성 등, 인간 중심의 인본주의를 바탕으로 발전한 정서중심상담은 최근 들어 그 효과를 인정받아 한국에서 적극적으로 소개되고 있다. 이 정서중심상담 및 심리치료에 대한 이론과 그 실무를 쉽게 이해할 수 있게 총망라한 입문서가 번역 출간됐다.
『정서중심상담의 실제』는 수십 년 전부터 영미권 전문가들 사이에서 널리 사랑받아 온 SAGE 사의 ‘상담의 실제(Counselling in Action)’ 시리즈 중 한 권이다. 그중 한국에 처음 소개된 두 권 중 하나인 본서는 정서중심상담의 주요 이론을 소개하며, 초기 작업 단계부터 통합 단계까지 단계별로 안내한다. 또한, 각 장마다 독자의 깊이 있는 이해를 돕기 위해 읽을거리, 볼거리, 성찰하기의 내용을 담은 ‘추가 탐구’를 제공하여 스스로 지식과 통찰을 넓혀갈 기회를 마련하고 있다.
다양한 불평등과 자본 중심주의로 인해 인본주의적 가치가 무시되는 현재, 모든 사람 속에 있는 근본적인 공통점을 강조하는 정서 이론은 많은 이들의 심리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어떤 문화와 어떤 삶의 상황에 있더라도, 다양한 요구를 존중하고 충족시킬 수 있게 발전된 광범위한 정서 이론 개념을 담은 이 책이 정서중심상담과 심리치료를 탐구하는 상담 전문가와 수련생에게 반가운 지침서가 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