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표제: Работа актера над собой. ч. 1, Работа над собой в творческом процессе переживания : дневник ученика 원표제: Работа актера над собой. ч. 2, Работа над собой в творческом процессе воплощения : дневник ученика 내용: 1. 체험의 창조적 과정을 통한 자신에 대한 작업 : 학생 일기 -- 2. 구현의 창조적 과정을 통한 자신에 대한 작업 : 학생 일기
연계정보
외부기관 원문
이용현황보기
자신에 대한 배우의 작업. 1-2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54054
792.028 -24-15
v.1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0003154055
792.028 -24-15
v.1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0003154056
792.028 -24-15
v.2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0003154057
792.028 -24-15
v.2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B000122242
792.028 -24-15
v.1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
B000122243
792.028 -24-15
v.2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스타니슬랍스키 시스템’의 현장으로 안내하다 배우의 ‘체험’에 대한 정신적, 심리적인 실제 연구 콘스탄틴 세르게예비치 스타니슬랍스키는 현대 배우 예술의 혁명가이자 연기 이론의 효시이다. 그는 배우, 연출가, 연기 교육자로 연극 예술, 특히 배우 예술의 발전에 절대적인 인물이다. 그를 거론하지 않고는 연극 예술, 배우 예술을 논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는 연극 예술의 평생 동지인 V. I. 네미로비치-단첸코와 함께 ‘모스크바 예술 극장’을 창립하여 오늘날 전 세계의 배우 교육기관에서 기본적으로 채택하고 있는 ‘스타니슬랍스키 시스템’을 만들어 제자들을 통해 직간접으로 전파했다. 그의 ‘시스템’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연극, 연기 예술의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많은 연극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다. 전집 2권은 『자신에 대한 배우의 작업』 1부 「체험의 창조적 과정을 통한 자신에 대한 작업」으로, 그가 밝힌 것처럼 3권, 4권과 더불어 연기 예술의 안내서이다. 특히 이 책의 서문은 ‘시스템’ 전체를 조망하고, 무대 예술의 기초와 그에 대한 올바른 접근 방식을 소개하여 ‘시스템’을 처음 접하는 독자들에게도 최고의 길라잡이 역할을 한다. 이 책은 배우의 창조 과정에 있어 ‘체험’의 중요성과 필연성에 대한 스타니슬랍스키의 실제 작업의 결과물이다. 토르초프 선생의 수업을 일기 형식으로 기록하는 속기사 출신 학생인 나즈바노프의 글은 마치 연극 학교 수업을 보고 듣는 듯한 생생한 느낌을 준다. 이 책은 총 16장 수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타니슬랍스키의 예술 세계를 온전히 만나다 러시아어 원본 전집(전 8권) 국내 첫 완역 20세기 연극계의 거장 K. S. 스타니슬랍스키의 전집이 국내 최초로 완역 출간된다. 스타니슬랍스키 전집(이하 ‘전집’, 전 8권)은 지난 세기 초·중반 세계 각국에서 번역·출판되었지만 한국에서 러시아어 원본 전집의 완역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국어판 전집은 1954~1961년 러시아 국립 출판사 예술에서 출간된 전집을 저본으로 삼아 원전의 가치를 최대한 살렸다. 번역은 한국예술종합학교 박상하 교수와 한국외국어대학교 윤현숙 교수가 맡았다. 콘스탄틴 세르게예비치 스타니슬랍스키(1863~1938)는 러시아의 배우이자 연출가이며 연기교육자로 현대 연극예술, 특히 배우 예술의 발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인물 중 한 명이다. 그는 ‘모스크바 예술 극장’을 창립하고 오늘날 전 세계의 배우 교육기관에서 기본적으로 채택하고 있는 가장 보편적인 배우 연기 메소드인 ‘스타니슬랍스키 시스템’을 창조했다. 스타니 슬랍스키 시스템은 배우 예술의 바이블이라 불리기도 하고, 이 ‘시스템’에 힘입어 스타니슬랍스키는 배우 예술의 역사에서 아리스토텔레스 이후로 가장 걸출한 이론가로도 평가받는다. 그의 시스템은 여전히 연극 예술의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많은 연극인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다. 한국어판 전집은 저자 스타니슬랍스키와 편집자들의 의도를 최대한 정확하게 전달하고자 러시아어 원본의 내용과 체제를 충실히 살려서 편집되었다. 기존 중역본의 내용 오류와 누락, 오역 등을 철저히 검토하여 잘못을 바로잡았다. 특히 국내 연극 학교와 현장에서 혼용되고 있는 ‘시스템’ 관련 용어를 정립하기 위해 번역어 사용의 일관성과 통일성을 확립하는 데 힘을 쏟았다.
연기 예술의 바이블, 전 세계 배우 교육을 선도하다 배우의 창조적 본성을 이론화한 ‘스타니슬랍스키 시스템’ ‘스타니슬랍스키 시스템’은 오늘날 전 세계의 배우 교육기관에서 기본적으로 채택하고 있는 가장 보편적인 연기 메소드이다. 스타니슬랍스키는 배우의 창조적 본성에 따른 법칙을 하나의 전체적이고 조화로운 시스템으로 구축하고자 살아생전 끊임없이 노력했다. 그는 실제 작업을 통해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이론을 정립하고, 이론과 실제 작업을 결합해 나가며 진정성 있는 연기를 위한 방법론을 개발했다. 그는 ‘만약에’, ‘대상 없는 행동’ 등 다양한 연기 기법을 제시하여 현대 연기 기술의 기틀을 마련했다. ‘시스템’은 무엇보다 러시아 민주적 연극 문화의 기반 위에서 시작되고 뿌리를 내렸다. ‘시스템’ 창조의 역사는 ‘모스크바 예술 극장’의 발전 과정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모스크바 예술 극장은 무대 예술의 혁신을 꿈꾸며, 체호프, 고리키 등 당대 작가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실험적인 연극을 추구했다. 이 과정에서 스타니슬랍스키는 네미로비치-단첸코를 비롯한 동료들과 함께 오랜 기간 연구하고 실험하며, 배우들의 창조성을 이끌어내고, 작품의 진정성을 높이기 위한 체계적인 방법론인 ‘시스템’을 개발하기에 이른다. 그런 의미에서 ‘시스템’은 단순히 개인의 이론이 아니라, ‘모스크바 예술 극장’이라는 실험적인 무대에서 끊임없이 검증되고 발전된 결과물이다. 당대 ‘모스크바 예술 극장’의 성공은 스타니슬랍스키 ‘시스템’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시스템’은 곧 ‘예술 극장’의 전투적인 사상적, 창조적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했다. 스타니슬랍스키는 여러 작가의 작품을 연출하고, 수많은 배역을 소화하며 ‘시스템’을 실천하고 발전시켰다. 특히, 체호프 극의 인물들을 통해 ‘시스템’의 효과를 극대화했으며, 나아가 오페라 무대까지 영역을 확장하여 ‘시스템’의 가능성을 입증했다. 오늘날에도 ‘시스템’은 많은 연극인들에게 중요한 지침이 되고 있다. ‘시스템’의 핵심인 전집 2권은 속기사 출신인 학생 배우 나즈바노프의 일기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극 학교에서 학생 배우들과 선생들(토르초프 선생님과 라흐마노프 조교 등)이 실제 수업 현장에서 접하는 ‘시스템’에 따른 커리큘럼이 상세히 담겨 있어 연기 교육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하며, 연극계에서는 반드시 읽어야 할 책으로 평가받는다.
책속에서
[P.136] ‘만약에’부터 시작해 볼까요. 무엇보다 ‘만약에’는 모든 창조의 시작점이라는 측면에서 주목할 만합니다. ‘만약에’는 배우를 현실에서 창조가 실현될 수 있는 세계로 데려다주는 다리입니다. 창조가 한층 더 점진적이고 논리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자극만 주는 ‘만약에’도 있어요. 예를 들어보죠.
[P. 143] ‘제시된 상황’은 ‘만약에’와 동일하고, ‘만약에’는 ‘제시된 상황’과 동일하다는 것이죠. 하나는 가정(‘만약에’)이고, 나머지 하나는 그것에 대한 부연(‘제시된 상황’)입니다. ‘만약에’는 항상 창조를 시작하게 하고, ‘제시된 상황’은 그것을 발전시키죠. 하나는 나머지 하나 없이 존재할 수 없고 자극하는 힘도 받을 수 없어요.
[P. 364] 여러분이 이 모든 것을 수행했다면, 나는 여러분에게 정서적 기억이 있다고 인정했을 겁니다. 그러나 오늘 여러분은 내가 언급했던 어떤 가능성도 보여주지 않았어요. 오늘 여러분은 첫 번째 여행자처럼 놀라운 정확함으로 외적 행동만 반복했을 뿐 내적 체험으로 달아오르지는 않았죠. 오늘 여러분은 결과만 신경 썼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