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획의 말 _엄기호(사회학자, 청강문화산업대학교 교수)
프롤로그 _김선민(청강문화산업대학교 만화콘텐츠스쿨 웹소설창작전공 교수)
01 이야기를 좋아하는 마음은 같으니까
― 평생 독자를 발견하는 새로운 씨앗, 웹소설로 책 대화하기
웹소설이라도 읽어서 다행인 세상
서로에게 배우는 마음으로
우리들의 웹소설 역사 공유하기
종이책에 등 돌리지 않는다
가상의 세계에서 진실 말하기: 웹소설 형식의 힘 _〈데뷔 못 하면 죽는 병 걸림〉 함께 읽기
나눌 이야기가 많으면 좋은 책 _《우리의 정원》 책 대화가 일깨워 준 것
남이 보여 준 서사가 아니라 내가 만든 서사를 갖는 기쁨
어떻게 읽느냐가 중요하다
02 책과 나 사이에 그은 선을 지우는 일
― 사고의 균열을 일으키는 웹소설 읽기
문학 창작반에 찾아온 “쾅!”
시작은 얄팍했다
무시무시한 흡인력 속에서 _[1~3차시] 〈전지적 독자 시점〉 독서일지 쓰기
흥미로운 질문 쥐여 주기 _[4~5차시] 모두가 말하는 모둠 토의
문해력 문제가 아닐지도 모른다 _매끄럽고 영리한 글의 의미
혼란의 한복판에 뛰어드는 읽기 _생각지 못한 교육적 효과
쉽게 평가하고 연민하지 못하는 경험 _[6차시] 서평 초고 쓰기
소설의 목표에 닿다 _[7차시] 인간과 세계의 이면을 응시하게 하는 서평
스토리의 역할을 인정할 때 선명해지는 것
03 클리셰라는 도움닫기
― 누구나 쓸 수 있는 즐거움에 초대하는 웹소설 창작
필요한 건 독창성이 아닌 전형성
웹소설 작가 데뷔 1초 전 _[1차시] 독자 중심 글쓰기의 의미
Lv.0 사람들은 어떤 웹소설을 좋아할까? _[2~4차시] 장르별 웹소설 탐구
Lv.1 망망대해에서 클리셰를 찾아라! _[5~6차시] 장르 작가 집단 토의
Lv.2 선명하고 직관적인 스토리를 위해 _[7~12차시] 장르 클리셰 활용
Lv.3 클리셰는 독자만을 위한 것일까? _[13~15차시] 로그라인과 시놉시스 작성
말하지 않았지만 말하고 싶었던 우리의 메시지들
두근두근, 웹소설 1화 대공개!
재미있는 이야기는 성공한다
[참고자료] 중학생을 위한 웹소설 창작 활동지
04 세상을 구하는 웹소설 수업
― 5060 동교과메이트와 함께, 시대의 욕망을 공존의 가치로 끌어오는 문학 시간
그래도 학교에선 안 돼!
정규 수업에서 웹소설을 가르치려면
두 부장님의 얼렁뚱땅 웹소설 입성기
사회 문제에 관심은 있지만… 저는 한낱 개인인걸요?
판타지가 여는 새로운 길 _[1차시] 지속가능발전목표와 웹소설 연결하기
의외의 퀘스트들 _[2~3차시] 〈나 혼자 탑에서 농사〉 읽기
어떤 동기와 능력으로 해결할까? _[4차시] 주인공의 특징
어떤 세상에서 해결할 수 있을까? _[5차시] 세계관 형성 요소
소시민에서 행동하는 실천가로 _[6~7차시] 사회 문제의 원인 찾기
놀러 와요, 나의 이세계 _[8~9차시] 판타지 요소로 사회 문제 해결하기
웹소설이기에 가능했다
[인터뷰] “이제 어떤 형태의 수업도 두렵지 않다.”: 막무가내 후배의 수업 파트너, 오애경 부장님 후기
05 콘텐츠로 미래를 준비하는 너에게
― 자신의 이야기와 꿈, 욕망을 담는 웹소설 쓰기 프로젝트
너희 이렇게 웹소설 좋아했다고?
무한히 확장되는 시드 콘텐츠
일러스트와 웹툰부터 게임, 드라마까지
쓰고 싶은 장르를 찾아서(feat. 챗GPT) _[1차시] 관심 콘텐츠와 웹소설 탐색
키워드 위에 짓는 내 취향의 세계 _[2차시] 세계관과 스토리 윤곽 설계
살아 보지 못한 삶을 이해하는 시간 _[3차시] 캐릭터 구상
이야기가 가야 할 방향 설정하기 _[4~5차시] 시놉시스 완성
쓰다 보니 내 얘기잖아? _순문학 창작과 다름없는 웹소설 창작
진로 글쓰기의 또 다른 진화
[참고자료] 웹소설 쓰기 프로젝트 과제 모음
06 이것은 시대를 초월한 이야기일까?
― 토의 질문으로 탐색하는 고전소설의 가치와 웹소설의 미래
웹소설은 낯설고 고전소설은 지루해
고전소설과 웹소설이 비슷하다고?
웹소설과 친해져 보자 _[1~4차시] 웹소설의 특징 이해하기
조선시대 사람들도 ‘사이다’를 좋아했네요! _[5~8차시] 고전소설의 매력
“약한 사람들이 먼저 죽는 것은 마땅할까?” _[9~12차시] 비판적으로 읽는 웹소설
“불공평한 조건에서의 성취는 공정할까?” _[13~18차시] 고전소설과 웹소설을 관통하는 질문 찾기
권선징악과 일장춘몽을 넘어서 _웹소설이 보여 준 고전의 가치
웹소설도 고전이 될 수 있을까? _[19~20차시] 고전의 조건
과거와 현재를 잇는 새로운 상상력: 〈흥부집 막내아들〉
고전소설에 웹소설 더하기
더 넓고 깊은 읽기를 위한 질문을 기대하며
[참고자료] 고전소설과 엮어 읽기 좋은 웹소설
주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3155662 | 808.3 -24-21 |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 이용가능 | |
0003155663 | 808.3 -24-21 |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 이용가능 | |
B000121809 | 808.3 -24-21 | 부산관 종합자료실(1층)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 서가번호: 12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