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주요 내용 및 정책제안 4

CHAPTER 1. 연구의 개요 7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8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3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16

4. 연구의 기대효과 18

CHAPTER 2.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19

1. 지역산업 쇠퇴에 대한 이론 및 실증 연구 20

2. 지역산업 재편에 대한 이론 및 실증 연구 26

CHAPTER 3. 사례연구 분석체계 32

1. 사례지역 도출 33

2. 연구 접근법 41

3. 사례연구 방법 43

CHAPTER 4. 경상북도 구미 사례 47

1. 산업도시의 탄생 48

2. 산업도시의 위기 57

3. 구미의 산업구조 전환 69

4. 소결 76

CHAPTER 5. 경상북도 영주 사례 84

1. 도농복합 도시의 특징 85

2. 제조업 기반 형성 96

3. 지역 활성화 프로젝트 105

4. 소결 120

CHAPTER 6. 결론 및 정책제언 122

1. 연구 결과 종합 123

2. 정책제언 133

3. 연구의 한계와 향후 과제 140

참고문헌 141

SUMMARY 148

판권기 151

표목차

표 1-1.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17

표 2-1. 경로의존성의 특징 21

표 2-2. 지역 산업구조의 고착화 탈피 방안 23

표 2-3. 지역산업 경로 발전의 유형과 메커니즘 28

표 2-4. 산업구조 재편 전략의 비교 31

표 3-1. 산업도시 기준 36

표 3-2. 사례지역 선정 기준 38

표 3-3. 인터뷰 응답자 44

표 4-1. 구미 국가산업단지 현황 54

표 4-2. 구미 국가산업단지 수출액 및 무역흑자 현황 55

표 4-3. 주요 산업도시 종사자 기준 엔트로피 지수 75

표 5-1. 영주시 산업 소분류별 사업체, 종사자, 매출액 현황 90

표 5-2. 영주시 주요 기업 및 연구기관 92

표 5-3. 영주시 10대 제조기업 매출액(2018년) 94

표 6-1. 구미와 영주의 지역산업 구조 전환 방안 128

그림목차

그림 1-1. 시도별 소멸 위험 시ㆍ군ㆍ구 수 및 비중(2024년 3월 기준) 10

그림 1-2. 연구의 흐름 15

그림 2-1. 지역발전의 긍정적 고착화와 부정적 고착화 22

그림 3-1. 사례지 후보(중소도시 × 인구감소지역 × 지방소멸위험지역: 총 7곳) 39

그림 3-2. 현장 연구 분석 틀 46

그림 4-1. 구미시 생산 추이(2000~2021년) 52

그림 4-2. 구미시 수출입 추이(2000~2023년) 56

그림 4-3. 삼성전자 구미 공장 이전 관련 뉴스 기사 58

그림 4-4. 구미시 산업위기에 따른 인구감소 64

그림 4-5. 구미시 인구 추이(1980년~2023년) 65

그림 4-6. 구미 산업구조 주요 변천사 83

그림 5-1. 스마트팜 부품 및 관ㆍ급수 제어 시스템도 88

그림 5-2. 영주시 인구 추이(1980~2023년) 93

그림 5-3. 영주시 생산 동향(2000~2021년) 95

그림 5-4. 영주 소셜벤처프로그램 거점 공간 107

그림 5-5. 영주 중앙시장 양조 타워 조성 공간 및 출시 예정인 독주(코냑) 115

그림 6-1. 반도체 산업 가치사슬 134

이용현황보기

지방소멸 대응을 위한 지역 산업구조 전환 연구 = A study on transforming regional industrial structures to address regional decline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216811 338.0951 -25-16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0003216812 338.0951 -25-16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