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중국 선시禪詩와 그 시대별 흐름
1. 선禪과 선시禪詩는 무엇인가
2. 초기 선시의 현학玄學과의 연계 - 위·진·남북조
3. 혜능慧能과 성중당盛中唐의 선시 - 당대
4. 소식蘇軾과 강서시파江西詩派 그리고 시선일치詩禪一致 - 북송과 남송
5. 외세와 선불禪佛 의식의 감소 - 원·명·청대
Ⅰ. 진晉 · 남북조南北朝 선시
[지둔支遁] 감회를 읊다詠懷詩
[혜원慧遠] 여산의 동림사廬山東林雜詩
[구마라십鳩摩羅什] 열 번 깨닫다十喩詩
[사령운謝靈運] 석벽정사에서 무호로 돌아오며 쓰다石壁精舍還湖中作
[사령운謝靈運] 구계 석실산에 들러 스님께 식사 대접하고過瞿溪石室飯僧
[유효작劉孝綽] 동림사東林寺詩
[소강蕭綱] 수중루 그림자水中樓影詩
[강총江總] 서하사 방에 조용히 누워 서 좨주를 기다리며靜臥棲霞寺房望徐祭酒
[음갱陰鏗] 개선사開善寺
[달마達磨] 부처 찬양 노래偈
Ⅱ. 당唐 선시
[노조린盧照隣] 창화산 정사에서 노닐며游昌化山精舍
[왕범지王梵志] 형상이 아니라고 형상 아닌 것이 아니다非相非非相
[왕범지王梵志] 그림자 보면 본래 있지 않다觀影元非有
[혜능慧能] 법게를 얻다得法偈
[한산寒山] 백 살도 못 사는 인생人生不滿百
[한산寒山] 사계절은 멈추지 않고四時無止息
[한산寒山] 한산 길에 오르니登陟寒山道
[송지문宋之問] 영은사靈隱寺
[장열張說] 옹호의 산사㴩湖山寺
[맹호연孟浩然] 진중에서 가을을 맞아 원 스님에게 부치며秦中感秋寄遠上人
[맹호연孟浩然] 융 스님의 절을 찾아서過融上人蘭若
[맹호연孟浩然] 의공의 선방에 쓰다題義公禪房
[맹호연孟浩然] 저녁에 심양에 배 대고 향로봉 바라보며晩泊潯陽望香爐峯
[이백李白] 도애 스님께 드리다贈僧崖公
[이백李白] 촉 땅 준 스님의 거문고 연주를 들으며聽蜀僧濬彈琴
[이백李白] 호주 가섭 사마의 ‘이백은 누구인가’ 물음에 답하며答湖州迦葉司馬問白是何人
[이백李白] 산 스님을 찾아갔으나 만나지 못하고尋山僧不遇作
[이백李白] 사리불舍利佛
[왕유王維] 복부산 스님께 식사 대접하고飯覆釜山僧
[왕유王維] 변각사에 올라登辨覺寺
[왕유王維] 병환 중인 호 거사에게 공양미를 보내드리며胡居士臥病遺米因贈
[왕유王維] 향적사를 찾아서過香積寺
[왕유王維] 가을밤 홀로 앉아秋夜獨坐
[왕유王維] 여름날 청룡사에 들러 조 선사를 뵈옵고夏日過靑龍寺謁操禪師
[왕유王維] 장맛비에 망천장에서積雨輞川莊作
[왕유王維] 종남 별장終南別業
[왕유王維] 사슴 울짱鹿柴
[왕유王維] 대숲 집竹里館
[유장경劉長卿] 남계에 은거하는 상산 도인을 찾아가서尋南溪常山道人隱居
[유장경劉長卿] 영철 스님을 보내며送靈澈
[습득拾得] 반야주가 맑고 차네般若酒泠泠
[습득拾得] 평생 무엇을 근심하는가平生何所憂
[습득拾得] 일 없이 한가하고 즐거워無事閑快活
[두보杜甫] 용문산 봉선사에서 노닐며游龍門奉先寺
[두보杜甫] 귀한 분들과 자은사 탑에 올라同諸公登慈恩寺塔
[두보杜甫] 도솔사에 올라上兜率寺
[잠삼岑參] 고적, 설거와 함께 자은사 불탑에 올라與高適薛據登慈恩寺浮圖
[전기錢起] 일본으로 돌아가는 스님을 보내며送僧歸日本
[상건常建] 파산사 뒤 선원에 쓰다題破山寺後禪院
[대숙륜戴叔倫] 휘 스님의 독좌정暉上人獨坐亭
[장계張繼] 풍교에서 밤에 배를 대고楓橋夜泊
[교연皎然] 육홍점을 찾아가 만나지 못하고尋陸漸不遇
[교연皎然] 선시禪詩
[교연皎然] 광릉으로 돌아가는 변총 스님을 보내며送辨聰上人還廣陵
[노륜盧綸] 선유사를 찾아서過仙游寺
[한굉韓翃] 천복사 형악 선사의 선방에 쓰다題薦福寺衡岳禪師房
[구양첨歐陽詹] 산속 노스님山中老僧
[한유韓愈] 영사의 거문고 연주를 듣다聽穎師彈琴
[유우석劉禹錫] 군소 스님을 송별하며贈別君素上人詩
[백거이白居易] 대림사 복사꽃大林寺桃花
[유종원柳宗元] 새벽에 초사원을 찾아 불경을 읽다晨詣超師院讀禪經
[유종원柳宗元] 법화사 서쪽 정자에서 밤에 술을 마시며法華寺西亭夜飮
[황보식皇甫湜] 석불곡石佛谷
[이하李賀] 영사의 거문고 곡조를 듣다聽穎師彈琴歌
[봉오封敖] 서은사에 쓰다題西隱寺
[장호張祜] 연천사 가는 길涓川寺路
[고변高騈] 호두의 이수량 처사에게 부치며寄鄠杜李遂良處士
[설능薛能] 선사에게 드리다贈禪師
[사공도司空圖] 우두사牛頭寺
Ⅲ. 송宋 선시
[문조文兆] 서산정사에 머물며宿西山精舍
[임포林逋] 동산의 작은 매화山園小梅
[왕안석王安石] 오진원悟眞院
[소식蘇軾] 사주의 승가탑泗州僧伽塔
[소식蘇軾] 금산사에서 노닐며遊金山寺
[소식蘇軾] 법혜사의 횡취각法惠寺橫翠閣
[소식蘇軾] 아픈 중에 조탑원에서 노닐며病中游祖塔院
[소식蘇軾] 서림사 벽에 쓰다題西林壁
[소식蘇軾] 여산의 안개비廬山煙雨
[소식蘇軾] 동림사 총 장로께 드리다贈東林揔長老
[소식蘇軾] 남화사南華寺
[소식蘇軾] 용광사 장로께 드리다贈龍光長老
[황정견黃庭堅] 낙성사에 쓰다題落星寺
[황정견黃庭堅] 악주의 남루에서 쓰다鄂州南樓書事
[진관秦觀] 처주의 수남암 2수處州水南庵二首
[진사도陳師道] 구국보와 함께 사산에 올라和寇十一同登寺山
[당경唐庚] 서선사에서 저녁에 돌아와 본 것을 쓰다 2수棲禪暮歸書所見二首
[혜홍惠] 숭승사 뒤에 대나무 천 여 대가 있는데, 유독 한 뿌리가 솟아 나와, 사람들이 죽존자라고 부르므로, 시를 짓는다崇勝寺後, 有竹千餘竿, 獨一根秀出, 人呼爲竹尊者, 因賦詩
[여본중呂本中] 유주 개원사 여름 비柳州開元寺夏雨
[증계리曾季貍] 정각사에 머물며宿正覺寺
[진여의陳與義] 청명절淸明
[진여의陳與義] 모란牡丹
[오가吳可] 시를 배우는 시 3수學詩詩三首
[양만리楊萬里] 새벽에 정자사를 나서 임자방을 보내며曉出淨慈寺送林子方
[엄우嚴羽] 익 스님의 절을 찾아서訪益上人蘭若
Ⅳ. 원元 · 명明 · 청淸 선시
[조맹부趙孟頫] 인 선사를 애도하며因禪師挽詩
[양유정楊維禎] 진각원眞覺院
[예찬倪瓚] 소한관에서 밤에 앉아서蕭閑館夜坐
[예찬倪瓚] 거미줄에 떨어진 꽃蛛絲網落花
[고계高啟] 지둔암支遁庵
[이동양李東陽] 악록사에서 노닐며游岳麓寺
[당인唐寅] 나이 칠십의 노래七十辭
[하경명何景明] 초당사草堂寺
[서위徐渭] 서하사에 머물며宿棲霞
[전겸익錢謙益] 벽운사碧雲寺
[오가기吳嘉紀] 눈 오는 밤 종소리 들으며雪夜聞鐘
[여류량呂留良] 오공사에서 매화를 보며悟空寺觀梅
[굴대균屈大均] 영산사에서 샘물 소리 들으며靈山寺聽泉
[정섭鄭燮] 욱종 스님께 드리다 2수贈勖宗上人二首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