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 수 있다’는 마음과 작은 스마트폰 하나로 유라시아의 끝에 닿다! 부산의 아시안하이웨이에서 출발해 유라시아 대륙을 가로지른 도전의 기록
가슴 속 열정과 손안의 스마트폰 하나면 당신도 유라시아 대륙을 달릴 수 있다!
지구의 동쪽 끝에서 서쪽 끝까지 133일 동안 4만 3,000km를 달린 경이로운 유라시아 대륙 횡단기
유라시아 대륙의 시작점은 어디일까? 저자는 재미있게도 부산이라 말한다. 아시안하이웨이 1번 도로가 부산에서부터 시작하기 때문이다. 〈좌충우돌 엄마의 유라시아 횡단기〉는 바로 여기, 부산의 아시안하이웨이에서 출발하여 133일간 43,000km의 유라시아 대륙 횡단을 완주한 기록이다. 본래 부산을 국제관광도시로서 어떻게 브랜딩할지 고민하던 것을 계기로 시작된 여정은 30개국 128개 도시를 거쳐 끝을 맺었다. 쉬운 여정은 아니었다. 3년을 준비해 떠났지만 시작 전부터 코로나와 전쟁 발발이 암시했듯 편한 여행과도 거리가 멀었다. 러시아로 바로 입국할 수 없어 몽골을 거쳐야 했으며, 차량이 전복되기도 하고 물건을 통째로 도둑맞아 차창을 갈아 끼우는 등 사건 · 사고가 가득했다. 그러나 동시에 이 여정에는 독립운동의 거점이었던 연해주와 분단의 아픔을 겪은 독일에서 띄운 평화의 연, 세계 속의 한국을 확인하게 해주는 사람들, 동서양의 문명이 교차했던 역사가 남긴 유라시아의 놀라운 경관이 함께했다. 코로나 시기의 어려움을 딛고 “유라시아 대륙횡단 프로젝트, 한번 해보자”는 마인드로 여정을 시작한 저자는 BIE 사무국을 방문해 2030 부산월드엑스포 홍보를 위한 청원서를 전달했으며 횡단하며 찍은 영상은 부산국제영화제 다큐멘터리 부분 상영작으로 선정되는 결과를 낳았다. 도전은 고생보다 값진 보상으로 돌아왔고, 여행의 경험은 소중한 자양분이 되었다. 이 모든 경험을 생생한 사진, 그리고 해외 자동차 여행을 위한 팁과 함께 여행기에 담았다. 만약 당신이 낯선 여정에 뛰어들고자 한다면, 저자의 이 ‘좌충우돌’ 여정이 첫걸음의 발판이 되어줄 수도 있을 것이다.
책속에서
[P.50] 어제 내린 비 때문인지 울창한 삼림이 더 싱그럽게 느껴진다. 러시아는 자작나무의 나라이다. 어딜 가나 어느 계절에나 끝없이 펼쳐진 자작나무 숲을 볼 수 있다. 바이칼 호수로 넘어가는 길은 울창한 자작나무 숲길이다. 굽이굽이 넘어가는 숲길에서 허순애 님이 오카리나 연주를 들려줬다. 자작나무 사이 사이로 보이는 바이칼 호수와 청아한 오카리나 연주의 조합이 혼을 빼놓았다. 바이칼 호수는 푸틴이 가장 좋아하는 곳으로 한 번씩 웃통을 벗고 수영하는 모습을 보이며 건재함을 자랑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춘원 이광수의 『유정』 테마가 만들어진 이곳은 영적 에너지가 많아서 예술가들이 영감을 받으려고 오는 곳이기도 하다.
“나는 바이칼호의 가을 물결을 바라보면서 이 글을 쓰오. (중략) 달빛을 실은 바이칼의 물결이 바로 이 어촌 앞의 바위를 때리고 있소.” - 춘원 이광수의 『유정』 中
[P. 122] 홍보관 앞에 섰을 때 둘러보니 다들 쭈뼛쭈뼛하게 뒤로 물러나 있고 나 혼자 홍보관과 대면하고 있는 게 아닌가. 순간 머릿속이 하얘지고 정신이 하나도 없었다. 열심히 뭔가를 말했고 청원서도 전달했는데 뭐라고 했는지 기억이 하나도 안 났다. 나중에 영상을 보니 열심히 연습한 걸 얘기해야 했는데 같은 말만 반복하고 있었다. 제발 부산이 되게 해 달라고 몇 번을 얘기하고 있는지. 좀 우습기도 하고 민망하기도 했다. 누군가 기록할 것이다. 그날 엄마는 용감하고 훌륭했다고.
“유라시아의 동쪽 출발점 부산에서 열리는 2030 월드엑스포가 세계사와 문명사의 흐름을 긍정적으로 바꾸는 바람이길 희망하면서 반드시 유치될 수 있도록 청원 드립니다.”
[P. 208] 피톤치드가 그윽하다. 멀리 만년설이 보이는 해발 2,200m에 위치한 알라 아르차 국립공원. 깎아지른 듯한 산자락과 거대한 자연 크리스마스트리가 조화롭다. 물의 나라임을 보여준다. 키르키즈스탄 국회의사당에서 국회의원 3명의 환대를 받았다. 엑스포 배지도 달아주면서 기념사진도 찍었다. 키르키즈스탄에서 10여 년 넘게 살고 있는 조정원 대표의 주선으로 이루어진 만남이었다. 좋은 일에 앞장서고 봉사하면서 쌓아 온 조정원 대표의 신뢰 자산이 어느 정도인지 확인할 수 있었다. 국회 차원의 환대에 몸 둘 바를 모르겠다. 감사하면서도 숙연해진다. 키르키즈 국회의사당에서 있었던 국회의원 3명과의 만남의 시간. 한국에 대해 관심이 많았고 민간 차원에서의 교류도 원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