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PART 01. M&A와 절차에 대한 모든 것

01 M&A의 첫걸음, 절차에 대해 알아보자
01 M&A의 주요 목적은 무엇일까
02 M&A의 주요 유형
03 M&A의 단계별 절차
04 M&A의 리스크와 도전 과제

참고 | M&A가 실패하는 다양한 이유
- 기업 문화의 충돌
- 인수 가격의 과대 평가
- 재무적 문제 및 부채 부담
- 전략이 적합하지 않은 M&A 시도
- PMI 실패
- 충분한 실사(DUE DILIGENCE)부족

업그레이드 | M&A를 진행하면서 실사를 하는 이유
01 기업의 재무 상태 검토
02 법률상 리스크 파악
03 재무 및 세무 리스크 평가
04 지적 재산권(IP) 및 기술 검토
05 영업 실적 및 고객 기반 분석
06 조직 및 인적 자원 분석
07 사업 전망 및 성장 가능성 평가
08 환경, 사회적 리스크 평가
09 PMI(POST-MERGER INTEGRATION) 준비

02 M&A 이후 기업 성공과 실패의 요인들
01 리더십 및 의사결정 문제
02 어쩔 수 없는 시장 반응과 외부 요인의 변화

03 M&A는 무엇 때문에 시작되는가
04 M&A에서 가장 중요한 경영권에 대한 이해
05 M&A 대상 기업은 어떻게 선정되는가

06 사모펀드의 입장에서 인수대상 기업 선정기준
참고 | 매수인 입장에서 인수대상 회사를 고르는 기준은 무엇인가

07 인수대상을 물색하는 방법 총정리
01 자문사 및 네트워크 활용에 대하여
02 공개 매물 탐색이란
03 직접 탐색하는 방법
04 파트너십 및 협력 관계 활용

08 M&A의 구체적인 진행단계에 대해서 알아보자
01 거래의향 확인
02 비밀유지각서(NON-DISCLOSURE AGREEMENT, NDA) 체결
03 예비적 제안
04 텀싯(TERM SHEET) 체결
05 실사
06 본계약 체결
07 종결(클로징)

09 오너에게 있어서 투자유치와 M&A시 고민할 것들
01 투자유치 전략은 어떻게 될까?
02 투자유치를 받을 수 있는 기관은?

참고 | M&A 절차에서 각 전문가들의 역할
- 공인회계사의 재무적 어드바이스
- 법적인 리스크를 제거하는 변호사
- 부동산 등을 보유한 법인에 특화된 감정평가사의 조력

10 M&A 중개기관을 통하는 것이 합리적인 이유

11 M&A로 인한 분쟁이 발생하면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01 재무 실사(DUE DILIGENCE)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쟁
02 계약 조건 불이행으로 인한 분쟁
03 비밀 유지 및 경업 금지 의무 위반으로 인한 분쟁
04 인수 후 통합 과정에서의 경영권 분쟁
05 인수 후 성과 미달로 인한 분쟁

12 적대적 M&A에 대한 경영권 방어
01 포이즌 필 (POISON PILL)
02 백기사 (WHITE KNIGHT)
03 황금 낙하산 (GOLDEN PARACHUTE)
04 자사주 매입 (SHARE BUYBACK)
05 차등 의결권 주식 (DUAL-CLASS STOCK)
06 그린메일 (GREENMAIL)

13 투자유치에서 빼 놓을 수 없는 벤처캐피탈

14 최근 대한민국 벤처캐피탈의 역할은 어떻게 되고 있나
01 초기 자금 지원 및 성장 촉진
02 경영 및 네트워킹 지원
03 글로벌 진출 지원
04 기술 혁신 및 디지털 전환 촉진
05 M&A 및 IPO 지원

참고 | 우리 나라에서 활동중인 벤처캐피탈
참고 | 우리 나라에서 활동중인 사모펀드
참고 | 금리가 인하되기 시작하면 M&A 시장에는 어떤 영향이 있을까

PART 02. M&A 기업가치평가

01 M&A에서 기업가치 평가란
01 수익 접근법 (INCOME APPROACH)
02 시장 접근법 (MARKET APPROACH)
03 자산 접근법 (ASSET APPROACH)

02 기업가치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03 기업가치평가의 한계와 주의사항
04 기업가치평가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DCF법

05 거래사례비교법을 통한 기업가치 평가
참고 | 주요 멀티플의 의미와 공식
업그레이드 | 멀티플의 해석과 활용

06 기업가치 평가를 할 때 어떤 평가방법을 사용해야 할까
01 성장성이 높은 기업에 적합한 평가방법
02 안정성이 높은 기업에 적합한 평가방법
03 투자원금 회수기간에 중점을 둔 평가방법
04 기업의 내재가치에 중점을 둔 평가방법

07 매수자에 따라 기업가치는 다르게 평가된다



PART 03. 협상과 계약체결

01 M&A에 있어서 협상과정 총정리
01 예비 협상 및 비밀유지 계약(NDA) 체결
02 인수의향서(LOI) 작성 및 서명
03 실사(DUE DILIGENCE)
04 최종 협상 및 인수 계약서(SPA) 작성
05 종결(CLOSING)
06 인수 후 통합(POST-MERGER INTEGRATION, PMI)

참고 | M&A와 관련된 법률 이슈 정리
참고 | M&A 거래구조에 있어서 검토해야 할 상법 총정리
참고 | 적대적 M&A 방어 관련 상법 규정

PART 04. 매도인의 주의사항

01 매도인이 M&A 혹은 투자유치 각 단계별로 챙겨야 할 것들
01 매각(투자유치) 전략 수립
02 매각(투자유치) 준비
03 마케팅(투자자 탐색)
04 투자자 접촉 및 협상 시작
05 예비실사
06 MOU 체결
07 본실사
08 거래가격 등 조건 협상
09 승인
10 본계약 체결
11 종결(클로징)
02 진술 및 보증사항 위반과 관련한 매도인의 손해배상의 범위
03 매도인의 세금 부담 문제

PART 05. 매수인의 주의사항

01 매수인의 주의사항
01 목표 설정과 거래 목적의 명확화
02 적합한 대상 기업 선정
03 가치 평가 및 적정 가격 설정
04 리스크 관리 전략
05 자금 조달 전략
06 통합 계획과 시너지 창출
07 규제 당국 및 이해관계자 관리
08 장기적 성장 전략과 지속 가능한 경쟁 우위 확보

참고 | 매수인의 입장에서 주의해야 할 근로관계 승계 이슈
참고 | M&A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세무 이슈 총정리

PART 06. 가업승계를 위한 M&A 딜소싱 활용 가이드

01 가업승계형 M&A
01 경영 안정성 확보
02 자산 이전 및 구조조정
03 세금 부담 완화
04 후계자 양성 및 경영권 안정성
05 경쟁력 강화 및 사업 확장
06 가업의 지속 가능성 확보

02 가업승계에 M&A를 활용한 성공사례
01 삼양그룹: 전략적 M&A를 통한 가업승계 성공
02 효성그룹: 두 차례의 인적분할을 통한 계열 분리
03 신세계그룹: 인적분할을 통한 계열분리와 주식교환을 통한 지분정리
04 CJ그룹: M&A를 통한 글로벌 확장 및 사업 포트폴리오 강화
05 LG그룹: 사업부문 분할과 M&A를 통한 독립 경영

03 가업승계형 M&A의 해외사례들
01 로레알(L'ORÉAL): 가족 경영과 전략적 M&A의 조화
02 피아트(FIAT): 합병을 통한 글로벌 자동차 기업으로의 도약
03 PVH(PHILLIPS-VAN HEUSEN): 패션 브랜드의 글로벌 확장을 위한 M&A
04 소니(SONY): 엔터테인먼트 산업으로의 확장을 위한 M&A
05 이케아(IKEA): 지배구조 개편을 통한 경영권 승계

참고 | 가업승계시 영업양수도 방식과 실무상 고려사항들
참고 | 영업양수도 계약서에 들어가야 할 항목들

이용현황보기

(M&A와 투자유치 전문가를 위한) M&A 사용설명서 : M&A와 투자유치에서 가장 핵심적인 내용만 담았다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60399 658.16 -25-1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B000124372 658.16 -25-1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변호사님, 회계사님, 제 기업 좀 팔아주세요.”

M&A를 꿈꾸는 중소기업의 흔한 요청이다. 하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다. 기업을 매각하려면 업종, 기업의 특성, 밸류체인, 심지어 오너의 마인드까지, 인수인을 설득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이 너무나 많다.

특히 국내 중소형 M&A 거래는 딜사이즈가 작아 전문적인 자문을 받기조차 어려운 경우가 많아 성공 사례는 극히 드물다. 실무서적을 찾아봐도 너무 방대해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하기만 하다.

그래서 저자는 생각했다.

“M&A의 A부터 Z까지 쉽게 읽을 수 있는 책이 있으면 좋겠다.”

이 책은 중소벤처기업 전문 M&A 자문사 더블유엠디(WMD)의 변호사, 회계사, 감정평가사, 경제 전문가들이 공저한 결과물이다.

삼정KPMG 출신 이제민 대표(변호사ㆍ회계사), 김·장 법률사무소에서 M&A 업무를 담당했던 곽상빈 이사(변호사ㆍ회계사ㆍ감정평가사), 102만 구독자를 보유한 '전인구 경제연구소'의 전인구 이사, PWC 컨설팅과 스타트업 창업 경험을 지닌 장성수 변호사, KB증권에서 IPO 업무를 담당했던 이상현 회계사, 법무법인 세종 출신 임정택 변호사, 중소벤처기업부 전문위원을 거쳐 각종 법률 방송에 출연했던 장현우 변호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풍부한 경험을 쌓은 전문가들이 힘을 모았다.

살벌한 M&A의 최전선을 몸소 경험한 ‘진짜 전문가’들이 M&A를 처음 접하는 기업 오너와 실무자의 관점에서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내용을 담았다. 협상, 실사, 밸류에이션, 계약서 작성, 클로징, PMI까지 모든 과정을 알기 쉽게 풀어냈다.

단순한 이론과 성공 사례에 그치지 않고, 실제 현장에서 마주하는 다양한 변수들과 그 대처 전략까지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이 책이 M&A를 준비하는 모든 중소기업 경영인들에게 든든한 길잡이가 되기를 기대한다.

책속에서

알라딘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