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추천사 … 5


제1장│나는 유일무이한 유튜버다(유튜버 마인드셋)
▶아직도 망설이고 있는가? … 12
▶당신이 좋아하는 것 VS 잘할 수 있는 것 … 21
▶주변의 피드백은 당신의 선택에 의해 필터링된다 … 24
▶관종이 돈 버는 세상임을 아는가? … 28
▶당신 안에 있는 끼를 끄집어내라 … 32
▶취미에 3년만 투자하라 … 36
▶퍼스널 브랜딩이 필요한 이유 … 39
▶유튜버가 갖춰야 하는 기본적 요소는 ‘낙천적 마인드’다 … 42
▶‘시작한다는 것’이 중요하다 … 46
▶당신의 브랜드 가치를 올려라 … 49


제2장│이 정도는 알아야 진정한 유튜버다(유튜브 입문편)
▶구글 계정에 대한 이해 … 54
▶구글 구독 결제 취소하는 방법 … 56
▶일반채널 VS 브랜드 채널에 대한 이해 … 60
▶채널명 만드는 데에도 요령이 있다 … 62
▶썸네일에 대한 이해 … 65
▶저작권법에 대한 이해 … 68
▶키워드에 대한 이해 … 73
▶댓글 차단, 삭제, 사용자 숨기기 기능 활용으로 악플 스트레스는 버려라 … 77
▶확장자에 대한 이해 … 80


제3장│이제부터 나도 유튜버다(유튜브 실전편)
▶구글 계정 만들기 … 84
▶채널 개설하기 … 88
▶채널 홈의 대문과 같은 채널 아트 만들기 … 93
▶채널 아트 업로드하기 … 100
▶프로필 사진, 동영상 워터마크 만들어 업로드하기 … 106
▶채널 기본 정보 세팅하기 … 117
▶포토퍼니아 앱을 활용하여 사진 제작하기 … 121
▶갤러리 기본 기능을 활용하여 영상 제작하기 … 124
▶뒷배경 지우기(누끼 따기) … 129
▶썸네일 만들기 ①키네마스터 활용 … 132
▶썸네일 만들기 ②미리캔버스 활용 … 147
▶썸네일 만들기 ③캔바 활용 … 158
▶픽사베이에서 이미지 사진, 동영상 다운받는 방법(PC 버전) … 168
▶영상 촬영 기법 이해하기 … 172
▶크로마키 기법 활용하기 … 176
▶키네마스터를 활용한 영상 편집 ①사진 활용 편집 방법 … 183
▶키네마스터를 활용한 영상 편집 ②동영상 활용 편집 방법 … 213
▶템플릿을 활용하여 인트로/아웃트로 영상 만들기 … 244
▶유튜브 동영상 다운로드 방법(PC 버전) … 250
▶유튜브 오디오 보관함에서 음원 다운로드하는 방법 … 256
▶대용량 파일 쉽게 전송하는 방법 … 258
▶파일 변환하는 방법 … 262
▶재생목록 만들기 (1) … 266
▶재생목록 관리하기 (2) … 271
▶영상 업로드 후 상세설명란 세팅하기 … 275
▶내 채널 분석하기 … 292
▶깔끔한 레이아웃으로 채널 정체성 알리기 … 294
▶일반계정 채널에서 브랜드 계정 채널로 이전하기 … 298
▶유튜브 쇼츠폼 100% 활용하기 … 307
▶AI를 활용하여 성우 보이스로 녹음하기 … 315
▶귀여운 캐릭터 가면 쓰는 방법 … 321
▶실시간 스트리밍하기 … 324
▶황금알을 낳는 키워드 찾는 방법 … 339
▶구독자를 늘리기 위한 7가지 방법 … 346


제4장│당신의 소명을 찾아가라
▶자기성찰의 시간을 통해 현주소를 수시로 체크하라 … 352
▶자기 확언은 긍정에너지의 발원지다 … 354
▶완벽함이 주는 함정 … 357
▶결국 해내는 사람들의 이야기(모범 수강 사례) … 360
*양동할배 *맨발아재 *경주 구석구석TV *서유니 책 읽어주는 날 *농사와 음악TV’
*강약살롱 *포항모니카TV *낭독테라피 펄진책방 *꽃수레 플라워스토리 *약초본가TV

▶에필로그 당신은 어떠한 인플루언서가 될 것인가? … 379

이용현황보기

미디어 콘텐츠로 세상과 소통하라 : 유튜브 크리에이터 입문서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60401 006.696 -25-3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B000123855 006.696 -25-3 부산관 종합자료실(1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퍼스널 브랜딩 1인이 살아남는 시대!
1인 미디어 시대에 감춰온 나만의 끼를 발산하고 싶다면
더는 망설이지 마라!

유튜브 교육 전문 강사이자 희망 전도사 “조안쌤”이 알려주는
유튜브 입문 A to Z


‘평생직장’이라는 말이 무색해질 만큼 요즘은 ‘프로 N잡러’, ‘부업’이 등장하고 있다. 물론 이러한 사회적인 부분에서 보자면, 물가상승에 따라가지 못하는 월급 때문일 수도 있다. 혹은 직장 생활과 별개로 자기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프리랜서 시장 활성화 때문일 수도 있다. 유튜브를 시작하는 사람들 역시 마찬가지일 것이다. 지금 생활의 모든 걸 내팽개치면서 전념하기보다는, 취미로 시작하면서 전문 크리에이터로 전향하는 사람들도 많다.
그러나 홍수처럼 넘쳐나는 유튜버와 비슷한 듯한 콘텐츠들로 유튜브는 비전이 없다는 말까지 나오는데, 정말 그런 걸까? 이미 꽤 오래도록 ‘유튜브는 레드오션이며 비전이 없다’라고 하지만, 여전히 사람들은 유튜브로 끊임없이 유입되고 있으며 수많은 미디어 콘텐츠가 탄생하고 있다. 더불어 영상 플랫폼 또한 다양해져 인스턴트 콘텐츠인 ‘유튜브 쇼츠’, ‘릴스’, ‘틱톡’ 등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가 대중 사이에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스마트폰 하나로 내가 있는 곳이 곧 방송국이 되고 연출부터 출연, 편집까지 모두 할 수 있는 시대가 됐다. 짧은 시간 활용으로 나만의 끼를 방출하고, 더불어 조회수에 따른 수익까지 창출할 수 있어 유튜브는 여전히 블루오션이며, 글로벌하게 세상과 소통할 수 있는 명실상부한 소셜 네트워크 도구다.
청·중장년 할 것 없이 크리에이터 연령 카테고리는 확장되었으며, 브이로그뿐 아니라 AI 음악, AI 영상 등 콘텐츠 영역 또한 광범위해졌다. 그러나 기기를 잘 다루고 취미로 시작하기 좋은 청년 세대에 비해, 여전히 중장년층은 시작을 주저하는 경향이 있다. 기기 다루기는 물론, 편집 기술을 익히는 것, 업로드하는 방법 등 시작만 생각해도 망설이는 이들이 많을 것이다. 기술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직업을 뒤로하고 무작정 뛰어들었다가 실패하면 어떡하나 하는 걱정 역시 유튜브 시작을 주저하게 한다.
하지만 저자는 이제껏 가정을 위해, 현실 삶을 위해 어쩌면 젊은 날의 끼를 감추고 살아온 중장년층에게 “아직도 망설이고 있는가?”라고 묻는다. 실제 저자 역시 워킹맘으로서 주저하던 일들을 미루다가 유튜브를 시작하게 됐다. 쉬운 건 없다고 하지만 유튜브를 처음 시작하는 사람은 누구나 겪는 시간을 지나오며, 저자는 현재 회사 및 교육기관에서 유튜브 컨설팅과 전문 인재 양성 교육을 진행하는 유튜브 전문 강사가 됐다.

이 책은 저자의 모든 노하우를 담고 있으며, 유튜브를 시작하는 새내기, 제2의 인생을 시작하려는 중장년층을 위해 유튜브 기초 기술부터 고급 기술까지 쉽게 설명하고 있다. 유튜브 제작 기술을 익히고, 부수입을 창출할 방법 등 유튜브가 새로운 파이프라인이 되고, 나의 강점을 찾아주며 노후를 위한 보험이 되는 방법들을 담고 있다.
저자의 피땀 어린 경험과 유튜브 비전으로 새롭게 삶을 리다자인하려는 이들을 위한 열정이 함축되어있다. 스스로 금방 포기하지 않는 힘을 기르는 방법과 크리에이터로서 또, 나 자신을 위한 자존감 향상 퍼스널 브랜딩 방법 등으로 누구나 내 삶의 주인공이 될 수 있다고 말한다. 게다가 저자에게 유튜브 교육을 받고 현재 제2의 인생을 시작한 중장년 유튜버들의 생생한 이야기까지 담겼다.
유튜브 플랫폼, 미디어 플랫폼에 나이 제한이란 것은 없다. 그러니 시작하는 일에 나이는 그저 숫자로 된 핑계에 불과하다. ‘나다운 나’로 살기 원한다면, 자신의 브랜드 가치를 올리고 싶다면 그게 무엇이건 망설이기만 한다면 시작할 수 있는 좋은 시간만 미룰 뿐이다. 저자는 오늘도 말한다. 유튜브 도전을 망설이지 말자! 당신 안에서 꿈틀거리는 끼가 느껴지는가? 그렇다면 세상 밖으로 꺼내도록 하자!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P.15] 그야말로 유튜브는 나를 ‘퍼스널 브랜딩’하기 위한 최고의 도구인 셈이다. 나의 경험을 통해서 얻을 수 있었던 것들이기에 현장에서 수강생들을 지도하는 나의 에너지는 호소력이 있을 수밖에 없다.
[P. 22] 하지만 좋아하는 것을 하는 사람들은 다르다. 그들에겐 ‘도전성’이라는 핵심 무기가 있다. 그것이 그들을 끊임없이 달리게 하고 편안한 일상을 거부하게 만든다.
[P. 23] ‘안되는 건 안 되는 것이다’라는 어리석은 논리로 자신의 약한 지구력을 합리화시키지 말자. 우리의 강한 의지는 우리가 예전에 미처 경험해 보지 못했었던 그 이상의 역량을 가지고 있다. 부디 자신을 믿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