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제1장 전환점의 미국
제2장 레이건의 시대
제3장 글로벌 시대의 유일한 초강대국
제4장 21세기의 미국

이용현황보기

글로벌 시대의 미국 : 냉전 시대부터 21세기까지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62234 973 -25-3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186550 973 -25-3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186551 973 -25-3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123552 973 -25-3 부산관 종합자료실(1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미국은 어디에서 왔는지, 그리고 어디를 향해 나아갈지에 대한 질문과 고찰

이 책은 일본 최고의 지식 교양서 이와나미 신서에서 발간한 새 미국사 시리즈 중 하나로, 전례 없는 통사를 통해 미국이 현대 세계에 던지는 과제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리는 미국의 진면목을 얼마나 알고 있을까? 미국이 보여온 폭력성은 미국과 세계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 자유의 국가 미국에서 총기 범죄와 인종 간 폭력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이 시리즈는 미국의 역사를 미국이라는 하나의 국가에 국한하지 않고 초국가적 시각에서 분석한다. 미국은 영국의 일부로 탄생했으며, 노예국가와 이민국가로서의 정체성을 떼놓고는 미국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미국사를 관통하는 키워드가 통합과 분열임을 분명히 한다. 또한 미국이 독립전쟁에서부터 남북전쟁, 세계대전, 냉전, 베트남 전쟁, 걸프 전쟁, 테러와의 전쟁 등 전쟁을 축으로 변화되어 온 국가라는 데 주목한다.

최악의 시대로 회고되는 1970년대를 미국 현대사의 출발점으로 삼은 이유

새 미국사 시리즈의 마지막 책에 해당하는 이 책은 1970년을 기점으로 오늘날까지 미국 현대사의 전개를 추적한다. 이 책이 다루는 시기는 약 반세기로, 새 미국사 시리즈 가운데 가장 짧다. 그렇지만 이 단기간 동안 미국과 세계에서 일어난 변화는 다른 어떤 시대와 비교하더라도 급속하고 거대했으며, 폭넓고 다면적이었다. 게다가 변화하는 여러 현상은 상호 간에 복잡하게 연관되어 있다. 이 책은 반세기라는 단기간 동안 미국과 세계에서 일어난 거대한 변화를 추적하는 한편, 오늘날 미국이 안고 있는 과제를 규명하고 앞날을 전망한다.
이 책에서 미국 현대사의 출발점을 1970년대로 본 것은 1970년대가 미국사에서는 획기적인 전환점이었고 세계사에서는 역사적인 분기점이었기 때문이다. 이 책에 따르면, 1970년대 미국에서는 복지국가 비대화, 인종 대립 격화, 워터게이트 사건, 베트남 전쟁 장기화 등 복합적인 위기가 차례로 분출되었고, 그 결과 미국은 대외적 위신 하락, 군사적 위세 저하, 경제 성장 둔화에 내몰렸다. 그리하여 1973년 이래 미국은 황금시대의 아메리칸 드림을 상실하고 통제 불능의 세계화와 화해하기 어려운 국내의 분극화로 향하게 되었다고 분석한다.

미국은 중산계급 몰락과 사회 양극화 위기를 극복하고 통합에 성공할 것인가

이 책은 전후 4반세기에 걸쳐 견고하게 보였던 미국의 국민통합이 베트남 전쟁과 워터게이트 사건을 거치면서 급격하게 동요한 과정을 묘사한다. 이를 통해 저자는 오늘날 미국이라는 초강대국과 세계가 서로 관여하는 방식이 얼마나 변화되어 왔는지 커다란 전체상을 제시한다.
탈공업화를 모색한 위기의 1970년대, 보수화와 냉전의 종언을 낳은 레이건의 1980년대를 지나, 닷컴 버블의 붕괴와 9·11 사건으로 서막을 연 21세기까지를 자세하게 다룬 이 책은 오늘날 미국이 겪는 위기에 대해 경고한다. 오늘날 미국은 분열과 양극화가 심화되면서 워싱턴 정치의 엘리트주의에 대한 대중의 불만과 분노가 표출되었고, 이는 오바마와 트럼프의 대통령 당선이라는 이변을 낳았다. 이 책의 저자는 지금까지 미국이 수차례 극복해 온 분열과 달리, 오늘날 미국을 지배하는 분열은 다면적이고 복합적이며 장기적인 성격을 지녔다고 우려하면서, 현대 미국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과거로부터 교훈을 얻어야 한다고 조언한다.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P. 19] 말하자면, 1970년대는 ‘포스트’의 시대였다. 포스트 시민권 운동, 포스트 위대한 사회, 포스트 뉴딜 리버럴리즘, 포스트 베트남, 포스트 워터게이트 등은 모두 1970년대의 비관적인 침체된 분위기를 생각나게 하는 용어이다. 하지만 인류 역사상 표면적으로는 침체기 또는 반동기라 보였던 시대가 나중에 돌아보면 실은 새로운 전회나 비약을 위한 준비 단계였던 적이 결코 적지 않다.
[P. 66] 레이건의 압승은 적어도 공화당이 정치강령에서 제시한 우파 노선이 전후 처음으로 국민에게서 신임을 받았다는 것을 의미했다. 뉴라이트와 종교 우파를 비롯한 열렬한 레이건 지지자의 관점에서 본다면, 레이건의 당선은 단순히 전 정권의 실정에 반발한 것이 아니라 그들이 벌여온 장기간의 운동이 결실을 맺은 혁명과 다름없었다. 혁명이라는 용어가 타당한지는 일단 제쳐두고, 레이건 정권의 등장으로 미국에서는 장기간 불모의 이데올로기로 폄하되었던 정치적 보수주의가 처음으로 백악관을 지배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