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사상사에서 정치사상가 이색의 의미 사상의 역사적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상가가 살았던 시대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독자적인 사상을 정립하고 사회 활동을 펼친 이색의 사상은 시대적 맥락 속에서 비로소 올바르게 평가할 수 있다. 이색이 활동했던 14세기는 국내외적으로 사회 변화와 위기가 빈번했던 시기였다. 생산력의 발전과 함께 토지 분급제와 토지 소유 관계가 변화하면서 고려 왕실의 권위는 실추되고, 권신이 득세하여 기강이 해이해지고 제도는 문란해졌다. 또한 왜구와 홍건적의 침입, 원과 명의 왕조교체에 따른 대외적 변동으로 국가적 위기가 도래했다. 이에 고려의 유학자 지식인들은 냉철한 인식과 함께 이러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대응 논리를 마련해야 했다. 이색은 유학의 정치사상을 바탕으로 급변하는 대내 정세에 대응하기 위해 각종 개혁을 추진하며 후학을 양성해 조선 성리학의 이론적 기초를 닦았다. 따라서 그의 정치사상과 정치활동은 이색 사상으로 집약된 고려 말 사상계의 동향뿐만 아니라 왕조교체기의 사상적 특징을 파악하고, 한국 중세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성리학에 대한 온전한 이해와 유교적 이상사회 제시 이 책은 기존 연구를 포함해 최신 연구를 아우르는 이색에 관한 종합적 연구다. 이색 사상의 지적 배경과 인적 네트워크를 시작으로, 고려 말 사회 변동을 타개하기 위해 받아들인 성리학의 성격을 밝히고, 이를 통해 이색 사상의 특징을 규명한다. 이색의 사상은 성리학의 학문적 토대를 마련하여 불교문화(문명) 사회에서 유교문화(문명) 사회로의 전환을 도모하며, 인륜 도덕이 확립된 유교 사회를 건설하고자 했다. 이는 인간의 도덕적 신뢰를 바탕으로 예치와 덕치에 따른 합리적인 이상사회를 추구한 이색 사상의 의미를 살피는 동시에 한국 사상사에서 이색 사상의 중요성을 확인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