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주요 내용 및 정책제안 4
요약 5
CHAPTER 1. 서론 24
1. 연구 배경 및 목적 25
1) 연구 배경 25
2) 연구 목적 및 주안점 28
2. 연구 범위 및 방법 29
1) 연구 범위 29
2) 연구 방법 31
3. 선행연구 검토 및 차별성 32
4. 연구의 기대효과 34
1) 정책적 기대효과 34
2) 학술적 기대효과 35
CHAPTER 2. 혁신산업 일자리의 지리적 편중 현황 분석 36
1. 분석 개요 37
1) 본 연구에서의 혁신산업 일자리란 37
2) 혁신산업 일자리의 지리적 편중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38
3) 분석 방법 40
2. 우리나라 전체 혁신산업 일자리 현황과 변화 추이 50
3. 혁신산업 일자리의 수도권 쏠림 현황 50
1)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혁신산업 일자리 현황 50
2) 지난 20년간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혁신산업 일자리 증가 추이 51
3) 전체 혁신산업 일자리 증가에서 수도권이 차지하는 비중의 변화 52
4) 종합 및 해석 53
4. 우리나라 혁신산업 일자리 성과 상위지역과 그 유형: 슈퍼스타 지역, 정체 지역, 강소 신흥지역 55
1) 혁신산업 일자리 성과 상위지역 식별을 위한 지역 단위 분석 55
2) 분석결과 종합: 혁신산업 일자리 성과 상위지역의 도출 64
3) 혁신산업 일자리 성과 상위지역 유형화 67
4) 우리나라 혁신산업 일자리 지형: 성과 상위지역 및 3개 유형의 분포 72
5. 비수도권 혁신산업 일자리 유망지역과 성장요인 75
1) 분석 개요 75
2) 비수도권 혁신산업 일자리 유망지역 분석 76
3) 19개 비수도권 혁신산업 일자리 유망지역의 성장요인 검토 80
6. 소결 및 시사점 88
CHAPTER 3. 지방형 혁신거점 개념과 역할 90
1. 일반적인 의미에서의 혁신거점이란 91
1) 법령 검토 92
2) 추가적인 법령 검토 94
3)/2) 정책문건 검토 97
4)/3) 요약 및 시사점 102
2. 여건 미흡 지역을 위한 혁신거점 구축과 기존 정책의 한계 104
1) 지방 현실에 부합하지 않는 기존 혁신거점 정책의 한계 104
2) 지원수단의 차별성과 분절화 105
3) 인재 선호를 고려하지 않은 입지 선정 106
4) 혁신 환경과 거리가 먼 폐쇄적, 고립적 물리적 설계 107
5) 협력관계 형성 및 지속성 확보의 어려움 107
6) 기업과 대학 등 이해 당사자간의 기대가 불일치 108
3. 지방형 혁신거점 개념 정립을 위한 다양한 논의 검토 109
1) 쏠림에 대응하기 위한 지역 혁신거점의 역할과 필요성에 대한 논의들 109
2) 생태계로서의 혁신거점에 대한 논의들 115
4. 관련 해외 혁신거점 사례 125
1) 미국 세인트루이스(St. Louis) 코르텍스(CORTEX) 혁신지구 125
2) 영국 쉐필드 첨단제조단지 사례 134
3) 해외 혁신거점 사례의 시사점 140
5. 지방형 혁신거점 개념 및 역할 143
1) 기능과 역할 143
2) 공간 스케일 143
3) 구축 원리 및 방법론 144
4) 지방형 혁신거점의 주요 구성요소 144
CHAPTER 4. 비수도권 혁신산업 일자리 창출지역의 혁신거점 사례 146
1. 연구 개요 147
1) 사례연구 목적 및 대상지 선정 147
2) 사례연구 틀과 방법 149
2. 전북 전주 혁신거점 사례: 팔복동 전주첨단벤처단지 일대 151
3. 강원 원주 혁신거점 사례: 원주의료기기테크노밸리 일대 162
4. 소결 및 시사점 174
CHAPTER 5. 지방형 혁신거점에 필요한 요소와 입주기업들의 경험 176
1. 사례지역 혁신거점 내 입주기업 설문조사 177
1) 설문조사 개요 177
2) 설문조사 응답기업 현황 179
3) 설문조사 항목별 응답 결과 184
4) 요약 및 시사점 202
2. 입주기업 및 관계기관 담당자 인터뷰 209
1) 인터뷰 개요 209
2)/3) 인터뷰 결과 212
3)/4) 종합 및 시사점 221
CHAPTER 6. 지방형 혁신거점 구축을 위한 정책방안 223
1. 지방형 혁신거점 구축의 기본 방향과 필수 요건 224
1) 3대 기본 방향 225
2) 3+1 필수 요건 231
3) 지방형 혁신거점 구축을 위한 기본방향과 필수요건 종합 237
2. 지방형 혁신거점 구축 및 확산을 위한 정책 방안 241
1) 지방형 혁신거점 구축 지원을 위한 중앙정부 지원 프로그램 신설 241
2) 기존 정책 수단에 지방형 혁신거점 개념 도입을 통한 기능의 보완 246
CHAPTER 7. 결론 및 향후 과제 248
1. 주요 연구 결과와 시사점 249
2. 연구의 의의 252
3. 연구의 한계와 향후 과제 252
참고문헌 254
SUMMARY 264
[부록 1] 혁신거점 구축방안 기업체 수요ㆍ인식 조사 설문지 269
[부록 2] 본 연구에서 식별한 혁신산업 17개 업종 관련 상세 280
판권기 284
그림 1-1. 연구의 흐름 31
그림 2-1. 혁신산업 17개 업종의 R&D 투자집약도와 전담인력 집중도(2022년 기준) 44
그림 2-2. 혁신산업 17개 업종별 일자리 규모(2022년 기준, 1차산업 제외) 45
그림 2-3. 본 연구에서 사용한 한국노동연구원의 2020년 지역노동시장권 구분: 총 138개 47
그림 2-4. 2002~2022년 동안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혁신산업 일자리 수 변화 52
그림 2-5. 138개 지역노동시장권별 혁신산업 일자리 특성 비교 58
그림 2-6. 2002~2022년 동안 전체 혁신산업 일자리 증가에서 각 지역이 차지하는 비중 60
그림 2-7. 2012~2022년 사이 전체 혁신산업 일자리에서 각 지역이 차지하는 비중(점유율)의 변화 62
그림 2-8. 18개 혁신산업 일자리 성과 상위지역의 혁신산업 일자리 창출력과 점유율 변화 70
그림 2-9. 18개 혁신산업 일자리 성과 상위지역의 혁신산업 일자리 규모와 증가율 71
그림 2-10. 18개 혁신산업 일자리 성과 상위지역 및 유형화 결과 73
그림 2-11. 광역대도시를 제외한 비수도권 지역 중 혁신산업 일자리 유망지역 도출 결과: 19개 지역 78
그림 2-12. 식별된 19개 비수도권 유망지역의 혁신산업 일자리 규모와 증가율 79
그림 2-13. 식별된 19개 비수도권 유망지역에 대한 혁신산업 일자리 클러스터 분석 결과(2022년 기준) 82
그림 2-14. 충청북도 주요 제조업체 간의 거래 네트워크 분석 결과 85
그림 3-1. 혁신지구(Innovation District) 개념도 116
그림 3-2. 혁신지구의 개념 요소 119
그림 3-3. 이코노믹 가드닝(Economic Gardening)의 성격을 잘 보여주는 삽화 123
그림 3-4. 코르텍스 혁신지구의 중심구역 전경 126
그림 3-5. 코르텍스 혁신지구의 위치 및 공간적 범위 127
그림 3-6. 코르텍스 혁신지구의 혁신생태계 구성원 131
그림 3-7. 코르텍스 혁신지구의 혁신생태계 구성원별 제공 기능 132
그림 3-8. 코르텍스 혁신지구의 중앙 구역(혁신허브) 전경 133
그림 3-9. 쉐필드 첨단제조단지 전경 134
그림 3-10. 쉐필드 첨단제조단지 입주 현황(2024년) 135
그림 3-11. 쉐필드 첨단제조단지 조성되기 전 대상지 모습(1990년 이전) 136
그림 3-12. 쉐필드 첨단제조단지 내 AMRC와 AMP Techonology Center 139
그림 4-1. 전북 전주 혁신거점 사례의 공간 범위와 주변 현황 152
그림 4-2. 전북 전주 혁신거점 사례의 공간 범위와 주변 현황 153
그림 4-3. 전주첨단벤처단지 전경 154
그림 4-4. 전주첨단벤처단지의 비전과 목표 156
그림 4-5. 전주 혁신거점 사례의 메커니즘 156
그림 4-6. 강원 원주 혁신거점 사례의 공간적 범위와 주변 현황 163
그림 4-7. 강원 원주 의료기기산업 육성 관련 주요 기관 및 인프라 현황 164
그림 4-8. 태장농공단지 및 동화공단내 기업육성 관련 시설현황 165
그림 4-9. 원주의료기기테크노밸리의 비전과 목표 167
그림 4-10. 원주 혁신거점 사례의 메커니즘 169
그림 4-11. 원주의료기기테크노밸리의 기업지원 체계 170
그림 6-1. 지방형 혁신거점 구축을 위한 3대 기본 방향 226
그림 6-2. 지방형 혁신거점 구축을 위한 3대 필수 요건 231
그림 6-3. 일본 지역미래투자촉진법에 따른 연계지원계획 개념(상)과 실제 사례(하) 236
그림 6-4. 지방형 혁신거점 구축을 위한 기본방향과 필수요건 종합 238
그림 6-5. 미국 세인트루이스의 코르텍스 혁신지구 내 혁신허브(Innovation Hub) 247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3216749 | 711.5524 -25-6 |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3216750 | 711.5524 -25-6 |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 서가번호: 8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