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김정원
검은 호랑이
연기
영산강 따라
수채화
분배
화학 변화
기적
교육
■ 산문

박용주
당나귀처럼
붉은어깨도요
길양이 악동(惡童)
고라니는 누울 곳을 가리지 않는다
멧돼지 다녀갔네
하여튼
뮤즈 1
뮤즈 2
■ 산문

박우현
봄 봄
여든
길고양이처럼
여차
어떤 사과
양산이 지구를 살린다
니가 왜 거기서 나와
60에 대하여
■ 산문

송창섭
유자나무 유자 몇 알
밤재
돌은 비옷을 입지 않는다
애꿎은 날이 빚은 여러 표징들
소설小雪
미련이 문제겠지만 새롭지 않다는 느낌은 들어
염소 다섯 마리
작장리방파제
■ 산문

임혜주
어둠은 어떻게 새벽이 되는가
그늘을 캐다
돌과 눈
흐린 가을날 아침이었습니다
밑간
동지
처서
고요 속에 있는 것
■ 산문

전 인
걸레
개심사
고독사
강물
욕으로 지은 집
산밭
호강한 날
그 집
■ 산문

전종호
임진강 1 - 거꾸로 흐르는 물
임진강 2 - 도강(渡江)의 의미
임진강 3 - 삼기하(三歧河), 교하
임진강 4 - 망향(望鄕)의 노래
임진강 5 - 타향살이
임진강 6 - 우수(雨水)
임진강 7 - 흐르지 않은 물을 위하여
임진강 8 - 경의선을 따라
■ 산문

조재도
쓸모

참는다
소금 몇 알
들꽃
흔한 말
붕어빵
격려받고 강해진다
■ 산문

최성수
유월
먼 그대
백로에
물레나물꽃
꽃피는 그대

11월
농라 하나
■ 산문

■ 참여시인 약력

이용현황보기

합동시집-9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B000118284 811.15 -25-321 부산관 종합자료실(1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코로나 시대 시로 안부를 전한다
- 『합동시집-9』 출간


시 쓰는 전현직 교사 아홉 명이 코로나 시대 시로 안부를 묻는 합동시집을 발간했다. 시인 김정원(전남 담양), 임혜주(전남 무안), 송창섭(경남 삼천포), 박우현(대구), 전종호(경기도 파주), 박용주(충남 공주), 조재도(충남 천안), 전 인(충남 계룡), 최성수(강원 횡성)가 참여했는데, 거주지로 본다면 가히 전국적이다.
이들은 동인도 아니고 어떤 모임을 같이 하는 것도 아니다. 사는 곳도 시골 변방이며, 한가지 공통점이 있다면 학교에 근무했던(혹은 지금도 하고 있는) 교사들이라는 점이다. 그리고 작은숲 출판사에서 간행하는 시선 ‘사십편시선’에서 시집을 낸 바 있는 시인들이라는 점이다. 이 시집은 각자 떨어져 살기를 요구하는 코로나 시대에 시를 매개로 의기투합하여 ‘시와 산문’으로 서로의 마음을 위안하고, 어떻게 살고 있는지 안부를 전하며, 험난한 재난의 시대를 함께 잘 헤쳐 갔으면 하는 바람에서 묶은 합동시집이다.
참여 시인들은 이 책이 일회성으로 그칠 것이 아니라 이후 일 년에 한 번씩 모사(謀事) 내지 거사(擧事)를 거쳐 펴낼 생각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시집은 1980년대 시의 전성기를 이끌었던 문예지의 성격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치고 빠지는 게릴라적 성격이 강하다는 말이다.
앞으로 참여하는 시인이 더 늘어날 수 있다. 그리고 참여 시인이 계속 바뀔 수도 있다. 합동시집의 구성 인원은 고정된 게 아니며, 모든 것은 가변적이고 유동적이다. 다만 앞으로도 그때 그때마다의 시대적 의제를 공유하여 합동시집을 발간해 나간다는 것만이 확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