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5
요약 11
제1장 서론 17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8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0
제2장 사회복지 분야 성과평가 방법 22
제1절 사회복지 분야 국고보조사업의 특성 23
제2절 사회복지 분야 성과평가와 한계점 30
1. 사회복지 분야 성과평가 30
2. 사회복지 분야 성과평가 한계점 40
제3절 사회적투자수익률 분석 방법 42
1. SROI 소개 42
2. SROI 방법론 적용 사례 47
제4절 소결 56
제3장 성과평가를 위한 지표 분석 59
제1절 분석 대상 60
1. 분석 대상 선정 60
2. 국공립어린이집 신규 확충 및 민간어린이집 전환 정책 62
3. 사업 소개 64
제2절 현황 분석 70
1. 국공립어린이집 공급 현황 70
2. 교직원 및 아동 현황 75
제3절 기존 성과지표 분석 79
제4절 소결 86
제4장 성과지표 개발 88
제1절 이해관계자별 초점집단 인터뷰 실시 89
1. 이해관계자 확인 89
2. 초점집단 인터뷰(FGI) 결과 91
제2절 신규 성과지표 분석 110
1. 분석 대상: 응답자 특성 111
2. 어린이집 이용 현황 112
3. 국공립어린이집 이용ㆍ확충 인식 132
제3절 소결 142
제5장 사회적투자수익률 분석 145
제1절 성과지표 맵핑 146
제2절 사회적투자수익률 산출 151
1. 아동 지표 152
2. 주양육자(부모) 지표 159
제3절 소결 162
제6장 결론 166
제1절 연구 결과 요약 167
제2절 제언 170
1. 사회복지 분야 성과평가에 대한 제언 170
2. 국공립어린이집 확충사업에 대한 제언 171
참고문헌 173
[부록 1] 영유아 양육기관 이용 실태 및 인식 조사 179
[부록 2] 국공립어린이집 확충사업의 사회적 가치 측정 관련 초점집단 인터뷰 201
Abstract 206
판권기 2
[그림 2-1] 「보조금 관리에 관한 법률」 평가에 대한 규정 32
[그림 2-2] 「국고보조금 통합관리지침」 평가에 대한 규정 32
[그림 2-3] 사업 개요 47
[그림 3-1] 분석 대상 61
[그림 3-2] 어린이집 유형별 보육교직원 수 76
[그림 3-3] 국공립어린이집 이용 아동 비율 77
[그림 3-4] 국공립어린이집 보육교직원 수, 교직원 1인당 보육아동 수 추이 79
[그림 3-5] 어린이집 유형별 보육교사 자격 현황(2022) 81
[그림 4-1] 정규 보육시간 외 어린이집 이용 사유(중복응답) 119
[그림 4-2] 어린이집 이용 만족도: 기관 전체 120
[그림 4-3] 기관 이용이 자녀 건강, 영양상태 향상의 도움 정도 125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3166611 | 353.524 -25-3 |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이용가능 | |
0003166612 | 353.524 -25-3 |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이용가능 | |
B000121579 | 353.524 -25-3 |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서가번호: 13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