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입당승과 해외 정보_고치 하루히로 125 Ⅰ. 머리말 126 Ⅱ. 7·8세기의 해외 정보 129 Ⅲ. 9세기의 해외 정보 152 Ⅳ. 입당승의 정보 전달 167 Ⅴ. 맺음말 175
4. 입당승의 이동을 뒷받침한 사람들: 재당 신라인 사회와 해상 교역자의 변화_가와노 야스히로 181 Ⅰ. 머리말 182 Ⅱ. 재당 신라인 사회와 엔닌 185 Ⅲ. 재당 신라인과 동아시아의 교류 195 Ⅳ. 당대의 교역과 교역이산공동체 200 Ⅴ. 당사 이후의 교류와 당 상인의 성장 203 Ⅵ. 맺음말 205
5. 발해 정소의 여행: 『입당구법순례행기』의 「곡일본국내공봉대덕영선화상시병서」를 소재로_후루하타 도루 211 Ⅰ. 머리말212 Ⅱ. 『입당구법순례행기』와 엔닌, 그리고 『곡일본국내공봉대덕영선화상시병서』214 Ⅲ. 정소·영선·응공의 관계 219 Ⅳ. 「곡영선화상시병서」 번역 224 Ⅴ. 정소의 여정 시뮬레이션 230 Ⅵ. 맺음말 245
6. 입송승 조넨 사제와 우전왕사모상: 여러 의미의 청래를 둘러싸고_데시마 다카히로 249 Ⅰ. 머리말 250 Ⅱ. 귀국 전 조네에 의한 우전왕사모상 청래의 의도 252 Ⅲ. 귀국 후의 조넨 사제와 석가상 청래 의미의 변화 261 Ⅳ. 고시라카와인에 의한 석가상 청래 사적의 재해석 273 Ⅴ. 맺음말 278
7. 한일 역사교과서는 입당승·입송승을 어떻게 서술하고 있는가: '견당사 정지-국풍문화 발달' 문맥과의 관련성에 주목하여_정순일 283 Ⅰ. 머리말 284 Ⅱ. 입당승?입송승의 개괄적 이해 290 Ⅲ. 『동아시아사』, 「세계사』 교과서 서술상의 특징 299 Ⅳ. 『일본사B』 교과서의 서술 분석 311 Ⅴ. '견당사 정지- 국풍문화 발달'이라는 도식과의 관계 318 Ⅵ. 맺음말 329
8. 전근대 동아시아에서의 한역 대장경 전파와 그 전개: 베트남의 전기 레 왕조, 리 왕조의 대장경 장래 사업을 중심으로_팜 레 후이 337 Ⅰ. 머리말 338 Ⅱ. 대장경의 도입 경위와 그 배경 341 Ⅲ. 도입된 대장경의 구성과 그 전개 370 Ⅳ. 맺음말 378
제2부 동아시아 해역을 둘러싼 교류
1. 중국 절강성 태주의 지명으로 보는 고려·신라_에노모토 와타루 387 Ⅰ. 머리말 388 Ⅱ. 임해현의 고려·신라 지명 392 Ⅲ. 황암 신라방에 대한 검토 409 Ⅳ. 중국 도시에서의 외래 상인 거류 구역 430 Ⅴ. 맺음말 443
2. 바다·머리카락·동아시아, 그리고 기도_미즈구치 모토키451 Ⅰ. 단발과 해양 신앙 452 Ⅱ. 해양 신앙과 동아시아 - 관음 신앙을 예로하여 454 Ⅲ. 주술적 행위와 머리카락 462 Ⅳ. 머리카락을 자르는 것, 기원하는 것 468 Ⅴ. 동아시아에서 기도의 전파 477
3. 몽골 습래를 둘러싼 문서, 사절, 선박_곤도 쓰요시 483 Ⅰ. 동아시아에서 본 몽골 습래의 발자취 484 Ⅱ. 「대몽고국중서성첩」 및「고려국경상진안동도안찰사첩」에 대하여 486 Ⅲ. 일본에 외교문서를 가져온 고려사의 격에 대하여 505 Ⅳ. 원구선 발굴에 대하여 511
4. 남해에서 동해로: 황충 『해어』의 해양 서사_셰종즈 523 Ⅰ. 머리말 524 Ⅱ. 황충의 생애와 『해어』편찬 이유 529 Ⅲ. 『해어』의 해양세계 541 Ⅳ. 『해어』의 시대적 가치 550 Ⅴ. 맺음말 565
5. 무로마치 시대 방일 조선인과 일본사회_이가와 겐지 573 Ⅰ. 머리말 574 Ⅱ. 15세기 전반기 조일의 사절 영접 체제 576 Ⅲ. 조선 사절 방일의 두절 586 Ⅳ. 당선무역과 조선 600 Ⅴ. 맺음말 610
6. 조선통신사와 항해 안전의 기도: 근세 동아시아 해역 속 항해신앙의 한 모습_야마우치 신지 615 Ⅰ. 머리말 616 Ⅱ. 개양에 임하는 제사 619 Ⅲ. 바다 위에서의 제사 627 Ⅳ. 항해신앙의 이중 구조 635 Ⅴ. 근세 일본의 신앙 사례와의 관계 638 Ⅵ. 맺음말 644
7. 근세 조일 통교에서의 문화교섭과 역사인식: '서복일서' 전설을 중심으로_류천651 Ⅰ. 머리말 652 Ⅱ. 근세 방일 조선 신사의 서복일서' 추구와 토론 655 Ⅲ. 『일본도가』와 '서복일서'에 대한 근세 조일 양국의 인식 664 Ⅳ. '서복일서' 쟁론에서 본 조일 쌍방의 일본사 인식 676 Ⅴ. 맺음말 6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