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물론≫ 해설 Ⅰ. 서론: 현대 고전으로서의 ≪선물론≫ 1. 왜 ≪선물론≫을 읽어야 할까? 2. 학자ㆍ교육자ㆍ사회운동가로서의 모스
Ⅱ. ≪선물론≫은 어떻게 쓰였는가? 1. ≪선물론≫의 텍스트 구조와 글쓰기 스타일 2. 모스의 연구방법 3. 모스의 연구 질문
Ⅲ. ≪선물론≫의 핵심 개념들 1. 총체적 선물 2. 물건의 영적 힘 3. 호혜성 4. 선물도덕
Ⅳ. ≪선물론≫ 이후의 선물이론 1. 출발점: 모스, 바타유, 레비스트로스 2. 선물의 실천이론: 부르디외 3. 양도할 수 없는 재산과 신성재: 와이너와 고들리에 4. 신모스주의: 그레고리와 스트래선 5. 인정 이론: 에나프
Ⅴ. 결론: 현대사회에서 ≪선물론≫의 의미
주
≪선물론≫ 읽기 서문: 선물, 특히 선물에 답례할 의무에 대하여 제1장: 교환된 선물과 되갚을 의무(폴리네시아) 제2장: 선물체계의 발전: 관대함, 명예, 돈 제3장: 고대의 법과 경제에서 선물 원리의 잔존 제4장: 결론
이용현황보기
선물론 : 태고사회에서의 교환의 형태와 이유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65116
301 -25-10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0003165117
301 -25-10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서울대클래식] 마르셀 모스의 ≪선물론≫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오랫동안 널리 읽혀온 고전을 서울대 교수와 함께 강독하다. 춘향전, 국가(플라톤), 일리아스(호메로스)에 이은 신작, 마르셀 모스의 ≪선물론≫. “누군가에게 어떤 물건을 주는 것은 자신의 일부를 주는 것이며,어떤 사람으로부터 무엇인가를 받는 것은 그의 영혼의 일부를 받는 것이다.”
레비스트로스는 모스의 《선물론》이 사회의 실체를 교환으로 보는 독창적인 관점을 제공함으로써 사회과학의 새로운 시대를 연 혁명적 작품이라고 평가했다. 모스는 태고사회의 선물교환 원리를 호혜성, 물건의 영적 힘, 총체적 사회현상의 측면에서 포착했으며, 이러한 성격을 갖는 선물도덕이 우리 사회가 기초하고 있는 인간 반석이라고 주장했다. 호혜와 사회적 연대를 중시하는 선물도덕이 현대 서구의 개인주의적 공리주의에 대한 대안으로 새로운 사회윤리를 창안하는 데 토대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 사회주의자이며 조합운동가였던 모스가 《선물론》을 통해 던지는 정치적 메시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