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14

주요 내용 및 정책제안 4

요약 5

CHAPTER 1. 연구의 개요 20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1

1) 연구 배경 21

2) 연구 목적 23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4

1) 연구 범위 24

2) 연구 방법 25

3) 연구 수행 절차 27

3. 선행연구 검토 및 본 연구의 차별성 29

1) 선행연구 검토 29

2) 주요 선행연구와 본 연구와의 차별성 33

4. 연구의 기대효과 35

1) 정책적 기대효과 35

2) 학술적 기대효과 35

3) 지역적ㆍ사회적 기여 36

CHAPTER 2. 접경지역 지방소멸의 대응 필요성 37

1. 주요 개념 38

1) 접경지역에 대한 정의와 특징 38

2) 지방소멸의 의미와 문제점 40

2. 접경지역 지방소멸의 문제점 44

1) 접경지역의 중요성 44

2) 접경지역에 대한 지방소멸 대응의 필요성과 의의 45

3. 접경지역과 지방소멸의 관련성 및 분석관점 50

CHAPTER 3. 접경지역 지방소멸의 실태 53

1. 접경지역 일반현황 54

1) 법령제정과 변화과정 54

2) 접경지역 지방소멸 현황 59

2. 관련법령과 계획 분석 69

1) 분석개요 69

2) 분석 결과 70

3) 종합 및 문제점 77

3. 접경지역 특수성 분석 80

1) 분석 개요 80

2) 분석 결과 81

3) 종합 및 문제점 88

4. 접경지역 현안 분석 89

1) 분석 개요 89

2) 분석 결과 91

3) 종합 102

5. 종합 및 시사점 110

1) 종합 110

2) 시사점 118

CHAPTER 4. 접경지역 개발을 위한 국내외 사례 121

1. 국내외 사례 선정 122

1) 사례 선정 개요 122

2) 사례 조사방법 124

2. 국내 접경지역 개발로 생활인구 유입 사례 124

1) 인제군 사례 124

2) 철원군 사례 131

3. 해외 접경지역 개발 사례 : 인도 138

1) 접경지역 관리를 위한 중앙정부 조직 140

2) 접경지역관리 프로그램(BADP) 141

3) 접경지역관리 프로그램의 성과분석 146

4. 시사점 151

1) 생활인구 유입의 국내 사례 시사점 151

2) 접경지역 종합발전계획을 수립한 해외사례의 시사점 152

CHAPTER 5. 지방소멸에 대응한 접경지역 발전방안 155

1. 접경지역 발전방안 수립을 위한 기본방향 156

2. 접경지역 발전을 위한 과제 도출 157

1) 과제 도출 방법 157

2) 과제 도출결과 158

3) 도출된 과제와 세부 과제 161

4) 세부 과제 요약 및 본 연구 분석관점별 정리 173

3. 접경지역의 발전을 위한 정책방안 176

1) 접경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한 정책방안 176

2) 접경지역의 지방소멸을 완화하기 위한 방안 180

3) 법제도적 개선방안 181

CHAPTER 6. 결론 및 향후 과제 184

1. 결론 및 정책제언 185

1) 결론 185

2) 정책제언 186

2. 연구의 성과 및 향후 과제 188

1) 연구의 성과 188

2) 향후 과제 189

참고문헌 191

SUMMARY 197

[부록 1]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 사업 현황 201

[부록 2] 인도 접경지역 연도별 예산 투자 현황 207

[부록 3] 접경지역 현안조사 결과 208

[부록 4] 과제별 워드클라우드 285

판권기 288

표목차 16

표 1-1.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33

표 2-1. 접경지역의 인구관련 지표 비교 48

표 2-2. 연구의 분석관점과 분석항목 52

표 3-1. 「통일기반 조성을 위한 접경지역지원법안」의 내용과 조항별 관련부처 56

표 3-2. 접경지역의 범위(2000년 기준) 57

표 3-3. 국가균형발전 지표_인구 부문 61

표 3-4. 국가균형발전 지표_지역경제ㆍ재정 부문 62

표 3-5. 국가균형발전 지표_주거 및 복지 인프라 부문(2021년 기준) 64

표 3-6. 국가균형발전 지표 표준화 점수를 통한 접경지역 비교 68

표 3-7. 접경지역 관련 주무부처 및 해당 법령 69

표 3-8. 수도권 정비계획법상 권역구분 및 접경지역 지자체 현황 73

표 3-9. 중앙부처별 접경지역 사업 추진 현황 79

표 3-10. 접경지역 토지규제 현황(1994년 기준) 81

표 3-11. 접경지역 토지규제 현황(2023년) 82

표 3-12. 군사시설보호구역 제도 변화과정 84

표 3-13. 지자체별 미활용군용지 분포 현황 85

표 3-14. 미활용군용지 면적 상위 30개 시군 현황 86

표 3-15. 접경지역 국토환경성평가(1,2 등급) 87

표 3-16. 접경지역 공무원 심층면담조사 일정 91

표 3-17. 접경지역 지자체별 현안문제 104

표 3-18. 접경지역에 대한 관점별 유형과 특성 117

표 4-1. 인제군 정주여건 개선을 위한 사업 현황 126

표 4-2. 접경지역 도시가스 보급률 현황(2022년 말 기준) 127

표 4-3. LPG배관망 사업에 따른 요금 절감내역 129

표 4-4. 철원군 주요 관광인프라 구축 현황 132

표 4-5. 철원군 주요 관광지별 관광객 수 135

표 4-6. 인도의 접경국가와 접경 연장 139

표 4-7. BADP에 의한 예산투자액 145

표 4-8. 인도 BADS 부문별 주요사업 146

표 4-9. 인도 접경지역의 인구관련 추이 147

표 4-10. 인도 접경지역의 도로관련 추이 149

표 4-11. 인도 접경지역의 1인당 지역내총생산 기간별 증가율 추이 150

표 5-1. 전체 과제의 형성 및 과제별 주요 키워드 160

표 5-2. 과제별 세부 과제 요약 및 분석관점별 정리 175

표 5-3. 서북도서선박운항 규정 개정(안) 178

표 5-4. 「접경지역 지원 특별법」 및 관련 지침 개정(안) 183

그림목차 18

그림 1-1. 우리나라 접경지역의 공간적 범위 및 개념도 24

그림 1-2. 연구흐름도 28

그림 2-1. 지역 인구감소의 영향 메커니즘 42

그림 2-2. 지방소멸과 국가인구감소, 국가 경제의 관계 42

그림 2-3. 전국의 지방소멸 종합지수 및 지방소멸 위험지수 분포 49

그림 2-4. 접경지역 발생과 지방소멸적 현상의 악순환 개념도 51

그림 3-1.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 수립 절차 71

그림 3-2. 제4차 수도권정비계획 공간구조 구상 74

그림 3-3. 민북지역 산지관리 공간구상 77

그림 3-4/그림 3-5. 경기도, 강원도 군사시설 보호구역 현황 83

그림 3-5/그림 3-6. 시ㆍ군별 미활용군용지 현황 86

그림 3-6/그림 3-7. 접경지역 지자체별 질문지 일부 90

그림 4-1. 인제군 원통복합커뮤니티센터 전경 126

그림 4-2. 인제군 LPG배관망 시설공사 이전 현황 127

그림 4-3. 복합 커뮤니티센터 각종 시설 활용현황 128

그림 4-4. 복합커뮤니티시설 월 이용객 추이 129

그림 4-5. 한탄강 은하수교 133

그림 4-6. 한탄강 두루미교 133

그림 4-7. 한탄강 주상절리길 조성사업 134

그림 4-8. 인도 국경현황 139

그림 4-9. 인도 내무부 국경관리 조직도 현황 141

그림 4-10. BADP에 의해 건설된 도로 148

그림 4-11. 메갈라야 지방의 마을 관개수로 150

그림 5-1. 접경지역 발전 과제 도출을 위한 과정 157

그림 5-2. 과제도출을 위한 일관성 분석결과 158

그림 5-3. 토픽모델링 결과에 대한 키워드 맵 159

그림 5-4. 과제 1의 중심 키워드 네트워크 맵 161

그림 5-5. 과제 2의 중심 키워드 네트워크 맵 162

그림 5-6. 과제 3의 중심 키워드 네트워크 맵 163

그림 5-7. 과제 4의 중심 키워드 네트워크 맵 165

그림 5-8. 과제 5의 중심 키워드 네트워크 맵 166

그림 5-9. 과제 6의 중심 키워드 네트워크 맵 167

그림 5-10. 과제 7의 중심 키워드 네트워크 맵 169

그림 5-11. 과제 8의 중심 키워드 네트워크 맵 170

그림 5-12. 과제 9의 중심 키워드 네트워크 맵 172

그림 5-13. 토지이용규제 완화를 위한 제한보호구역 축소(안) 177

부표목차 208

부표 1. 광역 지자체 중앙계획 208

부표 2. 인천 접경지역 국회의원ㆍ지자체장ㆍ광역지자체장 당선자 공약, 중앙계획, 지자체 계획 210

부표 3. 경기 접경지역 국회의원ㆍ지자체장ㆍ광역지자체장 당선자 공약, 중앙계획, 지자체 계획 224

부표 4. 강원 접경지역 국회의원ㆍ지자체장ㆍ광역지자체장 당선자 공약, 중앙계획, 지자체 계획 260

부록그림목차 285

부록 그림 1. 과제1의 워드클라우드 285

부록 그림 2. 과제2의 워드클라우드 285

부록 그림 3. 과제3의 워드클라우드 285

부록 그림 4. 과제4의 워드클라우드 286

부록 그림 5. 과제5의 워드클라우드 286

부록 그림 6. 과제6의 워드클라우드 286

부록 그림 7. 과제7의 워드클라우드 287

부록 그림 8. 과제8의 워드클라우드 287

부록 그림 9. 과제9의 워드클라우드 287

이용현황보기

접경지역 지방소멸 대응을 위한 발전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policy responding to local extinction in border region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216763 330.9519 -25-2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0003216764 330.9519 -25-2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