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프롤로그
1장. 길을 헤매기 위한 길잡이
: 좀비 영화에서 죽지 않고 사는 법
ㆍ 복작복작 모여들어 (다른 사람 말은 듣지 않고) 웅성웅성 떠들어대는 사회
ㆍ 현대인은 자기 혼자 판단하고 결정한다
ㆍ 자신을 의심하지 않는 사람일수록 평온하다
ㆍ 우리는 좀비 영화에서 일찍 죽는 사람처럼 살고 있다
ㆍ 현대인은 즉각적이고 단편적인 자극에 둘러싸여 있다
ㆍ 수수께끼를 수수께끼인 채로 남겨둘 필요가 있다
ㆍ ‘후련함’과 ‘답답함’을 구별해서 쓴다
ㆍ 앞으로 우리가 가야 할 길
ㆍ 자신을 의심한다는 ‘모험’
[칼럼] 대중사회이론과 미디어이론 그리고 대상관계이론
2장. 스스로 생각하지 않기 위한 철학
: 천재들의 문제 해결 방식을 토대로 생각하는 힘
ㆍ 철학은 스스로 생각하는 것일까?
ㆍ 철학자도 넷플릭스를 보고 닥터마틴을 신는다
ㆍ 스스로 생각하면 아웃풋이 평범하다
ㆍ 자기 힘보다는 신중함이 중요하다
ㆍ 숲을 걷는 방법을 배우듯 생각하는 기술을 배운다
ㆍ 일문일답으로 돌아가지 않는 세상
ㆍ 지식과 상상력이라는 두 개의 바퀴
ㆍ 2,500년간의 문제 해결 능력을 내 것으로
ㆍ 섣부르게 이해하려고 하면 안 되는 이유
ㆍ 철학을 배울 때 흔히 하는 두 가지 실수
ㆍ 언런(탈학습)하기 전에 런(학습)하자
ㆍ 센스메이킹에도 지식과 상상력이 필요하다
ㆍ 상상력이 풍부하다는 것은 상상력의 레퍼토리가 넓다는 것
ㆍ 내 안에 다양한 사람을 살게 한다
ㆍ 철학을 탐험할 때 주의해야 할 세 가지
[칼럼] 프래그머티즘의 관점
3장. 연결되는 동안 잃어버린 ‘고독’
: 스마트폰 시대의 철학
ㆍ 스마트폰이 바꿔버린 우리 사회
ㆍ ‘상시 접속 사회’에서 잊힌 감각
ㆍ ‘고독’의 상실 - 반사적인 커뮤니케이션으로 산만해진 사람들
ㆍ 관심경제와 스마트폰이 집중을 빼앗는다
ㆍ ‘고독’의 상실 - 자기 자신과 함께하지 못하는 사람들
ㆍ ‘고립’ 속에서 ‘고독’해질 수 있다 - 한나 아렌트의 철학
ㆍ ‘고독’과 ‘외로움’은 어디로 갔는가
ㆍ 제대로 상처받기 위한 고독
ㆍ 감정을 억누르지 않으려면
ㆍ 기쁠 때도 고독은 필요하다
ㆍ 빈 시간을 또 다른 멀티태스킹으로 채우는 사람들
ㆍ 스마트폰은 감정 이해를 더디게 만든다
ㆍ 감각을 억누르지 않으려면 - 〈용쟁호투〉의 교훈, 첫 번째
ㆍ “생각하지 말고 느껴!”의 진정한 의미 - 〈용쟁호투〉의 교훈, 두 번째
ㆍ 손끝에 시선을 빼앗기지 말라 - 〈용쟁호투〉의 교훈, 세 번째
[칼럼] 고독과 고립의 가치 되찾기
4장. 고독과 취미를 만드는 방법
: 소극적 수용력이 불러오는 대화
ㆍ 소외될까 불안한 사람들
ㆍ 감정은 인스턴트처럼 간편하지 않다
ㆍ 외로움에 휘둘리는 우리 - 〈에반게리온〉으로 생각하기, 첫 번째
ㆍ 외로움에 대처하는 방법, 취미 - 〈에반게리온〉으로 생각하기, 두 번째
ㆍ 내 안에는 여러 사람이 존재한다 - 〈에반게리온〉으로 생각하기, 세 번째
ㆍ 취미는 고독을 불러온다 - 〈에반게리온〉으로 생각하기, 네 번째
ㆍ 취미는 수수께끼와의 대화다 - 〈에반게리온〉으로 생각하기, 다섯 번째
ㆍ ‘글로 쓰인 나’와 ‘다시 쓰는 나’의 대화
ㆍ 무언가를 만들 때 시작되는 자기대화
ㆍ 스스로 만족할 때까지 몇 번이고 다시 만들기
ㆍ ‘불확실함’을 끌어안는 능력
ㆍ 시대를 초월한 소극적 수용력
ㆍ 불확실함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필요한 것
ㆍ 자신을 의심하는 자세, 소극적 수용력
ㆍ 철학에 대한 탐구는 소극적 수용력을 기르는 일
ㆍ 고독 속에서 불확실함과 함께하기
[칼럼] 문화와 철학을 한데 엮는 이유
5장. 바쁜 일상으로 따분함을 잊으려 하는 사회
ㆍ 활동적인 일상은 공허하다? - 파스칼과 기분 전환의 철학
ㆍ 따분함과 불안으로부터 고개를 돌리는 사람들
ㆍ 우리의 ‘기분 전환’을 빼앗은 코로나 바이러스
ㆍ 마음속에 잠들어 있는 권태와 불안
ㆍ 의욕을 끌어 올리지 않으면 제대로 살 수 없는 우리
ㆍ 정신 건강은 개인의 책임일까?
ㆍ 끊임없이 성장해야 한다는 요구와 정신 건강의 관계
ㆍ 스티브 잡스의 조언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
ㆍ 마음의 목소리를 따르지 말 것
ㆍ 체호프에게 배우는 ‘자신의 마음을 따르는’ 일의 위험성
ㆍ 유연한 업무 방식은 자기계발과 궁합이 좋다(그러나 인간을 구원하지는 못한다)
ㆍ 자신에 대한 과도한 관심이 자기대화를 방해한다
ㆍ 자신에 대한 관심은 관심경제와 궁합이 좋다(나쁜 의미에서)
[칼럼] 포스트 포디즘 시대의 실존과 외로움
6장. 따분함은 변화해야 한다는 신호
ㆍ 불안에 대처하기 위해 ‘쾌락적 나른함’에 잠기다
ㆍ 스마트폰이 부른 부드러운 혼수상태
ㆍ 자극에서 멀어지면 지루하다고 느낀다
ㆍ 집중을 멈추고 단순하고 매력적인 일에 달려든다
ㆍ 기분이라는 복잡한 존재
ㆍ 마음의 소리가 늘 ‘긍정적’인 것은 아니다
ㆍ 우리를 불편하게 만드는 틈새
ㆍ 감각의 변화는 행동을 바꾸자는 신호
ㆍ 따분함을 마주하는 자세
ㆍ 자치의 영역을 마련하고 고독을 즐긴다
ㆍ 취미는 때론 ‘괴로운 기억’도 떠오르게 한다
ㆍ ‘괴로움’을 마주해야 다정해질 수 있다
ㆍ 과거를 마주하는 과정이 중요하다 - 영화 〈드라이브 마이 카〉
ㆍ 혹독한 환경에서 유연하게 변화하기를 강요받는 우리
ㆍ 우리는 늘 불완전하다
ㆍ 인간은 완벽하게 알지 못하기에 알고자 한다
ㆍ 계속해서 알아가는 즐거움, 철학
[칼럼] 실존주의, 대상관계이론, 소비사회이론의 조합
에필로그
후기
미주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3169163 | 100 -25-11 |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 이용가능 | |
0003169164 | 100 -25-11 |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 이용가능 | |
0003179592 | 100 -25-11 |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 이용가능 | |
0003179593 | 100 -25-11 |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 이용가능 | |
B000124254 | 100 -25-11 | 부산관 종합자료실(1층)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 서가번호: 2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