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5

주요 내용 및 정책제안 4

CHAPTER 1. 연구의 개요 7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8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4

3. 선행연구 검토 및 차별성 17

4. 연구의 기대효과 19

CHAPTER 2. 고령화 사회와 모빌리티 20

1. 고령화 사회 전망 21

2. 인구구조 변화와 모빌리티 전환 29

CHAPTER 3. 고령자 PM의 현황 및 문제점 32

1. 고령자 PM의 개념 33

2. 국내 고령자 PM 현황 39

3. 국외 고령자 PM 정책 동향 56

4. 영광의 e-모빌리티 정책 사례 64

5. 고령자 PM 통행의 문제점 68

CHAPTER 4. 고령자 PM을 위한 도로환경 개선 방안 77

1. 기본 방향 78

2. 도로환경 개선 방안 79

3. 제도적 개선 방안 86

CHAPTER 5. 결론 및 정책 제언 89

1. 결론 90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제안 93

참고문헌 96

SUMMARY 103

[부록 1] 2016년 가구통행실태조사 분석 결과 106

[부록 2] 전동보장구 사고 사례 108

판권기 110

표목차 9

표 1-1. 개인교통수단 현황 9

표 1-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18

표 2-1. 주요국 (초)고령(화)사회 현황 21

표 2-2. 비도시지역의 고령자 통행 분석 28

표 3-1. 비도시지역의 고령자 PM 통행 범위 분석 35

표 3-2. 의료용 전동 보장구의 규격 및 제원 38

표 3-3. 국내의 고령자 교통정책 현황 46

표 3-4. 지자체의 전동 보장구 배상 보험 개요 47

표 3-5. 전동 보장구 통행 행태 49

표 3-6. 전동 휠체어 및 전동 스쿠터 사고 사례 분석 52

표 3-7. 도로 환경 측면에서의 고령자 PM 통행 장애요인 55

표 3-8. 영국의 보행보조용의자차의 분류와 통행 규칙 57

표 3-9. 일본의 개인교통수단의 분류 62

표 3-10. 전라남도 영광군의 e-모빌리티 도로 설계 67

표 3-11. 고령자 PM과 타 수단의 속도 비교 70

표 4-1. 영국의 보행보조용의자차의 분류와 통행 규칙 86

표 4-2. 도로 교통법 개정 대상 법령 87

표 4-3. 농어촌 도로의 구조ㆍ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 개선(안) 88

표 5-1. 고령자 PM 통행 실태 조사 항목(안) 94

표 5-2. 사고 자료의 유형 구분 현황 94

그림목차 11

그림 1-1. 전동 보장구 통행 안전성 관련 주요 언론 보도 11

그림 1-2. 고령화 전망 12

그림 1-3. 전동 보장구 소지 현황 12

그림 1-4. 연구 흐름도 16

그림 2-1. 고령인구와 경제활동인구 변화 전망 22

그림 2-2. 도시/비도시지역의 고령인구의 변화(2011~2021) 23

그림 2-3. 비도시지역 쇠퇴의 악순환 구조 24

그림 2-4. 고령인구의 가구형태 변화 26

그림 2-5. 지역별 고령인구의 가구형태 변화 26

그림 2-6. 수요응답형 교통 시스템 30

그림 2-7. 고령자 PM의 역할의 예시(퍼스트/라스트 마일) 31

그림 3-1. 본 연구의 고령자 PM 수단 34

그림 3-2. 도로 교통법의 교통 수단 정의 39

그림 3-3. 휠체어 및 보행자를 보도의 유효폭의 설정 42

그림 3-4. 사람중심도로 설계 지침 해설서의 PM 도로 개념도 43

그림 3-5. 사람중심도로 설계 지침에서 반영하고 있는 PM 수단 제원 43

그림 3-6. 서울시 관악구의 전동보장구 운전연습장 47

그림 3-7. 개발 중인 국내의 고령자 PM 수단(실버캐리지) 48

그림 3-8. 주 이용도로 현황(한국 소비자원) 50

그림 3-9. 인터뷰 응답자가 이용하는 전동 스쿠터의 모습 54

그림 3-10. 포괄적 이동성 지침의 설계 가이드 라인 56

그림 3-11. 일본의 차세대 고령자 퍼스널 모빌리티 61

그림 3-12. 영광군 e-모빌리티 중심도시 육성 로드맵 64

그림 3-13. 영광군의 e-모빌리티의 현황 65

그림 3-14. e-모빌리티 도로의 위치도 66

그림 3-15. 고령자 PM 이용자가 통행하는 보도가 없는 비도시 지역 도로의 모습 68

그림 3-16. 차도를 통행하고 있는 고령자 PM(천안시 내부도로) 69

그림 3-17. 고령자 PM 이용자가 차도 통행하는 구간의 보도 69

그림 3-18. 자동차 속도별 보행자 충돌 시험 결과 70

그림 3-19. 농어촌 도로의 안전시설이 부재한 모습 72

그림 4-1. 고령자 PM 도로 설계 방안(예시) 80

그림 4-2. 전라남도 영광의 PM도로와 고령자 PM 통행 80

그림 4-3. 보차혼용도로의 보행로 설치 기준(서울특별시) 81

그림 4-4. 전라남도 영광의 e-모빌리티 도로 표지판 및 노면 표지 82

그림 4-5. 도로 길가장자리의 연석이 설치된 모습 83

그림 4-6. 마을주민 보호구간 개념도 84

부표목차 106

부표 1. 도시/지방 지역의 고령자의 수단 분담률 비교 분석 106

부표 2. 도시/지방 지역의 고령자의 평균 수단 통행 시간 분석 107

부표 3. 전동 휠체어 및 전동 스쿠터 사고 사례 분석 108

이용현황보기

고령자의 개인교통수단 통행을 위한 도로환경 개선 방안 = The improvement plan for road environments to facilitate elderly personal mobility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216799 388.1 -25-3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0003216800 388.1 -25-3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