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스포츠 투어리즘 02 디지털 시대의 스포츠 투어리즘 마케팅 변화 03 혁신적 기술 도입 04 스포츠 투어리즘 상품 05 고객 중심 마케팅 06 스포츠 투어리즘 미디어 07 가상 세계와 스포츠 투어리즘 08 스포츠 투어리즘에서의 가치 변화 09 AI를 활용한 예측과 분석 10 AI의 한계와 스포츠 투어리즘
이용현황보기
스포츠 투어리즘과 AI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67866
338.4791 -25-22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0003167867
338.4791 -25-22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지역 경제 발전의 원천, AI와 스포츠 투어리즘 스포츠 관광 산업에 4차 산업혁명의 기술들이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다. 스포츠 투어리즘은 지역 경제 발전과 다양한 산업의 동반 성장을 이끄는 중요한 분야로, AI, 사물인터넷(IoT), 로봇공학, 가상현실(VR) 등의 혁신 기술이 결합되어 그 가능성을 확장하고 있다. AI는 스포츠 이벤트와 팬 경험을 개인화하고, 경기장 운영과 훈련 방식을 효율적으로 개선하며, 새로운 형태의 팬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책은 AI가 스포츠 투어리즘의 각 구성 요소인 소비자, 스포츠 상품, 중개자에 어떻게 접목되고 있는지 설명하며, AI 기반의 데이터 분석과 맞춤형 마케팅이 어떻게 스포츠 관광 산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있는지를 다룬다. AI는 과거 수작업으로 진행되던 전략 수립과 마케팅을 혁신적으로 변화시켜, 고객 만족도와 재방문율을 높이고 있다. 또한, 기술이 직업 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새로운 직업 창출 가능성도 함께 논의된다. 관련 산업 종사자들에게 팬 경험과 경기 운영의 혁신을 이끄는 중요한 지침과 유용한 지식을 제공한다.
책속에서
역사적으로 신기술이 등장할 때, 많은 학자들이 이러한 변화가 사회를 어떻게 변형할지 예측하고자 했다. 하지만 미래를 정확히 예측하는 것보다는, 학자들은 기술을 어떻게 응용하거나 활용할 수 있을지 방향성을 제시해야 한다. 따라서 중요한 것은 현실을 기반으로 가능한 변화를 인식하고 이에 대응하는 것이다. 특히 신기술을 통해 스포츠 투어리즘에서 극대화할 수 있는 기회와 강점을 찾고, 위협 요인이나 단점들은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01_“스포츠 투어리즘” 중에서
매년 스포츠 기업의 실무자들은 단기 및 중장기 사업 계획을 작성하고 실행해야 한다. 계획에는 중장기적으로 개최될 경기 계획과 이를 운영하기 위한 재무, 인력, 시설물 운영 계획 등이 포함된다. 사업을 추진한 후에는 피드백을 통해 평가 및 개선하는 과정이 이어진다. 이는 경영의 기본 프로세스인 PDS(Plan-Do-See) 사이클로, 이 과정에서는 모든 요소가 중요하지만 특히 계획(Planning) 단계가 가장 중요하다. 이 단계에서 얼마나 정확하고 정교하게 사업 설계도를 구상하느냐에 따라 성공 확률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이다.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며, 성공 확률을 높이고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계획이 기업의 주요 전략이 된다.
-03_“혁신적 기술 도입” 중에서
유튜브,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네이버 검색 광고, 구글 애드센스(Google AdSense)와 같은 채널을 활용하면, 축적된 소비자 정보를 기반으로 AI가 실시간으로 전략을 수정할 수 있다. 이는 미디어 마케팅 과정에서 고객 반응에 따라 신속하고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머신 러닝 기술은 사용자의 타깃에 맞는 관련 미디어를 찾아내고, 네이버나 구글 같은 플랫폼이 제공하는 소비자 데이터(관심 키워드, 위치, 구매 전환율 등)를 분석해 적절한 타이밍과 가격에 맞는 채널을 타기팅할 수 있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