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9
요약 3
제1장. 연구개요 14
1. 연구배경 및 목적 14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4
(1) 인구구조 변화와 가구특성의 변화 14
(2) 고령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주택환경 및 주거서비스에 대한 관심 증가 15
(3) 미래사회 대응 주거정책의 필요 16
(4) 지역사회 계속 거주 기반 주거정책의 실현 16
2) 연구목적 18
2. 연구내용 및 방법 19
1) 연구범위 19
2) 연구방법 19
3) 연구내용 19
제2장.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정책 동향 및 현황 21
1.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정책 여건 21
1)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정책의 전개 과정 21
2) 급속한 고령인구 증가와 가구 구조의 변화․특성 21
3) 초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공공정책 환경의 변화 24
2. 국내외 고령자 주거정책의 현황 및 사각지대 29
1) 주거정책 관련 기본계획 및 관련 법령 29
2) 국토교통부 관련 주거정책 31
3) 보건복지부 주거복지사업 32
4) 소득수준과 건강상태에 따른 이용 가능 주거정책 현황과 공백 33
3. 부산시 주거정책 현황 35
1) 부산시 주거정책 관련 기본계획 35
2) 부산시 및 구군 주요 정책 39
4. 해외 정책 동향 및 사례 47
1) 일본 48
2) 미국 50
3) 스웨덴 55
5. 여건분석 결과 및 시사점 56
제3장.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 실태 59
1. 분석자료 개요 59
2.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 실태 60
1) 부산시 구군별 인구 현황 60
2) 고령자 주거 실태 및 건강 실태 62
3) 장애인 주거 현황 74
4) 부산지역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 실태 79
3. 분석결과 요약 및 시사점 89
제4장. 부산시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정책 과제 92
1. 부산시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정책 방향 92
1) 부산시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정책 주요 쟁점 92
2) 부산시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정책 쟁점에 따른 기본 방향 96
2. 부산시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 정책 과제 99
1) 주택공급 : 부산시 도시정비 정책 간 연계, LH주택공사 등 주체 간 연계 99
2) 고령자 돌봄 주거복합단지 조성 105
3) 주거서비스 지원 : 고령자와 장애인의 지역사회 보호 연속성 유지 107
4) 주거복지서비스의 전달체계 강화 110
3. 결론 및 향후 과제 116
Abstract 118
참고문헌 120
판권기 123
〈그림 1-1〉 고령자 및 장애인의 주거 욕구의 변화 18
〈그림 1-2〉 연구방법 및 내용 20
〈그림 2-1〉 시도별 고령인구 및 고령화율 22
〈그림 2-2〉 연령계층별 인구구성비, 1960~2072년(중위) 23
〈그림 2-3〉 총부양비, 유소년부양비 및 노년부양비, 1960~2072년(중위) 24
〈그림 2-4〉 고령화에 따른 정책 연건 변화와 지역사회 기반 거주 28
〈그림 2-5〉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정책 현황 32
〈그림 2-6〉 경제수준 및 건강상태에 따른 노인주거시설 유형 33
〈그림 2-7〉 소득 및 건강상태에 따른 주거서비스 정책 현황 34
〈그림 2-8〉 부산광역시 리모델링 대상 공동주택 현황도 37
〈그림 2-9〉 생활권역별 리모델링 단지 현황 38
〈그림 2-10〉 부산진구 케어안심주택 : 도란도란하우스, 따로 또 같이 하우스, 안창 커뮤니티센터 42
〈그림 2-11〉 사하구 케어안심주택 내 외관 43
〈그림 2-12〉 돌봄서비스 대상자 및 선정기준 44
〈그림 2-13〉 경제수준 및 건강상태에 따른 일본의 고령자 주거유형 49
〈그림 2-14〉 주거기반 AIP 개념도 51
〈그림 2-15〉 미국의 독립생활 수준 및 주거비용에 따른 노인 주거유형 분류 53
〈그림 3-1〉 부산시 구군별 고령인구 현황 60
〈그림 3-2〉 부산시 장기요양 연령대별 등급 현황 61
〈그림 3-3〉 지역사회 자립생활 장애인 현황 62
〈그림 3-4〉 시도별 연령별 1인 가구 현황(2023년 12기준) 62
〈그림 3-5〉 단독가구 생활시 어려운 점 64
〈그림 3-6〉 시도별 현재 거주지 현황 65
〈그림 3-7〉 주거 형태 65
〈그림 3-8〉 주거 점유형태 65
〈그림 3-9〉 현재 거주지에 대한 불만족 요인 66
〈그림 3-10〉 건강악화 시 거주지 변경의향 67
〈그림 3-11〉 건강악화 시 돌봄 장소 67
〈그림 3-12〉 건강유지 시 희망 거주 장소 68
〈그림 3-13〉 시도별 건강악화 거주지 변경 의향 68
〈그림 3-14〉 시설 입소 전 거주지 69
〈그림 3-15〉 집에서의 계속 거주를 위해 우선 개선되어야 할 서비스 69
〈그림 3-16〉 수급자(부모)를 집에서 모시지 못하는 이유 70
〈그림 3-17〉 수급자(부모) 돌봄으로 인한 퇴사경험 70
〈그림 3-18〉 시도별 장기요양 판정 등급별 현황 71
〈그림 3-19〉 시도별 연령별 1등급 장기요양등급 판정 현황 72
〈그림 3-20〉 미이용 시간 독립생활 가능 여부 73
〈그림 3-21〉 시도별 장기요양 수발자 현황 73
〈그림 4-1〉 부산시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정책 과제 도출 흐름 92
〈그림 4-2〉 부산시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정책 주요 쟁점 확인 및 기본방향 설정 96
〈그림 4-3〉 부산시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정책 방향 114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3200196 | 363.5 -25-11 |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이용가능 | |
0003200197 | 363.5 -25-11 |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이용가능 | |
B000127454 | 363.5 -25-11 |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서가번호: 19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