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한국어판 서문 ㆍ 10
서문 ㆍ 16

제1장  
내 고향은 량좡 ㆍ 22
랑현으로 돌아가다 ㆍ 24
미실(迷失) ㆍ 28
지난 일들 ㆍ 35
생존의 정경 ㆍ 50

제2장
번성하는 ‘폐허’ 마을 ㆍ 58
폐허 ㆍ 60
평지 석 장(丈) 파기 ㆍ 69
검은 진흙탕 ㆍ 78
강변 ㆍ 84
강의 종말 ㆍ 89

제3장  
아이들 구하기 ㆍ 98
왕씨 소년 ㆍ 100
쯔(芝) 숙모 ㆍ 114
오째 할머니 ㆍ 123
량좡 초등학교 ㆍ 134
 
제4장
고향을 떠난 청년들 ㆍ 148
이쯔(毅志) ㆍ 150
[부록] 이쯔의 일기 ㆍ 163
쥐슈(菊秀) ㆍ 170
춘메이(春梅) ㆍ 181
이(義) 오빠 ㆍ 194
생명 이후 ㆍ 201

제5장
성년 룬투(閏土) ㆍ 210
칭리(清立) ㆍ 212
쿤셩(昆生) ㆍ 220
장꺼다(姜疙瘩) ㆍ 228
칭다오(清道) 오빠 ㆍ 237

제6장
포위된 향촌 정치 ㆍ 250
정치 ㆍ 252
전임 촌서기 ㆍ 265
현임 촌서기 ㆍ 277
현(縣)서기 ㆍ 289

제7장  
‘신도덕’의 우려 ㆍ 310
밍(明) 아저씨 ㆍ 312
링란(靈蘭) ㆍ 324
정의한(正義漢) ㆍ 333
환(焕) 아주머니 ㆍ 342
챠오위(巧玉) ㆍ 353
자오(趙) 아주머니 ㆍ 360

제8장  
고향은 어디에 ㆍ 372
늪 ㆍ 374
잊혀진 사람 ㆍ 379
재탄생 ㆍ 389
문화찻집 ㆍ 398
안녕, 나의 고향! ㆍ 405

후기 ㆍ 410
부록-힘겨운 ‘귀환’ ㆍ 418
역자 후기 ㆍ 462

이용현황보기

량좡 마을 속의 중국 : 당대 작가의 고향 이야기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72358 812.8 -25-4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172359 812.8 -25-4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123736 812.8 -25-4 부산관 종합자료실(1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아마존 영국 베스트셀러
가디언 올해의 도서
워싱톤 포스트 올해의 도서
파이낸셜 타임즈 올해의 도서
뉴욕 타임즈 올해의 도서
뉴요커 추천도서
르몽드 추천도서
누벨옵세바투아르 추천도서
마이니치 신문 추천도서


대도시로 이주한 많은 중국인처럼 량훙도 가족을 방문하기 위해 잠깐씩 고향으로 돌아오곤 했는데, 10여 년 전 어느 날 마을의 달라진 모습에 그녀는 충격을 받았다. 마을 중심지는 버려졌고, 인근 강은 오염되었으며, 숲은 벌목되었고, 동네 학교는 돼지우리로 변했다. 폭력이 증가했고 많은 사람들이 마을을 떠났다.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알기 위해 그녀는 고향 사람들을 인터뷰하기 시작했고, 2010년에 이 책을 출간했다. 공식 인구 조사에 따르면 중국의 도시 인구 비율은 1982년 20.6%에서 2010년 49.68%로 증가했다. 즉, 중국 인구의 50%가 도시거주자가 된 시점에 량홍이 이 책을 펴낸 셈이다.

2021년에는 영국 베르소에서 영문판(China in One Village: The Story of One Town and the Changing World)이 출판되었고 이밖에도 일본과 대만 그리고 프랑스에서도 출판되었다.
<량좡마을의 중국>은 문학적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수십만 부가 팔리고 중국 최고의 문학상을 연달아 수상했으며, 근대화에 대한 전국적인 논쟁을 촉발시켰다.

저자인 중국 인민대학교의 문학 교수 량훙은 정부 보고서에서 설득력 있는 통계를 찾아내는 한편, 공무원과 심지어 비행청소년까지 인터뷰를 했다.

이 책은 수십 년 동안 마을 사람들의 권력을 빼앗은 잔인한 정부 정책에 대한 설명으로 시작된다. 1949년 공산당이 집권하자 대대로 시민 지도자를 배출한 수많은 가문이 처형당했다. 또한 1958~1961년 정부의 잘못된 정책으로 기근이 발생해 4,500만 명이 아사하는 충격적인 사건이 발생했다.

뿐만아니라 중국 마을뿐만 아니라 주류에서 소외된 전 세계 지역사회가 직면한 보편적인 문제에 대해 이야기한다. 농촌에 남겨진 아이들, 농민의 노인 돌봄, 교육, 의료 등의 문제, 농촌 자연 경관의 변화, 가족 구조의 분열 등 사람들의 실제 생활과 그들이 직면하는 현실을 묘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