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머리말

1. 천연기념물 지정 화석산지
01 칠곡 금무봉 나무고사리 화석산지 | 02 제주 서귀포층 패류 화석산지 | 03 함안 용산리 백악기 새발자국 화석산지 | 04 의성 제오리 공룡발자국 화석산지 | 05 진주 유수리 백악기 하성퇴적층 | 06 해남 우항리 공룡·익룡·새발자국 화석산지 | 07 진주 가진리 새발자국과 공룡발자국 화석산지 | 08 고성 덕명리 공룡발자국과 새발자국 화석산지 | 09 화성 고정리 공룡알 화석산지 | 10 태백 장성 오르도비스기 화석산지 | 11 보성 비봉리 공룡알 화석산지 | 12 여수 낭도리 공룡발자국 화석산지 | 13 제주 사람발자국과 동물발자국 화석산지 | 14 사천 아두섬 공룡 화석산지 | 15 하동 중평리 장구섬 백악기 화석산지 | 16 화순 서유리 공룡발자국 화석산지 | 17 남해 가인리 화석산지 | 18 옹진 소청도 선캄브리아 스트로마톨라이트와 분바위 | 19 경산 대구가톨릭대학교 백악기 스트로마톨라이트 | 20 진주 충무공동 익룡·새·공룡발자국 화석산지 | 21 신안 압해도 수각류 공룡알둥지 화석 | 22 군산 산북동 공룡발자국과 익룡발자국 화석산지 | 23 사천 선전리 백악기 나뭇가지 피복체 산지 | 24 진주 정촌면 백악기 공룡, 익룡 발자국화석 산지 | 25 화성 뿔공룡(코리아케라톱스 화성엔시스) 골격화석 | 26 포항 금광리 신생대 나무화석 | 27 포항 금광동층 신생대 화석산지

2. 천연기념물 지정 암석광물
01 상주 운평리 구상화강암 | 02 무주 오산리 구상화강편마암 | 03 부산 전포동 구상반려암 | 04 옹진 백령도 진촌리 맨틀포획암 분포지 | 05 진도 동거차도 유문암질 단괴 | 06 포항 뇌성산 뇌록산지 | 07 정선 봉양리 쥐라기 역암
3. 천연기념물 지정 지형·지질
01 의령 서동리 백악기 빗방울자국 | 02 밀양 남명리 얼음골 | 03 제주 산굼부리 분화구 | 04 옹진 백령도 사곶 사빈 | 05 옹진 백령도 남포리 콩돌해안 | 06 영월 문곡리 건열구조 및 스트로마톨라이트 | 07 포항 달전리 주상절리 | 08 태백 구문소 오르도비스기 지층과 제4기 하식지형 | 09 태안 신두리 해안사구 | 10 달성 비슬산 암괴류 | 11 한탄강 대교천 현무암 협곡 | 12 강릉 정동진 해안단구 | 13 제주 우도 홍조단괴 해빈 | 14 제주 비양도 호니토 | 15 정선 백복령 카르스트지대 | 16 제주 중문·대포해안 주상절리대 | 17 제주 선흘리 거문오름 | 18 무등산 주상절리대 | 19 고성 계승사 백악기 퇴적구조 | 20 목포 갓바위 풍화혈 | 21 군산 말도 습곡구조 | 22 옹진 백령도 남포리 습곡구조 | 23 태안 내파수도 해안 자갈톱 | 24 제주 수월봉 화산쇄설층 | 25 신안 작은대섬 응회암과 화산성구조 | 26 제주 사계리 용머리 화산쇄설층 | 27 의성 빙계리 얼음골 | 28 밀양 만어산 암괴류 | 29 양양 오색리 오색약수 | 30 홍천 광원리 삼봉약수 | 31 인제 미산리 개인약수 | 32 경주 양남 주상절리군 | 33 포천 한탄강 현무암 협곡과 비둘기낭폭포 | 34 포천 아우라지 베개용암 | 35 영월 무릉리 요선암 돌개구멍 | 36 포항 오도리 주상절리 | 37 부안 위도 진리 대월습곡

4. 천연기념물 지정 천연동굴
01 제주 김녕굴과 만장굴 | 02 울진 성류굴 | 03 익산 천호동굴 | 04 삼척 대이리 동굴지대 | 05 영월 고씨굴 | 06 삼척 초당굴 | 07 제주 한림 용암동굴지대(소천굴, 황금굴, 협재굴) | 08 단양 고수동굴 | 09 평창 백룡동굴 | 10 단양 온달동굴 | 11 단양 노동동굴 | 12 제주 어음리 빌레못동굴 | 13 제주 당처물동굴 | 14 제주 용천동굴 | 15 제주 수산동굴 | 16 제주 선흘리 벵뒤굴 | 17 정선 산호동굴 | 18 평창 섭동굴 | 19 정선 용소동굴 | 20 거문오름 용암동굴계 상류동굴군(웃산전굴, 북오름굴, 대림굴) | 21 정선 화암동굴 | 22 영월 분덕재동굴

5. 천연기념물 지정 천연보호구역
01 홍도 천연보호구역 | 02 설악산 천연보호구역 | 03 한라산 천연보호구역 | 04 대암산·대우산 천연보호구역 | 05 향로봉·건봉산 천연보호구역 | 06 독도 천연보호구역 | 07 성산일출봉 천연보호구역 | 08 문섬·범섬 천연보호구역 | 09 차귀도 천연보호구역 | 10 마라도 천연보호구역 |11 창녕 우포늪 천연보호구역

6. 천연기념물 지정 추천 명소
01 옹진 장봉도 장봉편암 | 02 옹진 소굴업도 해식와 | 03 옹진 대이작도 풀등 | 04 고성 운봉산 주상절리 테일러스 | 05 제주 서귀포 정방폭포 | 06 부안 채석강 페퍼라이트 | 07 서산 황금산 코끼리바위 | 08 고흥 구암리 활개바위 | 09 울산 강동 화암 주상절리 | 10 진안 마이산 타포니 | 11 고성 능파대 곰보바위 | 12 옹진 대이작도 최고령 암석 | 13 연천 재인폭포 | 14 제주 비양도 화산탄산지 | 15 옹진 덕적도 능동자갈마당과 낙타바위 | 16 부안 채석강 퇴적동시성 습곡| 17 옹진 대청도 옥죽동 해안사구

[부록] 천연기념물 제도란?

이용현황보기

(천연기념물로 보는) 한국의 지형·지질 : 빼어난 경관에 담긴 위대한 자연사 읽기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72055 915.1 -25-14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172056 915.1 -25-14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123989 915.1 -25-14 부산관 종합자료실(1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경관에 담은 한반도 자연사

천연기념물은 국가에서 지정하여 법률로 보호하는 자연유산을 말한다. 천연기념물의 유형은 동물, 식물, 지형지질, 천연보호구역, 자연현상 등 5가지가 있다. 『천연기념물로 보는 한국의 지형·지질』에서는 자연이 남긴 천연기념물 가운데 화석산지, 암석광물, 지형지질, 천연동굴, 천연보호구역을 천천히 둘러보고 추후 천연기념물이 되기에 부족함이 없는 자연 유산 후보지를 추천한다.
유형별로 정리된 각 장의 소제목은 현재 천연기념물의 실제 명칭이다.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필요한 내용을 찾아서 부분적으로 읽어도 우리나라 천연기념물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전혀 없다. 천연기념물은 한반도 지각의 형성과 관련되거나, 지질을 대표하는 암석·구조·분포지이거나, 지질 시대와 생물의 역사 해석에 관련된 주요 화석과 그 산지이거나, 한반도 지질 현상을 해석하는 데 주요한 구조 또는 암석이거나, 학술적 가치가 큰 자연지형이다.
우리나라는 국토 면적이 넓은 편은 아니지만 약 25억 년이라는 오랜 지질 시대를 거치며 여러 차례의 지각변동으로 전국 각지에 다양한 지형과 지질구조가 발달하였다. 산지나 해안의 퇴적암층에 발달한 물결 모양의 습곡구조, 암석층 곳곳에 숨겨진 삼엽충과 공룡 등의 여러 화석, 깎아지른 듯한 해식애와 해식동, 지하에 발달한 수많은 석회동굴과 용암동굴, 거대한 화강암 덩어리로 가득한 돌산들, 구절양장처럼 오지 산간 협곡을 흐르는 하천과 폭포 등 모두 경관이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그 속에 뛰어난 자연사적 가치를 담고 있다.
우리는 다양한 지질 시대의 퇴적층에서 발견되는 고생물의 뼈와 발자국 등의 화석을 통해 당시 생명체가 살았던 지구환경을 이해할 수 있다. 오늘날 한반도 땅덩어리 가운데 지형과 지질 관련 천연기념물은 어떤 과정을 거쳐 형성되었으며, 그 안에 담긴 자연사적 가치가 무엇인지를 올바르게 이해한다면 그만큼 우리의 자연경관을 더 과학적인 시각과 안목으로 이해하고 통찰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