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기념물로 보는) 한국의 지형·지질 : 빼어난 경관에 담긴 위대한 자연사 읽기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72055
915.1 -25-14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172056
915.1 -25-14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123989
915.1 -25-14
부산관 종합자료실(1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경관에 담은 한반도 자연사
천연기념물은 국가에서 지정하여 법률로 보호하는 자연유산을 말한다. 천연기념물의 유형은 동물, 식물, 지형지질, 천연보호구역, 자연현상 등 5가지가 있다. 『천연기념물로 보는 한국의 지형·지질』에서는 자연이 남긴 천연기념물 가운데 화석산지, 암석광물, 지형지질, 천연동굴, 천연보호구역을 천천히 둘러보고 추후 천연기념물이 되기에 부족함이 없는 자연 유산 후보지를 추천한다. 유형별로 정리된 각 장의 소제목은 현재 천연기념물의 실제 명칭이다.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필요한 내용을 찾아서 부분적으로 읽어도 우리나라 천연기념물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전혀 없다. 천연기념물은 한반도 지각의 형성과 관련되거나, 지질을 대표하는 암석·구조·분포지이거나, 지질 시대와 생물의 역사 해석에 관련된 주요 화석과 그 산지이거나, 한반도 지질 현상을 해석하는 데 주요한 구조 또는 암석이거나, 학술적 가치가 큰 자연지형이다. 우리나라는 국토 면적이 넓은 편은 아니지만 약 25억 년이라는 오랜 지질 시대를 거치며 여러 차례의 지각변동으로 전국 각지에 다양한 지형과 지질구조가 발달하였다. 산지나 해안의 퇴적암층에 발달한 물결 모양의 습곡구조, 암석층 곳곳에 숨겨진 삼엽충과 공룡 등의 여러 화석, 깎아지른 듯한 해식애와 해식동, 지하에 발달한 수많은 석회동굴과 용암동굴, 거대한 화강암 덩어리로 가득한 돌산들, 구절양장처럼 오지 산간 협곡을 흐르는 하천과 폭포 등 모두 경관이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그 속에 뛰어난 자연사적 가치를 담고 있다. 우리는 다양한 지질 시대의 퇴적층에서 발견되는 고생물의 뼈와 발자국 등의 화석을 통해 당시 생명체가 살았던 지구환경을 이해할 수 있다. 오늘날 한반도 땅덩어리 가운데 지형과 지질 관련 천연기념물은 어떤 과정을 거쳐 형성되었으며, 그 안에 담긴 자연사적 가치가 무엇인지를 올바르게 이해한다면 그만큼 우리의 자연경관을 더 과학적인 시각과 안목으로 이해하고 통찰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