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5
주요 내용 및 정책제안 4
CHAPTER 1. 연구의 개요 7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8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9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12
4. 연구의 기대효과 14
CHAPTER 2. 수도권 집중과 지방 거점도시 관련 논의 15
1. 청년인구의 수도권 집중 양상과 지역이동 동인 16
1) 인구이동 양상과 청년인구의 수도권 집중 16
2) 청년의 지역이동과 정착 22
2. 지방 대도시 투자의 필요성 25
1) 기업과 인적자본의 수도권 집중 25
2) 지방 대도시의 과소 투자 현황 26
3) 지방 대도시 집중투자효과: 인구 및 경제성장 27
4) 지방 대도시 생산성 개선의 GDP 효과 28
5) 지방 대도시 중심 연계체계 구축을 통한 지역간 격차 완화 29
3. 지방 거점도시 육성과 수도권 집중 완화 32
1) 수도권 집중 완화를 위한 지역 거점도시 중심 연계체계 구축 32
2) 공공의 집중투자를 통한 지방 거점도시 육성 33
3) 국토불균형 완화를 위한 지방의 일자리 거점과 직주락 환경 조성 34
4) 지방의 성장과 혁신을 위한 지방대학의 역할 강화 36
CHAPTER 3. 국내 거점도시 개발 전략의 성과와 과제 37
1. 주요 국가계획과 거점도시 개발 전략 38
1) 경제개발5개년계획 38
2) 국토종합계획 39
3) 국가균형발전5개년계획 41
4) 수도권정비계획 42
2. 정부 주도 거점도시 개발 사례 분석 44
1) 산업거점 45
2) 외국인 투자거점 50
3) 행복도시와 혁신도시의 성과 및 과제 54
3. 거점 육성 관련 특구 지정 현황 61
4. 국가 주도 거점개발 정책의 특징과 시사점 70
1) 국가 주도 거점 개발 정책의 특징 70
2) 국내 거점도시 개발의 성과 70
3) 국내 거점도시 개발의 과제 73
CHAPTER 4. 해외 지방 거점도시 육성 정책과 사례 74
1. 정부의 집중 투자를 통한 지역 일자리와 성장 주도 75
1) 미국 공공 R&D 투자를 통한 슈퍼스타 도시 육성 75
2) 정책적 시사점 79
2. 지방대학을 구심점으로 한 지방도시 활성화 80
3. 인프라를 기초로 한 효율적 거점 간 기능 분배와 연계 강화 85
4. 문화와 교류를 통한 지역활성화 88
CHAPTER 5. 지방 대도시 거점기능 강화를 위한 정책 제안 91
1. 지방 대도시 거점기능 강화를 위한 기본방향 92
1) 지방 대도시 중심성과 연계성 강화 92
2) 다양성과 혁신성을 강화할 수 있는 일자리 생태계 조성 92
3) 창의적이고 매력적인 직주락 환경 조성 93
4) 지역경제 혁신과 성장을 위한 지방대학의 역할 강화 93
2. 지방 대도시 거점화를 위한 정책 제안 94
1) 지방 대도시의 일자리와 고용 기반 강화 94
2) 지방 대도시 연계성 강화와 정주여건 개선 97
3) 지방 대도시 특구와 혁신거점을 활용한 직주락(職住樂) 환경 조성 99
4) 거점형 공동 R&D센터와 지역대학 공동캠퍼스 활성화 102
참고문헌 104
SUMMARY 112
판권기 115
그림 1-1. 연구 흐름도 11
그림 2-1. 수도권 순이동자 수 추이(2000~2023) 16
그림 2-2. 연령별 수도권 순이동자 수 추이(2000~2023) 17
그림 2-3. 성별 수도권 순이동자 수(2000-2023) 18
그림 2-4. 목적별 수도권 순유입 인구(2023) 19
그림 2-5. 권역별 순이동자 수추이(2013~2023) 19
그림 2-6. 권역간 순이동, 2023 20
그림 2-7. 시도별 수도권 순이동자 수, 2023 21
그림 2-8. 청년 지역이동 이유 22
그림 2-9. 청년 정칙 주요 고려사항 23
그림 2-10. 지방이주 및 정착 확대를 위한 정책지원 수요 24
그림 2-11. 국가별 대기업 및 대학의 수도권 집중도 25
그림 2-12. 기초자치단체 투자지출: 수도권과 비수도권 도시규모별 비교 26
그림 2-13. 수도권과 비수도권 도시규모별 투자지출 효과: 투자지출 대비 인구증감률과 GRDP 증감률 27
그림 2-14. 도시유형별 생산성 제고의 전국 GDP 효과와 인접지역 파급효과 28
그림 3-1. 국토종합개발계획의 주요 공간구상 40
그림 3-2. 사례지역: 정부 주도로 개발된 거점 도시 44
그림 3-3. 분석틀: 거점도시 개발 사례 분석 내용 44
그림 3-4. 중화학공업 육성계획 추진체계도 45
그림 3-5. 외국인 투자거점: 인천 및 광양만권 경제자유구역 50
그림 3-6. 수도권, 비수도권, 혁신도시의 순유입 인구 추이(2012-2022) 56
그림 3-7. 기존 개발 방식과 도심융합특구 개발 방식의 차별성 62
그림 3-8. 도심융합특구 사업예정지 63
그림 3-9. 지방 디지털 혁신 체계 구축 방안 64
그림 3-10. 제1차 기회발전특구 지정 지역 66
그림 3-11. 규제자유특구 지정 현황 67
그림 3-12. 교육발전특구 선순환 체계(안) 69
그림 3-13. 2024년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지정 현황 69
그림 4-1. 미국을 도약시킬 차세대 기술허브 102곳 77
그림 4-2. 영국 23개 University Enterprise Zones 80
그림 4-3. 브래드포드 대학, 디지털 건강 기업 단지 주요 임무 82
그림 4-4. UWE Bristol의 하이테크 비즈니스를 위한 혁신 센터 Future Space 내부 84
그림 4-5. 일본 제2차 국토형성계획에서의 대류촉진형 국토 조성 방향 85
그림 4-6. 타테바야시 도시권 광역입지적정화방침 거점 설정 86
그림 4-7. 2024년 SXSW 참석자 현황 89
그림 4-8. SXSW 행사의 지역 경제 파급효과(2023년 기준) 90
그림 5-1. 거점형 인프라 연계 체계 97
그림 5-2. 양양 서피비치: 지역 자원과 콘텐츠 육성을 통한 도시 매력 및 활력 제고(예시) 98
그림 5-3. 지방 대도시 내 거점육성 관련 특구 지정 현황 99
그림 5-4. 청년친화형 직주락 환경 조성을 위한 부처 사업 연계 방안 101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3216825 | 307.14 -25-21 |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이용가능 | |
0003216826 | 307.14 -25-21 |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서가번호: 3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