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머리말
1부 자본주의의 소외와 공황
2020년대 한국 소설에 나타난 가난의 심성구조 : 〈반려빚〉, 〈은의 세계〉, 〈미조의 시대〉
1. 시작하며 : 확장되고 지워지는 가난의 심성
2. 죽거나 망하지 않고 채무자로 살아가기 : 김지연의 〈반려빚 〉
3. 오염을 유발하는 열등 시민으로 살아가기 : 위수정의 〈은의 세계 〉
4. 선택이 부재한 노동자와 세입자로 살아가기 : 이서수의 〈미조의 시대 〉
5. 맺으며 :가난한 사회 속의 취약한 개인
'자본주의 리얼리즘'과 한국 소설의 상상력 : 윤고은 소설 세 편 읽기
1. 시작하며 : '자본주의 리얼리즘'의 소설적 상상력
2. 투기 욕망을 정당화하는 불가항력의 게임 : 〈부루마불에 평양이 있다면 〉
3. 자본주의의 '중심 없음'과 고갈된 소설의 상상력 : 〈Q〉
4. 자본주의의 미로에서 이음새를 상상하기 : 〈월리를 찾아라 〉
5. 맺으며 : '자본주의 리얼리즘'의 균열
2부 노동과 사랑
2010년대 후반 소설에 나타난 여성 회사원 생활기 : 김세희와 장류진 소설 읽기
1. 시작하며 : 한국형 '오피스 노블'의 가능성
2. 체념과 불안의 '가만한' 생활감각 : 김세희의 〈가만한 나날〉과 〈드림팀 〉
3. '워라밸'과 '소확행'의 손익감각 : 장류진 〈일의 기쁨과 슬픔〉과 〈잘 살겠습니다〉
4. 맺으며 : 체념과 무능의 심성
세 가지 연애담, 이성애와 나르시시즘 : 〈무정〉 새롭게 다시 읽기
1. 시작하며 : 〈무정〉의 자기애와 나르시시즘
2. 하인즈 코헛의 자기심리학과 나르시시즘
3. 사제관계와 연애관계에 반영된 형식의 자기애적 욕구와 취약성
4. 인물들의 자기애적 성숙화와 '공감'의 대단원
5. 맺으며 : 자기애가 넘쳐나는 시대에 〈무정〉을 다시 읽는다는 일
3부 상실과 애도
환대의 존재론과 장소의 윤리 : 〈첫사랑〉, 〈상류엔 맹금류〉, 〈당신이 그동안 세계를 지키고 있었다는 증거〉
1. 시작하며 : '적절한 거리'와 '환대'
2. '목소리'와 '선택권'의 박탈로 이루어지는 박대 : 〈첫사랑〉
3. 규칙 위반을 벌하는 혐오의 자리, 〈상류엔 맹금류〉
4. 극진한 환대의 장소와 돌봄의 상호작용 : 〈당신이 그동안 세계를 지키고 있었다는 증거〉
5. 맺으며 : 환대를 통한 공존과 상생
편혜영 소설에 나타난 장소상실과 그 의미 : 집, 일터, 길의 공간 구조 및 인식
1. 시작하며 : '장소성' 개념과 편혜영 소설의 공간 의식
2. 복제되는 공간과 복사되는 삶 : 집과 일터
3. 목적 없는 배회와 지역성의 박탈 : 길
4. 맺으며 : 지리적 능력의 복원과 공간의 장소화
말할 수 없는 것과 불가능한 것을 말하기 : 4·16 세월호 참사를 다룬 네 편의 소설 읽기
1. 시작하며 : 애도하는 매체로서의 문학
2. 사자(死者)가 돌아오는 특별한 방식 : 최인석의 〈조침(弔針)〉
3. 수치심과 연루감의 임상 기록 : 윤대녕의 〈닥터K 의 경우〉
4. 기억으로 공유하는 현재 : 김애란의 〈어디로 가고 싶으신가요 〉
5. 소멸하고 소생(蘇生)하는 기억 : 김연수의 〈다만 한 사람을 기억하네 〉
6. 맺으며 : 기억의 윤리
4부 환상과 놀이
실존 배우의 소설적 형상화와 이미지 : 〈배삼룡 독트린〉, 〈변희봉〉, 〈나의 클린트 이스트우드〉
1. 시작하며 : 영화의 캐릭터와 배우의 상관관계
2. 슬픈 바보의 가상 세계로의 체념적 도피 : 박민규의 〈배삼룡 독트린 〉
3. 현실과 가상의 누락된 틈새 : 이장욱의 〈변희봉 〉
4. 마초적 영웅과 서부극의 몰락 : 오한기의 〈나의 클린트 이스트우드 〉
5. 맺으며 : 집단 기억으로서의 배우 이미지
한국 소설에 나타난 카메라와 사진의 상상력 : 〈빛의 호위〉, 〈댈러웨이의 창〉, 〈이창〉
1. 시작하며 : 자동기계 카메라와 사진의 사실성
2. 조해진 〈빛의 호위〉: 카메라의 빛으로 구원하는 삶과 세계
3. 박성원 〈댈러웨이의 창〉: 진실을 감금하는 카메라의 흐릿한 창
4. 구병모의 〈이창〉: 프레임 안과 바깥에서 발생하는 착시
5. 맺으며 : 사진 이미지의 미혹성
소설 속 놀이공간과 '재현의 공간' : 인문지리학과 르페브르의 공간생산이론
1. 시작하며 : 여가공간의 왜곡과 장소상실
2. 장소성의 복원과 공간의 전유
3. 모순의 공간에서 재현의 공간으로
4. 맺으며 : 몸으로 즐기고 생성하는 도시의 가능성
참고문헌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3173508 | 811.309 -25-7 |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 이용가능 | |
0003173509 | 811.309 -25-7 |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 서가번호: 15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