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1 나르시시즘: 개념과 역사  7
_박영진(건국대학교 문화예술심리치료학과)

들어가며 _ 7
성의학과 정신분석 _ 10
프로이트 _12
프로이트: 임상, 발달, 구조 _ 18
프로이트: 외적 논쟁과 내적 모순 _21
자아심리학 _ 27
대상관계이론 _ 32
라캉 _ 38
자기심리학 _ 43
컨버그 _ 48
나가며 _ 53


2 나르시시즘 권하는 사회: 소셜 미디어, 케이팝, 그리고 〈헤어질 결심〉 61
_김경태(연세대학교 매체와예술연구소)

나를 더 사랑하기 위한 나르시시즘적 공동체 _ 61
‘Superego’ 대신 ‘Super Real Me’ _ 74
비개인적 나르시시즘을 통한 타자성의 포용 _ 89


3 저는 나르시시스트인가요? - 나르시시즘의 임상적 분석 107
_박계원(필로웨일 정신분석심리상담)

관계의 어려움 _ 110
완벽한 나 _ 119
나르시시스트와의 동거 _ 126
나르시시즘을 부추기는 시대 - 사회, 문화의 변화에 따른 나르시
시즘 증상 _ 146
뉴노멀의 시대 - 개방적이며 연결선을 구축하는 나르시시즘을
위하여 _ 151
에필로그: 억압에서 자유로운 나르시시즘을 꿈꾸며 _ 158

이용현황보기

나르시시즘 = Narcissism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74087 150.195 -25-5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174088 150.195 -25-5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한국사회정신분석연구소: 가면과 거울 시리즈>는 여러 정신분석 학자들과 함께 정신분석의 관점에서 현대 한국사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마음의 문제를 주제별로 진단해보고 새로운 이해와 치유의 방향을 모색해보는 소중한 자료이다. 그 두번째 주제인 <나르시시즘>에서는 프로이트가 정신분석을 창안했던 ‘히스테리’의 시대와 달리 현대 사회에서 대두되고 있는 ‘나르시시즘’의 문제에 대해 정신분석 범주 안에서의 개념과 역사, 사회문화적, 임상적 관점에서 이해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정신분석이 나르시시즘의 문제에 어떤 것을 기여할 수 있는지에 대해 고민해본다.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소년은 에코의 짝사랑을 너무 매몰차게 거절했다는 이유로 여신 네메시스의 저주를 받았다. 그는 자신이 퇴짜를 놓은 수많은 사람들처럼 결코 보답 받지 못하는 사랑에 빠지게 되었다. 그는 수면에 비친 자기 자신의 모습을 보고 그 아름다움에 매혹되었다. 그가 자기 자신과의 사랑에 점점 더 매달릴수록 응답의 부재는 그를 더욱 더 고통스럽게 만들었다. 이렇게 그는 죽을 때까지 자신의 모습을 응시했다. 자신의 마지막 말을 메아리 처럼 울리게 하는 에코의 곁에서 말이다. 이 소년이 곧 “나르키소스”다.
정신분석은 우리 모두가 또 한 명의 나르키소스일 가능성에 주목한다. 우리는 우리 자신에 대해 아무 것도 알지 못한 채로 느끼고 사고하고 행동하고, 설령 우리 자신의 일부를 알 수 있다 하더라도 끝내 완전한 앎의 불가능성과 만난다는 점에서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