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머리말 … 002


1부 근대 이행기 한국학과 기독교 사상의 유입: 사상과 언어, 문학을 중심으로

■ 근대 초기 기독 선교사의 한국어 및 한글에 대한 인식과, 그 영향|장요한 … 009

■ 초기 개신교 선교사들의 교육이 한국 근현대화에 끼친 영향|오주철 … 041

■ 애니 베어드 소설 연구
  - 〈유한당사씨언행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김동욱 … 079

■ 〈최필공전〉 연구
  - 서사적 특징과 문학적 의미를 중심으로|오성준 … 111


2부 근대 이행기 대구경북지역의 전통사상과 종교의 만남

■ 민요와 개신교의 만남
  - 〈백합화〉(1957)를 중심으로|이혜정 … 143

■ 근대 이행기 영남지역 유가 지식인들과 기독교의 만남
  - 진암 이병헌과 해창 송기식을 중심으로|엄진성 … 179

■ 개항 이후 영남지역 유학자의 질병과 대응
  - 『소택일기』(1834~1912)를 중심으로|손경희 … 241


참고문헌 … 277

이용현황보기

근대 문명 전환기 한국학의 전통 사상과 기독교 사상의 융합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74646 181.101 -25-1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174647 181.101 -25-1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근대 한국학이 태동하던 대한제국(1897-1910)의 전후 시기는 전통과 개혁의 충돌, 갈등과 수용, 융합과 창조의 시대라 할 만큼 전통 사상과 근대 사상이 격돌하면서 급격한 변화를 겪게 된 시대이자 새로운 시대정신과 개념이 탄생한 시대이다. 왕조의 붕괴와 서구 문물 및 사상의 유입으로 언어, 문학, 교육, 정치, 경제, 사회 등의 제 분야들은 근대 민주 사회로의 길에 들어서기 시작하였다. 이 과정에서 서구에서 유입된 기독교는 혼돈의 조선 사회를 개혁하고자 하는 지식인들에게 새로운 사상과 근대 문화 변혁의 길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근대 이행기에서의 기독교 유입과 한국학의 관계에 대한 학제 간 연구가 본격적으로 진행된 바 없어 그 전모가 밝혀진 바 없으며 그 영향 관계와 전개 과정도 선명히 드러나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에서는 2022년 “근대 이행기 한국학과 기독교 사상의 유입: 사상과 언어, 문학을 중심으로” 기획 학술대회와 2023년 “근대 이행기 대구경북지역의 전통 사상과 기독교의 만남” 기획 학술대회를 추진하여 근대 이행기 한국학과 기독 사상 유입의 창조적 변혁을 정리해 연구의 기초를 제공하기 위해서 계명한국학총서60 『근대 문명 전환기 한국학의 전통 사상과 기독교 사상의 융합』을 출간하였다.
특별히 “근대 이행기 한국학과 기독교 사상의 유입: 사상과 언어, 문학을 중심으로” 기획 주제에서는 기독 선교사들의 언어 인식과 기독 사상이 한글과 문체, 그리고 전통 사상에 어떻게 유입되었고 그 결과 새롭게 발견된 국어관, 그리고 기독 사상과 전통 사상의 충돌과 융합의 양상 면모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근대 이행기 대구경북지역의 전통 사상과 기독교의 만남” 기획 주제에서는 대구경북지역의 특수성에 집중하여 유학 출신 기독교인들을 대상으로 전통 사상과 기독 사상의 갈등과 대응, 그리고 그로 인한 대구경북지역의 내적 변화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집필진 소개
∙ 장요한 (계명대학교)
∙ 오주철 (계명대학교)
∙ 김동욱 (계명대학교)
∙ 오성준 (서울대학교)
∙ 이혜정 (영남신학대학교)
∙ 엄진성 (영남대학교)
∙ 손경희 (금오공과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