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4

요약문 7

ABSTRACT 10

제1장 서론 14

제2장 바이오헬스 등장 배경과 정의 16

1. 'Bio'와 'Biohealth'의 등장 17

2. R. Downing(2011)의 정의 18

3. 국내 '바이오헬스' 용어의 등장 21

4. 국내 '바이오헬스' 정의 26

제3장 바이오헬스산업의 범위 28

1. 바이오헬스산업의 정의 29

2. 바이오헬스산업의 범위 31

3. 국내 바이오헬스산업의 범위 비교 34

4. 바이오헬스산업의 확장성 38

제4장 바이오헬스 관련 정책 및 전략 42

제5장 결론 50

참고문헌 53

[부록 1] 바이오산업 정의와 범위 56

[부록 2] 바이오헬스산업 혁신전략('19) 60

[부록 3] 팬데믹 대비와 글로벌 도약을 위한 바이오헬스산업 혁신 방안('22) 63

[부록 4] 바이오헬스 신산업 규제혁신 방안('23) 65

[부록 5] 바이오헬스 신시장 창출전략('23) 67

[부록 6] 바이오헬스산업 수출 활성화 전략 방안('23) 69

[부록 7] 바이오헬스 인재 양성 방안('23) 71

판권기 74

표목차 5

[표 2-1] 'Bio-' 접두사가 붙은 주요 용어들의 연대별 등장 시기 18

[표 2-2] R.Downing(2011)의 정의 20

[표 2-3] 바이오헬스 관련 문헌 목록 22

[표 2-4] 국내 바이오헬스의 정의 27

[표 3-1] 국내외 바이오헬스산업의 정의 29

[표 3-2] Biohealth NAICS(North American Industrial Classification System) Definition 33

[표 3-3] 국내 바이오헬스산업의 범위 35

[표 3-4]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의 바이오헬스산업의 범위 37

[표 4-1] 국내 바이오헬스 관련 정책 및 전략 43

그림목차 6

[그림 2-1] 구글 트랜드 분석(바이오헬스) 24

[그림 2-2] 구글 트랜드 분석(biohealth) 25

[그림 3-1] Biohealth Cluster Map 32

[그림 3-2] 바이오헬스산업의 범위(2가지 방식) 34

[그림 3-3] 보건산업의 기술간 융합과 산업간 연계 및 바이오헬스산업의 확장 40

[그림 4-1]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 49

[그림 5-1] 바이오헬스의 등장 시기 51

부록표목차 57

[표 1] 바이오산업의 정의 57

[표 2] 주요 생명공학 기술 57

[표 3] 바이오산업 3대 분류 및 주요 내용 58

부록그림목차 59

[그림 1] 바이오산업 3대 분류 59

이용현황보기

바이오헬스란 무엇인가 : 등장배경, 정의 및 산업적 범위 = What is the concept of biohealth? : background, definition and industrial scope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206282 338.4761 -25-6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0003206283 338.4761 -25-6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