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7
요약 4
제1장 사업 개요 21
1.1. 추진배경 및 목적 21
1.2. 사업 개요 24
1.3. 사업 내용 25
제2장 기준점 측량 26
2.1. 수준측량 26
(1) 계획 및 준비 26
(2) 투입장비 29
(3) 장비점검 29
(4) 관측계획 37
(5) 관측 40
(6) 관측 기록부 50
(7) 관측각의 점검 70
(8) 계산 74
(9) 성과표 87
(10) 점의조서 90
2.2. GNSS측량 97
(1) 계획 및 준비 97
(2) 투입장비 97
(3) 장비점검 98
(4) 관측계획 100
(5) 관측 102
(6) 관측 기록부 111
(7) 데이터 정리 및 점검 118
(8) 계산 121
제3장 유지보수 180
3.1. GNSS상시관측소 유지보수 180
(1) 개요 180
(2) GNSS상시관측소 목적 181
(3) GNSS상시관측소 유지관리의 고려사항 181
(4) GNSS 상시관측소 현황 182
3.2. 통합기준점 유지보수 192
(1) 개요 192
(2) 통합기준점의 설치 목적 192
(3) 고려사항 193
(4) 통합기준점의 위치 및 현황 193
3.3. 삼각점 등 기준점 유지보수 194
(1) 개요 194
(2) 유지보수 고려사항 195
(3) 삼각점의 현황 196
3.4. 측량장비 유지보수 204
(1) 부속장비 유지보수 204
(2) 격납상자 제작 204
(3) 장비 격납 205
(4) 경고문 작성 206
(5) 유지보수 활동의 운영 방안 206
3.5. 고려 사항 208
(1) IGS(International GNSS Service) 208
(2) POLENET(Polar Earth Observing Network) 209
(3) SCAR(The Scientific Committee on Antarctic Research) 210
(4) 유지보수 측량 212
(5) 유지보수비 종합 274
(6) 연차별 예산 계획 275
제4장 남극 중력자료 현황 조사 277
4.1. 남극의 중력 측량 개요 277
(1) 남극의 중력 측량 역사 277
(2) 남극의 지역적 특성 280
4.2. 중력 관측 280
(1) 지구 조석 282
(2) 해양 조석 하중 282
(3) 극운동에 대한 보정 282
(4) 대기 중력 효과에 대한 보정 283
4.3. 남극의 중력 분포 현황 285
4.4. 남극 중력 측량 성과의 의의 및 활용성 288
제5장 결론 290
Abstract 296
[부록] 2023년 남극 기준점 측지측량 및 유지보수 297
1. 년도별 GNSS 정밀해석 결과(세종과학기지) 298
2. 년도별 GNSS 정밀해석 결과(장보고과학기지) 349
3. 남극 작업일지 431
판권기 456
〈그림 1-01〉 남극의 영유권 경계 22
〈그림 1-02〉 중국기지 건설 현황 23
〈그림 1-03〉 사업의 위치도 24
〈그림 2-01〉 장보고과학기지 기준점측량 망도 26
〈그림 2-02〉 Trimble TSC7 컨트롤러와 어플리케이션 27
〈그림 2-03〉 각 관측장비의 구조 30
〈그림 2-04〉 정밀정준기와 삼각대 이용한 구심 31
〈그림 2-05〉 전자기포와 정준 33
〈그림 2-06〉 자동보정 옵션 설정 34
〈그림 2-07〉 전자레벨 장비점검 35
〈그림 2-08〉 위성기준점 JBS1의 안테나와 필러의 연직상황 38
〈그림 2-09〉 위성기준점 JBS1주변의 장애물도 39
〈그림 2-10〉 위성기준점 JBS1의 이전 후보지 39
〈그림 2-11〉 장보고과학기지 수준측량 망도 (작성일 : 2023.11.17) 40
〈그림 2-12〉 삼각대가 설치된 각 기준점 41
〈그림 2-13〉 토탈스테이션을 이용한 각 관측법 (작성일 : 2023.11.16) 42
〈그림 2-14〉 각 관측 오차 계산 42
〈그림 2-15〉 거리오차 계산 43
〈그림 2-16〉 온도기압계와 토탈스테이션의 자동보정 기능 44
〈그림 2-17〉 각 독취 시 각 흐름 현상 (작성일 : 2023.11.23.) 45
〈그림 2-18〉 삼각수준측량 야장 45
〈그림 2-19〉 자편각의 차이 (작성일 : 2023.11.16) 46
〈그림 2-20〉 간접수준측량 전경 (촬영일 : 2023년 11월) 47
〈그림 2-21〉 시준선과 지구곡률 오차 76
〈그림 2-22〉 곡률 및 굴절 77
〈그림 2-23〉 연직각 측정법 78
〈그림 2-24〉 전용줄자의 옵셋 변경방법 99
〈그림 2-25〉 통합기준점 설치 (촬영일 : 2023.11.22) 101
〈그림 2-26〉 관측 세션도 102
〈그림 2-27〉 기준점별 관측 준비 104
〈그림 2-28〉 각 측점별 T/S 또는 GNSS 관측 (촬영일 : 2023.12.01) 105
〈그림 2-29〉 GNSS 독립관측 Data Rinex 변환 105
〈그림 2-30〉 제1세션 GNSS Data Rinex 변환 106
〈그림 2-31〉 제2세션 GNSS Data Rinex 변환 107
〈그림 2-32〉 안테나 접시면에 사거리 측정 시 두 포인트 이상 측정평균 112
〈그림 2-33〉 GRT247과 GZS4 후크줄자를 사용한 안테나고 측정방법 113
〈그림 2-34〉 GRT247과 GHM007 줄자를 사용한 안테나고 측정방법 113
〈그림 2-35〉 장보고과학기지 위성기준점의 안테나고 측정 115
〈그림 2-36〉 남극대륙 주변의 IGS 관측소 현황 122
〈그림 2-37〉 '12년 기준국과 '24년 기준국 현황 122
〈그림 2-38〉 '12 HAAS MP1 124
〈그림 2-39〉 '12 HAAS MP2 124
〈그림 2-40〉 '12 MAVL MP1 124
〈그림 2-41〉 '12 MAVL MP2 124
〈그림 2-42〉 '12 PYGR MP1 125
〈그림 2-43〉 '12 PYGR MP2 125
〈그림 2-44〉 '12 BLUF MP1 125
〈그림 2-45〉 '12 BLUF MP2 125
〈그림 2-46〉 '12 WAIM MP1 125
〈그림 2-47〉 '12 WAIM MP2 125
〈그림 2-48〉 '12 LEXA MP1 126
〈그림 2-49〉 '12 LEXA MP2 126
〈그림 2-50〉 '12 DUM1 MP1 126
〈그림 2-51〉 '12 DUM1 MP2 126
〈그림 2-52〉 '12 MAC1 MP1 126
〈그림 2-53〉 '12 MAC1 MP2 126
〈그림 2-54〉 '12 DUND MP1 127
〈그림 2-55〉 '12 DUND MP2 127
〈그림 2-56〉 '12 CAS1 MP1 127
〈그림 2-57〉 '12 CAS1 MP2 127
〈그림 2-58〉 '12 DAV1 MP1 127
〈그림 2-59〉 '12 DAV1 MP2 127
〈그림 2-60〉 '12 MTJO MP1 128
〈그림 2-61〉 '12 MTJO MP2 128
〈그림 2-62〉 '12 MAW1 MP1 128
〈그림 2-63〉 '12 MAW1 MP2 128
〈그림 2-64〉 '12 MCM4 MP1 128
〈그림 2-65〉 '12 MCW4 MP2 128
〈그림 2-66〉 '12 SCTB MP1 129
〈그림 2-67〉 '12 SCTB MP2 129
〈그림 2-68〉 '24 MAC1 MP1 129
〈그림 2-69〉 '24 MAC1 MP2 129
〈그림 2-70〉 '24 SCTB MP1 129
〈그림 2-71〉/〈그림 2-70〉 '24 SCTB MP2 129
〈그림 2-72〉 '24 COTE MP1 130
〈그림 2-73〉 '24 COTE MP2 130
〈그림 2-74〉 '24 CAS1 MP1 130
〈그림 2-75〉 '24 CAS1 MP2 130
〈그림 2-76〉 TNB1 망조정 결과 136
〈그림 2-77〉 구TNB1 망조정 결과 136
〈그림 2-78〉 TNB2 망조정 결과 136
〈그림 2-79〉 TNB3 망조정 결과 137
〈그림 2-80〉 JBS0 망조정 결과 137
〈그림 2-81〉 JBS1 망조정 결과 137
〈그림 2-82〉 JBSA 망조정 결과 137
〈그림 2-83〉 망조정 140
〈그림 2-84〉 남극대륙 주변의 국토지리정보원 GNSS 상시관측소 현황 151
〈그림 2-85〉 남극대륙 주변의 IGS 관측소 현황 153
〈그림 2-86〉 GAMIT/GLOBK의 해석 과정 단계 155
〈그림 2-87〉 GAMIT 기선해석 분석 결과 구성 156
〈그림 2-88〉 GLOBK 망조정 분석 결과 구성 156
〈그림 2-89〉 GAMIT 데이터 처리 결과 157
〈그림 2-90〉 GLOBK 파라미터 내역 158
〈그림 2-91〉 GLOBK 데이터 처리 결과 159
〈그림 2-92〉 2011~2015년 세종과학기지 E좌표 성과 161
〈그림 2-93〉 2011~2015년 세종과학기지 N좌표 성과 161
〈그림 2-94〉 2011~2015년 세종과학기지 U좌표 성과 161
〈그림 2-95〉 2017~2023년 장보고과학기지 E좌표 성과 162
〈그림 2-96〉 2017~2023년 장보고과학기지 N좌표 성과 162
〈그림 2-97〉 2017~2023년 장보고과학기지 U좌표 성과 162
〈그림 2-98〉 2011~2015년 세종과학기지 E좌표 성과 170
〈그림 2-99〉 2011~2015년 세종과학기지 N좌표 성과 170
〈그림 2-100〉 2011~2015년 세종과학기지 U좌표 성과 171
〈그림 2-101〉 OHI3 N, E, U 좌표변동량 172
〈그림 2-102〉 PALM N, E, U 좌표변동량 172
〈그림 2-103〉 ROTH N, E, U 좌표변동량 172
〈그림 2-104〉 2017~2023년 장보고과학기지 E좌표 성과 173
〈그림 2-105〉 2017~2023년 장보고과학기지 U좌표 성과 173
〈그림 2-106〉 2017~2023년 장보고과학기지 U좌표 성과 174
〈그림 2-107〉 SCTB N, E, U 좌표변동량 175
〈그림 2-108〉 COTE N, E, U 좌표변동량 175
〈그림 2-109〉 세종ㆍ장보고과학기지 수평 및 수직 지각변동량 분석도 176
〈그림 2-110〉 2008년 해외사례 지각 변동 분석도 176
〈그림 2-111〉 2022년도 세종ㆍ장보고과학기지 지각 변동 분석도 177
〈그림 3-01〉 장보고과학기지의 위치 180
〈그림 3-02〉 GNSS 위성데이터 수신 확인 (촬영일 : 2023.11.11) 183
〈그림 3-03〉 GNSS 수신기 교체 완료 (촬영일 : 2023.12.11) 184
〈그림 3-04〉 전산 네트워크 주소 (촬영일 : 2023.11.11) 184
〈그림 3-05〉 와이파이 설정(촬영일 : 2023.11.11) 185
〈그림 3-06〉 로그인 설정(촬영일 : 2023.11.11) 185
〈그림 3-07〉 GNSS 데이터 수신현황 점검 (촬영일 : 2023.12.11) 186
〈그림 3-08〉 입력된 안테나 정보 (촬영일 : 2023.12.11) 187
〈그림 3-09〉 GNSS 안테나 설치 현황 (촬영일 : 2023.12.10) 188
〈그림 3-10〉 GNSS Pillar 현황 (촬영일 : 2023.2.16) 189
〈그림 3-11〉 위성기준점 설치 현황 (촬영일 : 2023.2.21) 189
〈그림 3-12〉 서버의 사양 (촬영일 : 2023.12.11) 190
〈그림 3-13〉 서버용 UPS의 사양 (촬영일 : 2023.12.11) 191
〈그림 3-14〉 GNSS 관측 데이터 송수신 (촬영일 : 2023년 12월 11일) 191
〈그림 3-15〉 통합기준점의 위치 193
〈그림 3-16〉 통합기준점 현황 (촬영일 : 2023.12.11) 194
〈그림 3-17〉 기준점 위치 안내 Pole 196
〈그림 3-18〉 구TNB1의 위치 197
〈그림 3-19〉 삼각점 구TNB1 현황 (촬영일 : 2023.2.21) 197
〈그림 3-20〉 TNB1의 위치 198
〈그림 3-21〉 삼각점 TNB1 현황 (촬영일 : 2023.2.21) 198
〈그림 3-22〉 TNB2의 위치 199
〈그림 3-23〉 삼각점 TNB2 현황 (촬영일 : 2023.2.21) 199
〈그림 3-24〉 TNB3의 위치 200
〈그림 3-25〉 삼각점 TNB3 현황 (촬영일 : 2023.2.21) 201
〈그림 3-26〉 TBM4의 위치 203
〈그림 3-27〉 TBM4 현황점검 (촬영일 : 2023.12.10) 203
〈그림 3-28〉 측량장비 보관 위치 205
〈그림 3-29〉 장비 격납고 위치 및 열쇠 비밀번호 (촬영일 : 23.12.12) 206
〈그림 3-30〉 남극대륙의 Polenet 209
〈그림 3-31〉 안테나 주변의 장애물 217
〈그림 3-32〉 GNSS 신호수신 장애물도 및 위성기준점 주변의 구조물 현황 226
〈그림 3-33〉 장보고과학기지의 위성기준점 설치 후보지 226
〈그림 3-34〉 장보고과학기지의 위성기준점 설치방안 227
〈그림 3-35〉 세종과학기지의 GNSS Pillar 현황 (촬영일 : 2023.2.16) 231
〈그림 3-36〉 세종과학기지의 위성기준점 이전 설치 후보지 232
〈그림 3-37〉 나침반 이용한 안테나의 셋업 방법 237
〈그림 3-38〉 각국의 영유권 주장 현황 246
〈그림 3-39〉 세종과학기지의 지도제작 현황 247
〈그림 3-40〉 장보고과학기지의 지도제작 현황 247
〈그림 3-41〉 해도제작 현황 248
〈그림 3-42〉 남극 과학기지주변의 수심측량 현황 248
〈그림 3-43〉 지적도 제작의 발전현황 249
〈그림 3-44〉 국립해양조사원의 해안선 지형측량 250
〈그림 3-45〉 남극 중력측정 현황 252
〈그림 3-46〉 UAV를 이용한 중력측량 및 지자기 측량 255
〈그림 3-47〉 남극 조위 관측소 현황 256
〈그림 3-48〉 조위 관측소의 개념도 257
〈그림 3-49〉 초음파식 검조기 259
〈그림 3-50〉 레이더식 검조의 260
〈그림 3-51〉 GNSS-R 관측위치 261
〈그림 3-52〉 GNSS-R(GNSS-Reflectometry)관측소 설치방안 262
〈그림 3-53〉 튜브식 관측시스템 설치 후보지 262
〈그림 3-54〉 튜브식 관측시스템의 개념도 263
〈그림 3-55〉 튜브식(다중우물통) 조위계의 구조 264
〈그림 4-01〉 시계열별로 나타낸 절대 중력 관측 현황 281
〈그림 4-02〉 남극 절대 중력 관측 결과 281
〈그림 4-03〉 절대중력계 283
〈그림 4-04〉 다중 GNSS 관측 스테이션 284
〈그림 4-05〉 남극의 표면 프리에어 중력 이상의 격자화된 데이터 세트 287
〈그림 4-06〉 Bedmap2를 사용하여 남극 대륙의 전체 Bouguer 중력 이상에 대한 그리드 데이터 세트 288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