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국민의, 국민에 의한, 국민을 위한 정부’가 과연 민주주의 정부인가? 2. ‘자기지배의 원리’가 민주주의의 원리로 타당한가? 3. 왜 ‘법의 지배’인가? 4. 왜 권력은 분립되어야 하는가?: 견제와 균형의 원리 5. 국회의 입법권은 무제한인가? 6. 사법부, 선출되지 않은 권력? 7. 행정 관료의 권력, 왜 끝없이 팽창하는가? 8. 민주주의와 언론: 역할과 책임 9. ‘정치적 올바름’은 올바른 주장인가? 10. 정당이 있어야 민주주의 국가인가? 11. 지방자치는 민주주의에 필수적인가? 12. 민주주의는 어떻게 평등을 실현하는가? 13. 복지국가는 민주주의의 이상향인가? 14. 포퓰리즘, 왜 무서운가? 15. 정책은 여론을 따라가야 하는가? 16. 더 많이 참여할수록 민주주의는 더 잘 기능할까? 17. 직접민주주의가 더 나은 민주주의인가? 18. 다수결은 무조건 정당한 선택방법인가? 19. 민주정부의 정책결정은 무엇이든 투명하게 공개되어야 하나? 20. 시민단체는 정말 시민을 위한 단체인가? 21. 민주주의 국가는 왜 갈등을 당연시하며 관리 대상으로 보는가? 22. 민주주의의 성숙을 위한 문화적 기반은? 23. 민주주의의 역리(逆理): 그래도 민주주의
이용현황보기
그래도 민주주의 : 다시 보는 23가지 기본원리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77841
321.8 -25-4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0003177842
321.8 -25-4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0003189439
321.8 -25-4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0003189440
321.8 -25-4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21세기 들어 세계 각지에서 민주주의는 무섭게 후퇴중이다. 포풀리즘을 등에 업은 신형 독재자들이 출현해 국민을 기만하고 국가를 위기 속에 몰아넣는데도 사람들은 왜 그리 쉽게 속아 넘어가는 것일까? 민주주의라는 제도 자체가 깨어지기 쉬운 질그릇처럼 연약하기 때문이다. 헌법만으로는 실패를 막지 못한다. 견제와 균형의 원리, 법의 지배의 원리, 이것이 민주주의를 지키는 든든한 둑이고 제방이다. 우리는 때로 강물이 시냇물처럼 조용하기를, 또 때로는 파도치는 바다처럼 시원시원하기를 바라지만, 강물은 잔잔히 흘러가야 강물이다. 강물이 도도하게 흐르게 하려면, 둑이 튼튼해야 한다. 하늘 무서운 줄 모르는 인간의 교만과 끝을 모르는 욕구의 소용돌이를 막는 둑과 제방이 튼튼히 버티어주지 않으면, 민주주의의 제방은 무너지고, 인간의 욕망은 노도(怒濤)가 되고 급기야 홍수가 나고 만다. 지금 우리가 이런 홍수를 겪고 있다는 게 저자들의 생각이다. 이 책의 저자들은 서울대, 고려대 등 국내 유수 대학의 교수들이다. 저자들은 우리 사회에 민주주의에 대한 오해가 널리 퍼져 있으며, 초중등학교 교과서에 실린 기초적인 민주주의 소개 내용에조차 상상할 수 없을 만큼 오류가 많다고 지적한다. 이런 환경 속에서 저자들은 우리 국민과 청소년들에게 민주주의를 올바로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이 책의 집필에 나섰다. 저자들은 ‘민사모’(민주주의를 사랑하는 모임)를 만들어 오랜 기간 공동작업을 진행해 왔다. 집필한 원고를 난상토론해 가며 다른 저자가 거듭 수정하는 힘들고도 독특한 방식이었다. 이 책은 우리나라의 민주주의를 둘러싼 수많은 논란거리 모두에 답을 제시하려는 게 아니다. 민주주의가 도대체 무엇이고, 민주주의를 올바로 이해하는 일이 왜 그리고 얼마나 시급하고 중요한 일인지 널리 인식시키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미국 제2대 대통령 존 아담스는 “민주주의는 영속되는 법이 없다. 곧 쇠퇴하고, 탈진하고, 자살한다. 이제껏 자살하지 않은 민주주의는 없다”고 말하였다. 이 책은 민주주의 개론서이면서, 이 땅의 민주주의가 자살하는 일이 생기지 않도록 경종을 울리고자 하는 원로, 중견 학자들의 간절한 소망을 담고 있다. 민주주의 제도에 대한 많은 오해와 과도한 기대가 만들어 낸 오늘의 한국 민주주의 위기를 잘 극복하고 더 건강하게 재건하기 위해서는 민주주의의 역리(逆理)들을 깊이 이해하고 ‘그래도 민주주의’라고 마음속에 되뇌고 굳게 다짐할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