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21

연구요약 6

Ⅰ. 서론 28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9

가. 연구의 필요성 29

나. 연구목적 33

2. 연구내용 및 방법 35

가. 연구내용 35

나. 연구방법 38

Ⅱ. 공정과 노동시장에서의 성평등 40

1. 청년층 '공정' 담론과 현대적 성차별주의(modern sexism) 41

가. 청년층 '공정' 담론과 성평등의 왜곡 41

나. 현대적 성차별주의(Modern Sexism) 43

2. 노동시장의 젠더 편향과 일ㆍ가정 양립 47

가. 유-무급노동의 성별분리와 이상적 노동자 규범(ideal worker norm) 47

나. 일ㆍ가정 양립 노동 환경과 출산율 50

3. 여성 집중 일ㆍ가정 양립 제도 이용의 딜레마 53

가. 여성집중 일ㆍ가정 양립제도 이용과 모성 페널티 53

나. 마미트랙 백래쉬(Mommy Track Backlash) 55

4. 유연성 낙인(Flexibility Stigma)의 유해성 56

가. 유연성 낙인과 젠더 56

나. 기업의 유연성 편견(Flexibility bias) 58

5. 소결 59

Ⅲ. 공정과 성평등에 대한 근로자의 인식 수준 분석 62

1. 분석 개요 63

가. 분석 목적 63

나. 분석 내용과 방법 64

2. 소셜 빅데이터 분석 66

가. 분석 개요 66

나. 분석 결과 70

다. 소결 95

3. 프리미엄 리뷰 분석 97

가. 분석 개요 97

나. 분석 결과 99

다. 소결 115

4. 근로자 인식조사 116

가. 조사 개요 116

나. 조사 결과 118

다. 소결 146

Ⅳ. 일ㆍ생활 균형제도 활성화를 위한 인사관리 사례 분석 148

1. 분석 개요 149

가. 연구모형 149

나. 조사방법 및 사례기업 선정 152

다. 사례기업 주요 특성 요약 153

2. 기업별 분석 결과 155

가. A사(공공기관, 사업시설관리서비스업) 155

나. B사(공공기관, 제조 및 건설업) 159

다. C사(기타 공공기관, 금융지원 서비스업) 163

라. D사(중견기업, 정보통신업) 166

마. E사(중견기업, 제조업) 169

바. F사(중견기업, 제조업) 172

사. G사(중견기업, 제조업) 176

아. H사(중견기업, 운수창고업) 180

자. I사(중소기업,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183

차. J사(중소기업, 제조업) 189

3. 소결 192

가. 정책적 시사점 192

나. 일ㆍ생활 균형제도 활성화를 위한 인사관리방안 193

Ⅴ. 결론 및 정책과제 198

1. 연구결과와 정책적 함의 199

2. 정책과제 206

가. 정책방향 206

나. 세부 정책과제 209

3. 연구의 한계와 향후 과제 244

가. 연구의 한계 244

나. 추후 연구과제 245

참고문헌 247

[부록 1] 근로자 대상 설문지 258

[부록 2] 기업심층사례 인터뷰 질문지 264

Abstract 266

판권기 268

표목차 24

〈표 Ⅰ-2-1〉 장별 구성 및 연구내용 37

〈표 Ⅰ-2-2〉 소셜 빅데이터 분석 개요 38

〈표 Ⅰ-2-3〉 프리미엄 리뷰 분석 개요 38

〈표 Ⅲ-1-1〉 근로자의 인식 수준 분석내용과 방법 66

〈표 Ⅲ-2-1〉 '공정'과 '성평등' 관련 주요 키워드 67

〈표 Ⅲ-2-2〉 분석 키워드 선정 결과 67

〈표 Ⅲ-2-3〉 산업군별 활용 리뷰 통계 69

〈표 Ⅲ-3-1〉 잡플래닛 프리미엄 리뷰 질문 98

〈표 Ⅲ-3-2〉 프리미엄 리뷰 응답 결과(기업문화) 99

〈표 Ⅲ-3-3〉 프리미엄 리뷰 응답 결과(복지 및 평가ㆍ기업만족도) 103

〈표 Ⅲ-3-4〉 프리미엄 리뷰 응답 결과(일과 삶의 균형) 106

〈표 Ⅲ-4-1〉 설문조사 표본할당 116

〈표 Ⅲ-4-2〉 설문조사 응답자 특성 117

〈표 Ⅲ-4-3〉 응답자 성별 특성 119

〈표 Ⅲ-4-4〉 삶에서 가장 가치 있는 것(1순위) 121

〈표 Ⅲ-4-5〉 공정한 조직이 되려면 가장 우선되어야 할 가치(1순위) 122

〈표 Ⅲ-4-6〉 조직 내 공정한 인사관리에 대한 동의 정도 125

〈표 Ⅲ-4-7〉 주당 평균 근로시간 126

〈표 Ⅲ-4-8〉 모든 직원이 자유롭게 제도 활용이 가능한 응답 비중 128

〈표 Ⅲ-4-9〉 일ㆍ생활 균형 수준에 대한 평가 129

〈표 Ⅲ-4-10〉 육아휴직 복귀 후 인사고과 방식에 대한 의견 131

〈표 Ⅲ-4-11〉 동료의 육아휴직에 대한 동의 비율 133

〈표 Ⅲ-4-12〉 삶의 가치관별 조직에 대한 가치관 136

〈표 Ⅲ-4-13〉 삶의 가치관별 육아휴직 후 복귀자 평가방식 137

〈표 Ⅲ-4-14〉 삶의 가치관별 공정에 대한 인식 138

〈표 Ⅲ-4-15〉 삶의 가치관별 육아휴직에 대한 동의 비율 139

〈표 Ⅲ-4-16〉 육아휴직제도와 유연근로제도 활용 가능성 140

〈표 Ⅲ-4-17〉 육아휴직제도 활용 가능성에 따른 육아휴직 활성화 방안 141

〈표 Ⅲ-4-18〉 유연근로제도 활용 가능성에 따른 유연근로 활성화 방안 142

〈표 Ⅲ-4-19〉 육아휴직제도 활용 가능성에 따른 공정에 대한 인식 차이 143

〈표 Ⅲ-4-20〉 유연근로제도 활용 가능성에 따른 공정에 대한 인식 차이 144

〈표 Ⅲ-4-21〉 제도활용 가능성에 따른 육아휴직에 대한 동의 정도 145

〈표 Ⅳ-1-1〉 조사내용 151

〈표 Ⅳ-1-2〉 사례 분석 대상기업 주요 특성 154

〈표 Ⅳ-2-1〉 A사 사례 요약 158

〈표 Ⅳ-2-2〉 B사 사례 요약 162

〈표 Ⅳ-2-3〉 C사 사례 요약 166

〈표 Ⅳ-2-4〉 D사 사례 요약 168

〈표 Ⅳ-2-5〉 E사 사례 요약 172

〈표 Ⅳ-2-6〉 F사 사례 요약 176

〈표 Ⅳ-2-7〉 G사 사례 요약 179

〈표 Ⅳ-2-8〉 H사 사례 요약 183

〈표 Ⅳ-2-9〉 I사 사례 요약 188

〈표 Ⅳ-2-10〉 J사 사례 요약 191

〈표 Ⅳ-3-1〉 제도 유형별 주요 갈등 내용 및 활성화 방안 197

〈표 Ⅴ-1-1〉 주요 연구결과와 정책적 함의 203

〈표 Ⅴ-2-1〉 주요 글로벌 기업의 성평등 이니셔티브 사례 210

〈표 Ⅴ-2-2〉 인사관리 방식의 패러다임 전환 213

〈표 Ⅴ-2-3〉 국내 159개 기업 ESG 보고서 성평등지표 현황 226

〈표 Ⅴ-2-4〉 Catalyst의 MARC 프로그램 228

〈표 Ⅴ-2-5〉 일ㆍ생활 균형제도 사업주 지원금 232

〈표 Ⅴ-2-6〉 고평법 제2조 현행조항과 개정(안) 제안 비교표 238

〈표 Ⅴ-2-7〉 고평법 가족돌봄 관련 현행조항과 개정(안) 제안 비교표 240

〈표 Ⅴ-2-8〉 현행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신청서와 개정(안) 제안 비교표 242

그림목차 26

[그림 Ⅱ-1-1] 성차별의 빙산 46

[그림 Ⅲ-2-1] 산업군별 언급량 분석 사용 용어 정의 69

[그림 Ⅲ-2-2] 산업군별 기업 수와 리뷰 건수 70

[그림 Ⅲ-2-3] '공정' 관련 연관 키워드 의미망 차트 시각화 결과 72

[그림 Ⅲ-2-4] 보상(7그룹) 연관어 WordCloud 분석 결과 73

[그림 Ⅲ-2-5] 보상(7그룹) LDA Topic Modeling 결과(장점) 74

[그림 Ⅲ-2-6] 보상(7그룹) LDA Topic Modeling 결과(단점) 74

[그림 Ⅲ-2-7] 산업군별 키워드 언급 비율 분석(7그룹) 75

[그림 Ⅲ-2-8] 시계열에 따른 키워드 언급량 변화(7그룹) 76

[그림 Ⅲ-2-9] '기회' 관련 연관 키워드 의미망 차트 시각화 결과 78

[그림 Ⅲ-2-10] 기회(8그룹) 연관어 WordCloud 분석 결과 79

[그림 Ⅲ-2-11] 기회(8그룹) LDA Topic Modeling 결과 80

[그림 Ⅲ-2-12] 산업군별 키워드 언급 비율 분석(8그룹) 81

[그림 Ⅲ-2-13] 시계열에 따른 키워드 언급량 변화(8그룹) 81

[그림 Ⅲ-2-14] '일ㆍ가정 양립' 관련 연관 키워드 의미망 차트 시각화 결과 83

[그림 Ⅲ-2-15] '워라밸' 관련 연관 키워드 의미망 차트 시각화 결과 86

[그림 Ⅲ-2-16] 워라밸(5그룹) 연관어 WordCloud 분석 결과 87

[그림 Ⅲ-2-17] 워라밸(5그룹) LDA Topic Modeling 결과 88

[그림 Ⅲ-2-18] 산업군별 키워드 언급 비율 분석(5그룹) 88

[그림 Ⅲ-2-19] 시계열에 따른 키워드 언급량 변화(8그룹) 89

[그림 Ⅲ-2-20] '인사관리' 관련 연관 키워드 의미망 차트 시각화 결과 90

[그림 Ⅲ-2-21] 인사관리(6그룹) 연관어 WordCloud 분석 결과 91

[그림 Ⅲ-2-22] '공정'과 '인사관리' 연관어 WordCloud 분석 결과 92

[그림 Ⅲ-2-23] 인사관리(6그룹) LDA Topic Modeling 결과(장단점) 93

[그림 Ⅲ-2-24] 산업군별 키워드 언급 비율 분석(6그룹) 94

[그림 Ⅲ-2-25] 시계열에 따른 키워드 언급량 변화(7그룹) 94

[그림 Ⅲ-3-1] 기업문화 체감도 추이 100

[그림 Ⅲ-3-2] 산업군별 기업문화 체감도 101

[그림 Ⅲ-3-3] 산업군별 업무 중 자유로운 휴식 여부 101

[그림 Ⅲ-3-4] 퇴사 사유의 추이 104

[그림 Ⅲ-3-5] 산업군별 퇴사 사유 104

[그림 Ⅲ-3-6] 실제 가능한 워라밸 추이 107

[그림 Ⅲ-3-7] 산업군별 실제 가능한 워라밸 108

[그림 Ⅲ-3-8] 하루 평균 근로시간 추이 108

[그림 Ⅲ-3-9] 산업군별 하루 평균 근로시간 109

[그림 Ⅲ-3-10] 주 평균 야근 횟수 추이 110

[그림 Ⅲ-3-11] 산업군별 주 평균 야근 횟수 110

[그림 Ⅲ-3-12] 월평균 주말 근무 횟수 추이 111

[그림 Ⅲ-3-13] 산업군별 월평균 주말 근무 횟수 111

[그림 Ⅲ-3-14] 연차 사용 분위기 추이 112

[그림 Ⅲ-3-15] 산업군별 연차 사용 분위기 112

[그림 Ⅲ-3-16] 산업군별 업무 유연성 113

[그림 Ⅲ-3-17] 원격근무 가능성 추이 114

[그림 Ⅲ-3-18] 산업군별 원격근무 가능성 114

[그림 Ⅲ-4-1] 삶에서 가장 가치 있는 것(1~3순위) 121

[그림 Ⅲ-4-2] 공정한 조직이 되려면 가장 우선되어야 할 가치(1~3순위) 123

[그림 Ⅲ-4-3] 자유로운 육아휴직제도 활용 요건(1순위) 134

[그림 Ⅲ-4-4] 자유로운 육아휴직제도 활용 요건(1+2+3순위) 134

[그림 Ⅲ-4-5] 자유로운 유연근로제도 활용 요건(1순위) 135

[그림 Ⅲ-4-6] 자유로운 유연근로제도 활용 요건(1+2+3순위) 135

[그림 Ⅳ-1-1] 기업사례 심층분석 모형 150

[그림 Ⅳ-1-2] 기업 심층사례 연구 진행 과정 153

[그림 Ⅴ-2-1] 호주의 '성평등한 부모휴가를 위한 가이드' 212

부표목차 257

〈부표 1〉 특성별 응답자 분포 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