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4

1. 근로자 건강진단 종류 및 실시 개요 5

2. 건강진단주기 6

3. 수시건강진단 10

4. 건강진단 검사항목 및 실시절차 11

5. 직업환경의학적 평가 12

6. 지침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해설 15

7. 관련 법규 17

[부록] 26

Ⅰ. 문진 27

Ⅱ. 임상진찰 57

순음청력 검사에 관한 지침(KOSHA GUIDE H-56-2023) 70

폐활량검사 및 판정에 관한 지침(KOSHA GUIDE H-129-2023) 82

신경행동검사 지침 93

접촉피부염의 작업 관련성 평가 지침 99

근로자건강진단 검사항목 선정 지침 107

Ⅲ. 임상검사 120

임상검사 순서 124

1. 신체계측 127

2. 혈압 130

3. 비뇨기계 검사 132

4. 조혈기계 검사 139

5. 간담도계 검사 150

6. 심혈관계 검사 162

7. 호흡기계 검사 170

8. 이비인후 검사 178

9. 생식기능 검사 181

10. 눈ㆍ피부ㆍ비강ㆍ인두 검사 185

11. 신경계 검사 192

12. 위장관계 검사 203

13. 내분비계 검사 204

14. 기타 검사 205

Ⅳ. 생물학적 노출지표검사 214

Ⅴ. 건강진단결과 평가 및 사후조치 결정 222

Ⅵ. 근로자 보건관리 관련 산업안전보건법령 233

Ⅶ. 근로자 건강진단 결과표 작성 요령 315

판권기 348

표목차 6

표 1. 특수건강진단의 시기 및 주기 6

표 2. 수시건강진단 개요 및 실시 절차 10

표 3. 근로자가 호소하는 증상의 작업관련성 판단 지침 10

부록표목차 73

Ⅱ. 임상진찰 73

순음청력 검사에 관한 지침(KOSHA GUIDE H-56-2023) 73

〈표 1〉 선별청력검사시 주변 환경 허용소음레벨 기준 73

〈표 2〉 정밀청력검사시 청력부스 내 허용소음레벨 기준(ISO 8253-1) 73

〈표 3〉 주파수별 폐쇄 효과에 의해 증가하는 음압 수준 78

〈표 4〉 차폐가 필요한 경우와 최소 및 최대 차폐강도수준 78

폐활량검사 및 판정에 관한 지침(KOSHA GUIDE H-129-2023) 83

표 1. 검사 전 중지기간(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6; ATS, 2019) 83

표 2. 폐활량검사의 금기증(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6) 83

표 3. 한국인과 외국인 근로자에게 적용가능한 예측식 91

표 4. 폐활량검사 결과와 환기기능 장애 92

신경행동검사 지침 95

표 1. 컴퓨터 신경행동검사와 면접식 신경행동검사의 장단점의 비교 95

접촉피부염의 작업 관련성 평가 지침 100

표 1. 접촉피부염의 작업 관련성 평가를 위한 조사 항목 100

표 2. 마티어스의 직업성 접촉 피부염 진단기준 100

표 3. 알레르기 및 자극접촉피부염의 특성 102

표 4. 자극접촉피부염 진단기준 103

표 5. 알레르기접촉피부염 진단을 위한 참고사항 103

근로자건강진단 검사항목 선정 지침 112

표 1. 특수ㆍ배치 전ㆍ수시 건강진단 제2차 검사항목 중 필요시 실시하는 검사항목(제4조 제2항 관련) 112

표 2. 2차 검사 항목별 실시 권고안 112

Ⅲ. 임상검사 121

1. 임상검사값을 해석할 때의 유의점 121

표 1. 임상검사 항목의 검사방법 및 참고값 121

1. 신체계측 127

표 1. 한국인에서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에 따른 비만 동반 질환 위험도(대한비만학회 비만 진료지침(2022) 8판) 127

표 2. 「건강검진 운영세칙(2024)」 내 건강신호등 모델(보건복지부 「건강검진 실시기준」 제16조) 128

표 3. 「건강검진 운영세칙(2024)」 내 16. 생활습관 평가(보건복지부 「건강검진 실시기준」 제16조) 128

2. 혈압 130

표 1. 고혈압 진료지침에 의한 고혈압 분류(대한고혈압학회, 2022) 130

4. 조혈기계 검사 148

표 1. Met-Hb 농도와 임상적 증상 148

11. 신경계 검사 197

표 1. 말초신경 전도속도의 정상치 197

14. 기타 검사 209

표 1. 석면폐 진단의 종합평가 기준 209

표 2/표 1. CO-Hb 농도에 따른 임상적 증상 210

표 3/표 2. CO-Hb 농도의 참고치 210

표 4. 적혈구 침강속도의 판정 1시간 213

Ⅳ. 생물학적 노출지표검사 215

표 1. 유기화합물 생물학적 노출지표의 노출기준값 및 검사방법 215

표 2. 금속류 생물학적 노출지표의 노출기준값 및 검사방법 217

표 3. 산 및 알칼리류의 생물학적 노출지표의 노출기준값 및 검사방법 217

표 4. 가스 상태 물질류의 생물학적 노출지표의 노출기준값 및 검사방법 218

표 5. 영 제88조에 따른 허가 대상 유해물질 생물학적 노출지표의 노출기준값 및 검사방법 218

Ⅴ. 건강진단결과 평가 및 사후조치 결정 222

표 1. 산업안전보건법상 근무금지 내지 취업제한을 요하는 건강상태(모든 부서에 해당) 222

표 2. 유기화합물의 군별 물리화학적 성질과 그 건강장해 224

표 3. 금속류의 물리화학적 성질과 그 건강장해 230

표 4. 분진, 가스 및 물리적인자의 성질과 그 건강장해 231

Ⅶ. 근로자 건강진단 결과표 작성 요령 321

표 1. 사후관리조치 판정(고용노동부고시 「근로자 건강진단 실시기준」 별표 4) 321

표 2. ㅇㅇㅇㅇ년도 A 사업장 일반건강진단 결과 요약 324

표 3. ㅇㅇㅇㅇ년도 A 사업장 일반건강진단 결과표 예시[규칙 별지 제84호 서식] 325

표 4. 일반 질병 소견 코드표(별지 제84호 서식에서 발췌) 326

표 5. 직업성 질병 소견 코드표(별지 제85호 서식에서 발췌) 327

표 6. ㅇㅇㅇㅇ년도 A 사업장 일반건강진단 결과 요약 328

표 7. ㅇㅇㅇㅇ년도 A 사업장 일반건강진단 결과표 예시[규칙 별지 제84호 서식] 328

표 8. 특수건강진단 대상 유해인자 분류표 333

부록그림목차 79

Ⅱ. 임상진찰 79

〈그림 1〉 청력도 상에서의 기도, 골도역치 표시 방법 79

Ⅲ. 임상검사 180

그림 1. 226 Hz 소리를 사용하여 검사한 고막운동성 검사결과의 유형 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