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저리 가! 미세먼지
잔소리쟁이 엄마
달리기 실험
열이 펄펄
우리는 잔소리쟁이

지구 수호 마을
마을을 떠나야 해요
강물이 이상해요
낭떠러지
지구 수호 마을이 참 좋아요

이용현황보기

푸른별 지구 꿈꾸는 우리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C000037253 아동3 811.3 -25-561 서울관 어린이방(105호) 이용가능
C000037254 아동3 811.3 -25-561 부산관 어린이자료실(1층) 이용중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같이 쑥쑥 자라고 소중한 가치를
지키고 배우는 즐거운 학교생활

지구가 오염되면, 우리 건강도 함께 위협받아요.
깨끗한 물도, 맑은 공기도 당연하지 않답니다.

환경오염을 막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작은 실천들이 모여야 해요.
함께 손을 모아 푸른 지구를 지키는
방법을 배워요.

우리 지구를 지키는 작은 실천들.

환경오염과 미세먼지가 우리의 삶에 점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푸른별 지구 꿈꾸는 우리》는 이러한 환경문제를 어린이들이 일상 속에서 쉽게 접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돕는 창작 동화입니다. 이 책은 아이들에게 미세먼지와 오염으로부터 지구를 보호하는 다양한 방법을 깨닫게 해줍니다.

아이들은 숨쉬기 힘든 날에도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는 친구들을 보며 고민에 빠지고, 지구를 보호하기 위해 모험을 떠나는 동물들의 이야기를 들으며 환경의 소중함을 느끼게 됩니다. 《푸른별 지구 꿈꾸는 우리》는 "저리 가! 미세먼지"와 "지구 수호 마을" 두 편의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깨끗한 공기를 위해, 오늘부터 실천해요.

첫 번째 이야기인 〈저리 가! 미세먼지〉에서는 아이들이 미세먼지의 위험성과 공기 오염 문제를 어떻게 인식하고 대처하는지 보여줍니다. 주인공은 건강을 지키기 위해 마스크를 쓰고 손을 자주 씻는 습관을 배워갑니다. 아이들은 이 이야기를 통해 미세먼지로부터 건강을 지키는 생활 습관을 배우고, 작은 실천들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닫게 됩니다. 이러한 깨달음은 마스크 착용과 손 씻기 같은 일상 속 습관으로 이어지며, 어린이들 스스로 지구를 보호하는 첫걸음을 내딛게 합니다.

모두가 함께 만들어가는 깨끗한 지구.

두 번째 이야기 〈지구 수호 마을〉에서는 오염된 숲과 강을 떠나 깨끗한 환경을 찾아 떠나는 판다 친구들의 모험을 다룹니다. 판다들은 여행 중에 만나는 다양한 동물들과 함께 지구를 보호할 방법을 고민하고, 인간과 동물이 함께 지구를 보호하는 '지구 수호 마을'을 발견하게 됩니다. 서로 다른 모습과 생활 방식을 가진 생명들이 협력하며 깨끗한 환경을 만들어가는 이 이야기는, 아이들에게 자연을 보호하는 방법을 알리고 협력의 중요성을 일깨워 줍니다.

문해력도 잡고, 한 번 더 생각해 보는 독후 활동.

《푸른별 지구 꿈꾸는 우리》는 어린이들이 읽고 나서 환경을 더 깊이 생각할 수 있도록 ‘문해력 플러스’와 ‘같이 생각하기’ 같은 독후 활동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아이들은 미세먼지와 환경오염 문제를 더 깊이 이해하고, 일상 속에서 지구를 위해 실천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어린이들이 이 책을 통해 환경 보호의 중요성을 깨닫고, 작은 행동들이 지구를 보호하는 데 큰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배우길 바랍니다.

《푸른별 지구 꿈꾸는 우리》와 함께 깨끗하고 아름다운 지구를 만들어 나가는 여정을 시작하세요.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P. 11] 쓱쓱, 수건이 여러 번 지나갔는데도 유리문은 여전히 뿌옇기만 했지요. 거실을 지나가던 엄마가 후다닥 달려왔어요.
“밖에 미세먼지가 엄청 심한데 문을 열면 어떡해! 엄마는 얼른 유리문을 닫았어요.
“너무 더러운 것 같아서 닦아내려고…….”
유정이가 유리문을 콕 가리키며 말했지요.
“유리문이 더러운 게 아니라, 미세먼지로 세상이 뿌연 거야.”
[P. 70~71] “세상에! 이렇게 많은 플라스틱이 어디서 온 거지?”
루시와 틴이 한숨을 섞어 말했어요. 조금 더 걸어가자 거대
한 플라스틱 산이 나타났어요.
“인간들은 지금 이 순간에도 플라스틱을 만들고, 사용하고,
버리고 있겠지?”
촌장 할아버지가 지겹다는 듯 푸념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