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장. 아직은 무주공산, 시니어 마켓 1. 우리에겐 새로운 경제학이 필요하다 2. 부머경제학이 뒤집은 경제 이론들 3. 일본 시니어마켓, 벤치마킹 혹은 반면교사 4. 몹시 알고 싶은 요즘어른의 속내 5. 시니어 비즈니스에 점수를 매겨보자
4장. 밥, 몸, 집, 웰다잉 - 요즘어른 소비화두Ⅰ 1. 요즘어른의 5대 소비욕구, 필수에서 선택까지 2. 1단계 생활(Life)욕구: 살아야 하니까 ⦁삼시세끼: 요즘어른의 밥 ⦁구매대행: 다 사드립니다 ⦁가사지원: 살림을 부탁해 ⦁생활불안: 신체 한계를 보듬는 기술 3. 2단계 건강(Health)욕구: 99세까지 88하게 ⦁예방운동: 무병장수를 향하여 ⦁간병대책: 언젠가 닥칠 그날 ⦁노후주거: 늙어도 스위트홈 ⦁죽음준비: 굿바이, 마이 라이프!
5장. 함께, 신나게, 행복하게 - 요즘어른 소비화두Ⅱ 1. 3단계 관계(Relation)욕구: 함께라면 안심 ⦁가족주의: 마지막 안전장치 ⦁손주사랑: 지갑을 열게 하는 마법 ⦁효도상품: 마처세대의 마지막 핏줄소비 ⦁황혼인연: 마음이 외로우면 몸도 아프다 2. 4단계 유희(Play)욕구: 더 늦기 전에 ‘렛츠 플레이’ ⦁노화방지: 젊어진다는 치명적 유혹 ⦁생활유희: 오늘이 제일 젊은 날 ⦁취미학습: 지적 호기심과 배우는 기쁨 ⦁추억반추: 그리운 옛날이 돈이 된다 3. 5단계 희망(Dream)욕구: 마지막까지 행복하기 ⦁자유이동: 꿈과 희망을 좇아서 ⦁여행욕구: 한 번만 간 사람은 없다 ⦁도시집중: 늙을수록 도시가 좋다는 역설 ⦁자산운용: 환갑 청년의 열혈 투자 선언
이용현황보기
(요즘어른의) 부머 경제학 = Boomer economics : 인구감소 시대, 새로운 부의 법칙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79382
339.47 -25-2
서울관 국가전략정보센터(107호)
이용중
0003179383
339.47 -25-2
서울관 의원열람실(회관)
이용불가
0003188552
339.47 -25-2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0003188553
339.47 -25-2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테마코너 (자료실내 이용)
B000123708
339.47 -25-2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
B000123709
339.47 -25-2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집, 돈, 학력... 다 가진 소비집단, 1,700만 거대 시장을 잡아라!
★ 베이비부머, 그들은 한국사회의 ‘짐’이 아니라 ‘힘’이다! ★ ★ 초저출생, 초고령화, 저성장 시대, 새로운 부富의 법칙! ★ 집, 돈, 학력… 다 가진 강력한 소비집단, 1,700만 거대 시장을 잡아라! 인구가 국력이라는 말은 상식에 가깝다. 중국이 단숨에 개발도상국에서 G2로 발돋움한 데도 거대 인구가 결정적 역할을 했다. 그런 면에서 대한민국이 맞고 있는 파멸적 저출생 현상은 모든 변수를 빨아들이는 블랙홀과 같다. 설상가상으로 우리는 2024년 초고령사회로 진입했다. 고령사회에서 초고령사회로 가는 데 단 8년밖에 걸리지 않았다. 고도성장, 압축성장의 모범사례였던 대한민국이 이제는 선진국에서 개도국으로 추락하는 샘플이 될 수도 있다는 공포감이 번지고 있다.
인구 위기를 해결할 힌트는 인구에 있다! 인류 최초의 파워 시니어 ‘요즘어른’에 주목하라!
우리는 솔직하게 인정해야 한다. 세계 최저인 0.7명대 출산율을 끌어올릴 뾰족한 방법이 없음을. 20년간 인구 대책에 380조라는 천문학적 예산을 쏟아부었지만 대부분 실패로 끝났다. 장기적인 호흡과 인내심으로 젊은 세대가 가족 분화(결혼과 출산)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도와 인프라를 개선하는 방법뿐이다. 그리고 그와 별도로 제로성장, 축소경제로 치닿는 상황을 한시바삐 지속가능하게 전환할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암울한 상황이지만 방법이 없는 것도 아니다. 그리고 그 방법은 문제의 핵심인 인구에서 찾을 수 있다. 바로 1955~1974년 태어난 베이비부머 집단이다. 그들은 현재 5070세대로서 앞단은 은퇴를 시작했고 뒷단은 마지막 현역시절을 구가하고 있다. 이들을 주목하는 것은 1,700만이라는 거대한 규모 때문만은 아니다. 인류 최초로 부모와 자녀 세대보다 많은 자산을 가진 집단이기 때문이다. 그들은 경제적 여유, 고학력, IT 능력, 실행력과 모험심을 두루 갖춘 인류 최초의 시니어, 바로 ‘요즘어른’이다.
노벨경제학상 이론도 더 이상 먹혀들지 않는다! 지금 우리에겐 새로운 경제학이 필요하다!
초저출생, 초고령화로 집약되는 인구위기는 우리가 알고 있던 모든 이론과 상식을 파괴한다. 노동력과 자본을 투입해 성장하는 경제는 더 이상 작동하지 않는다.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생애주기이론도 맞아들어가지 않는다. 100에서 나이를 빼라는 위험투자 원칙도 폐기된다. 지금, 노인 그룹에 속속 진입하는 부머세대는 우리가 알고 있는 노인상을 거부한다. 그들은 나이 들어서도 전원보다 서울 도심을 좋아하고, 집밥을 고집하지 않으며, 여전히 잘 놀고 잘 쓰며, 디지털과 가상공간에 친숙하며, 위험투자도 서슴지 않는다. 이제까지의 무채색 시니어 마켓과는 차원이 다른 컬러풀한 신시장이 펼쳐진다는 예고와 다름없다. 부머세대가 60세 혹은 65세 정년이 되어 은퇴한다면 생산가능인구의 축소와 막대한 복지 부담으로 대한민국 경제에 치명상을 입힐 것이다. 반대로, 체력과 지력, 노하우를 보유한 그들을 평생근로 제도 안에서 계속 고용한다면 노동력 감소를 막고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마법이 펼쳐진다. 지금 당장 부머 경제학을 실행해야 할 이유다.
비즈니스 트렌드의 대전환은 이미 시작되었다! ‘요즘어른’으로 피벗을 전환하라!
인구감소는 비즈니스 환경을 사막으로 만든다. 직격탄을 맞는 것은 0~20세를 대상으로 한 비즈니스다. 산부인과부터 육아용품, 학원, 완구, 교재, 아동복 시장 등이 사양길에 접어들었다. 그런데 최근 젊은층을 대상으로 하던 비즈니스가 요즘어른으로 피벗을 전환하는 사례들이 눈에 띈다. 고령자용(평생교육과 치매 예방) 학습지를 내놓은 아동 학습지 회사는 예상외의 호응에 스스로 놀라워하고 있다. 아동용 보행기를 만들던 회사는 고령자용 보행 보조기(워커)를 만들고 있다. 유아용 기저귀 회사는 성인용 기저귀로, 유아용 이유식을 만들던 회사는 고령자용 영양식으로 중심축을 바꾸고 있다. 인구든 경기든 어떤 상황에서도 기업은 성장하고 살아남아야 할 숙명을 갖는다. 개별 기업 차원에서 살아남기 위한 피벗 전환이 일상화되고 있으며, 전환의 방향은 모두 한 곳을 가리키고 있다.
BTS는 임영웅을 이기지 못한다! 인구경제학이 알려주는 미래 비즈니스 키워드 20
임영웅은 평판으로도 소비 파워로도 압도적 가수 1위다. 10대 인구는 50대의 절반 규모에 불과하고, 10대의 구매력은 50대의 발끝에도 미치지 못한다. BTS는 임영웅을 앞으로도 쭉 이기지 못할 것이다. 인구경제학은 매우 정확하게 미래 비즈니스의 방향과 강도를 읽어낼 수 있다. 이 책은 다양한 사례연구를 통해 요즘어른을 프로파일링하고, 이에 매슬로우의 5단계 욕구 이론을 접목해 단계별 4개씩의 비즈니스 키워드를 도출했다. 총 20개의 키워드가 공개되는 셈이다. 우리보다 앞서 초고령사회에 접어든 유럽의 사례와 우리에게 반면교사가 되는 일본 사례도 풍부하고 꼼꼼하게 수록했다. 시니어 마켓을 향한 많은 기업들의 시행착오와 성공사례, 실패사례들을 보면서 미래 비즈니스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다.
예고된 불황 터널을 탈출할 유일한 카드! 미래를 살아갈 우리가 꼭 알아야 할 미래 대응 전략!
인류 최초로 모든 것을 다 가지고 늙어가는 집단인 ‘요즘어른’은 시니어나 실버란 말 자체에 강한 거부감을 느낀다. ‘고령자용’이라는 라벨은 더더욱 혐오한다. 건강, 간병 이슈에만 함몰된 결과, 실패사례를 양산한 일본을 보면 더욱 명백해지는 사실이다. 대한민국의 요즘어른 시장은 ‘현역 연장’의 개념으로 접근해야 한다. 5070에 진입한 요즘어른은 여전히 액티브하고 스마트하다. 시니어 마켓이 아닌 요즘어른의 시장을 창조하고 확장하는 데에는 창의력과 혁신전략이 필요하다는 뜻이다. 이 책은 미개척지인 미래 시장에 어떻게 진입할 것이며, 비즈니스 방향을 어떻게 정밀조정하고, 위기와 기회 요인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를 알려주는 지침서다. 창업자, 기업가, 기획자, 마케팅 전문가뿐 아니라 미래를 살아갈 우리 모두가 반드시 알아야 할 미래 대응 전략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