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4

안내서를 펴내며 6

1부 재난을 말하는 인권의 문법 10

1. 재난의 의미를 묻다 11

1-1. 재난의 정의들 11

1-2. 혼재된 개념들 : 사고, 사건, 참사, 그리고 재난 19

2. 재난의 사회성을 읽다 25

2-1. 재난을 둘러싼 통념들 25

2-2. 사회적 사건으로 재난을 본다는 것 26

2-3. 반복되는 재난 참사의 구조 37

3. 재난에 대처하는 인권 기준을 찾다 39

3-1. 왜 인권에 기반한 접근이 필요한가 39

3-2. '인권에 기반한 접근'을 말하는 국제기준 46

2부 재난이 제기한 인권의 의제들 55

1. 깊어가는 불평등, 위기의 재난약자 56

1-1. 재난은 불평등을 타고 흐른다 56

1-2. 불평등이 재난이다 58

1-3. 재난은 불평등을 재생산한다 60

1-4. 재난 상황에서 약자는 새롭게 구성된다 61

2. 재난 이후에 시작되는 재난, 차별과 혐오 64

2-1. 재난 대응 속에 스며든 차별 64

2-2. 재난피해자를 혐오하다 69

2-3. 차별과 혐오가 할퀴고 간 자리 73

3. 재난의 경험을 이해한다는 것 78

3-1. 왜 존엄을 기준으로 접근해야 하는가 78

3-2. 재난 피해자의 시간은 어떻게 흐르나 83

4. 재난 피해자의 권리 90

4-1. 재난 피해자는 과연 누구인가 90

4-2. 왜 피해자의 권리를 말해야 하는가 100

4-3. 재난 피해자의 권리란 무엇인가 101

4-4. 피해자 권리를 말할 때 기억해야 할 것들 106

5. 재난 공동체의 의미 다시 쓰기 110

5-1. '폐허'에서의 갈림길 110

5-2. 재난의 이중성, 애도의 가능성 117

6. 책임지는 국가 120

6-1. 사라진 국가, 무너진 신뢰 120

6-2. 재난, 국가의 존재 이유를 묻다 124

6-3. 한계 없는 국가 책임 126

7. 안전할 권리와 안전사회로 가는 길 130

7-1. 재난으로부터 안전할 권리 130

7-2. 안전할 권리의 시작 133

7-3. 안전을 약속하는 사회 137

3부 인간의 존엄을 질문하는 재난인권교육 144

1. 재난과 안전을 대하는 '공통감각'을 찾아서 145

1-1. 재난안전교육의 현황과 한계 145

1-2. 재난'안전'교육에서 재난'인권'교육으로 152

1-3. 재난인권교육이 추구하는 역량과 공통감각 155

2. 재난인권교육 구성을 위한 징검다리 162

2-1. 재난을 읽을 때의 함정 피하기 162

2-2. 시민의 자세를 제안할 때의 함정 피하기 174

4부 재난인권교육으로 가는 길 찾기 189

1. 재난인권교육, 어떻게 기획할 것인가 190

1-1. 재난인권교육을 짜다 : 기획의 파노라마 190

1-2. 재난인권교육을 짓다 : 기획의 실제 199

1-3. 재난인권교육을 채우다 : 서사의 힘 211

2. 재난인권교육, 어떻게 확장할 것인가 214

2-1. 기존 인권교육 현장에 접목하기 214

2-2. 우선 필요집단 대상 교육 발굴하기 217

3. 재난인권 교육가를 위한 나침반 231

재난인권교육을 여는 길목에서 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