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26
Part Ⅰ. 바이러스 간염 관리 총론 30
1. 개요 31
2. 발생 현황 32
3. 기관별 역할 37
4. 감시체계 38
5. 역학조사 48
6. 진단 및 실험실 검사 52
7. 환자 및 접촉자ㆍ노출자 관리 55
Part Ⅱ. 바이러스 간염 각론 57
제1장 A형간염 58
1. 개요 59
2. 발생 현황 62
3. 감시 65
4. 역학조사 66
5. 진단 및 실험실 검사 69
6. 치료 69
7. 환자 및 접촉자 관리 70
8. 치료의 방법 및 비용지원 75
9. 예방 80
10. 방역 관리 83
11. Q&A 85
제2장 E형간염 87
1. 개요 88
2. 발생 현황 92
3. 감시 95
4. 역학조사 96
5. 진단 및 실험실 검사 99
6. 치료 99
7. 환자 및 접촉자 관리 100
8. 예방 102
9. 방역 관리 103
10. Q&A 104
제3장 B형간염 106
1. 개요 107
2. 발생 현황 110
3. 감시 113
4. 역학조사 114
5. 진단 및 실험실 검사 115
6. 치료 116
7. 환자 및 노출자 관리 116
8. 예방 119
9. D형간염 개요 121
10. Q&A 124
제4장 C형간염 126
1. 개요 127
2. 발생 현황 131
3. 감시 134
4. 역학조사 135
5. 진단 및 실험실 검사 136
6. 치료 137
7. 환자 및 노출자 관리 138
8. 예방 140
9. Q&A 141
Part Ⅲ. 서식 146
[서식 1] 감염병 (발생, 사망(검안)) 신고서 147
[서식 2] 병원체 검사결과 신고서 151
[서식 3] 감염병환자등의 명부 152
[서식 4] 비상응소훈련 실시 결과 153
[서식 5] 검체시험의뢰서(질병관리청 의뢰) 154
[서식 6] 환경검체시험의뢰서(시ㆍ도 보건환경연구원 의뢰) 155
[서식 7] 입원(격리) 통지서 157
[서식 8] 입원(격리)비용 신청서 158
[서식 9] 역학조사 사전 고지문 159
[서식 10] 사망사례 역학조사 결과보고서 (예시) 160
[서식 11] A형간염 역학조사서 161
[서식 12] E형간염 역학조사서 170
[서식 13] 수인성ㆍ식품매개감염병 신고접수양식(시ㆍ군ㆍ구 보건소용) 178
[서식 14] 수인성ㆍ식품매개감염병 역학조사서 179
[서식 15] 수인성ㆍ식품매개감염병 역학조사서(식품생산ㆍ가공ㆍ조리자용) 182
[서식 16] 수인성ㆍ식품매개감염병 검사 의뢰서 185
[서식 17] 가정통신문_학교용 (예시) 186
[서식 18] 결과보고서 평가 결과 환류 양식 188
[서식 19] B형간염 역학조사서 189
[서식 20] C형간염 역학조사서 194
[서식 21] 의료 관련 C형간염 기초조사서 200
[서식 22] C형간염 심층설문조사서(사례판정용) 202
[서식 23] 집단발생 역학조사 결과보고서 216
[서식 24] C형간염 확진검사비 지원 신청서 218
Part Ⅳ. 참고 219
[참고 1] MacMahon의 원인적 연관성 결정 요소 220
[참고 2] 수인성ㆍ식품매개감염병 집단발생 역학조사 결과보고서 평가 체크리스트 221
[참고 3] 자주하는 질문 223
[참고 4] 감염병별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225
[참고 5] 바이러스 간염 홍보ㆍ교육자료 226
Part Ⅴ. 부록 234
[부록 1] 감염병 환자등의 신고방법 235
[부록 2] 검체 채취 및 실험실 검사 243
[부록 3] AㆍE형 간염 규모별 역학조사 방법 248
[부록 4] 의료관련 C형간염 집단발생 역학조사 280
[부록 5] 제1차 바이러스 간염(B형ㆍC형) 관리 기본계획(2023~2027) 291
[부록 6] C형간염 국가건강검진 사후관리 294
판권기 298
〈표 1〉 최근 5년간 바이러스 간염 발생 현황 32
〈표 2〉 최근 5년간 월별 A형간염 발생 현황 33
〈표 3〉 시도별 A형간염 발생 현황 33
〈표 4〉 최근 5년간 월별 E형간염 발생 현황 34
〈표 5〉 시도별 E형간염 발생 현황 34
〈표 6〉 최근 5년간 월별 B형간염 발생 현황 35
〈표 7〉 시도별 B형간염 발생 현황 35
〈표 8〉 최근 5년간 월별 C형간염 발생 현황 36
〈표 9〉 시도별 C형간염 발생 현황 36
〈표 10〉 바이러스 간염 유형별 신고범위 38
〈표 11〉 바이러스 간염 유형별 역학조사 대상 48
〈표 12〉 유행상황 등에 따른 역학조사 주관기관 49
〈표 13〉 바이러스 간염 유형별 역학조사 실시기준 50
〈표 14〉 전반적인 역학조사 내용 51
〈표 15〉 법정감염병 원인병원체 검사법 및 검사기관 현황('24.1월 기준) 54
〈표 16〉 바이러스 간염 유형별 잠복기, 전염기간 및 환자관리방법 55
〈표 17〉 바이러스 간염 유형별 접촉자ㆍ노출자 관리대상 및 관리방법 56
〈표 18〉 A형간염 내용 요약 58
〈표 19〉 연도별 A형간염 발생 현황 63
〈표 20〉 연도별ㆍ지역별 A형간염 발생 현황 64
〈표 21〉 A형간염 바이러스 노출 후 예방조치 72
〈표 22〉 소속국적별 외국인 지원 범위 76
〈표 23〉 A형간염 백신의 접종용량 및 방법 81
〈표 24〉 A형간염 바이러스 노출 전 예방조치 기준 82
〈표 25〉 감염병별 소독방법 83
〈표 26〉 E형간염 내용 요약 87
〈표 27〉 E형간염 유전자형별 특성 88
〈표 28〉 연도별 E형간염 발생 현황 93
〈표 29〉 연도별ㆍ지역별 E형간염 발생 현황 94
〈표 30〉 B형간염 내용 요약 106
〈표 31〉 노출된 체액 및 노출 유형에 따른 B형간염 감염 위험도 108
〈표 32〉 연도별 급성 B형간염 발생 현황 111
〈표 33〉 연도별ㆍ지역별 급성 B형간염 발생 현황 112
〈표 34〉 항원 항체 검출 결과에 따른 B형간염 판정 기준 115
〈표 35〉 의료인이 직업적으로 혈액 및 체액에 경피 또는 점막 노출된 때 117
〈표 36〉 비직업적으로 혈액 및 체액에 경피 또는 점막 노출된 때의 HBV에 대한 권장 예방 조치 118
〈표 37〉 C형간염 내용 요약 126
〈표 38〉 연도별 C형간염 발생 현황 133
〈표 39〉 연도별ㆍ지역별 C형간염 발생 현황 133
[그림 1] 최근 5년간 바이러스 간염 발생 현황 32
[그림 2] A형간염 시도별 인구 10만명당 조발생률(2020~2024) 33
[그림 3] E형간염 시도별 인구 10만명당 조발생률(2020~2024) 34
[그림 4] B형간염 시도별 인구 10만명당 조발생률(2020~2024) 35
[그림 5] C형간염 시도별 인구 10만명당 조발생률(2020~2024) 36
[그림 6] 비상방역체계 운영 시 신고(보고) 절차 46
[그림 7] 법정감염병 검사의뢰 및 환류 흐름도 52
[그림 8] A형간염 바이러스 배출과 검출시기 및 임상양상과의 관계 61
[그림 9] 국가별 A형 간염에 대한 인구 면역 형성의 중간연령(AMPI) 추정치 62
[그림 10] E형간염 바이러스 배출과 항체 검출시기 및 임상양상과의 관계 91
[그림 11] 급성 B형간염 바이러스 배출과 항체 검출시기 및 임상양상과의 관계 109
[그림 12] 2023년 국가별 B형 간염 유병률(HBsAg표면항원 양성률) 비교 110
[그림 13] 전세계 D형간염 항체양성률 분포 122
[그림 14] 급성 C형간염 바이러스 배출과 항체 검출시기 및 임상양상과의 관계 129
[그림 15] 2023년 기준 국가별 C형간염 유병률 비교 131
[그림 16] HCV 감염 확인을 위한 검사 136
[그림 17] C형간염의 노출자 조치 139
참고그림목차 226
[그림 1] BㆍC형간염 홍보지(리플릿) 226
[그림 2] 바이러스 간염(A, E, B, C형) 카드뉴스 227
[그림 3] 바이러스 간염(A, E, B, C형) 카드뉴스 228
[그림 4] C형간염 항체검사 국가건강검진 도입 카드뉴스 229
[그림 5] 간염관리 기본계획 카드뉴스 230
[그림 6] 바이러스 간염 한눈에 보기 포스터 231
[그림 7] 수인성ㆍ식품매개감염병 예방수칙 232
[그림 8] 올바른 손 씻기 233
부록표목차 244
[부록 2] 검체 채취 및 실험실 검사 244
〈표 1〉 인체 검체 검사항목 244
[부록 3] AㆍE형 간염 규모별 역학조사 방법 250
〈표 1〉 출동 키트 품목(사례 100명 조사 기준, 권장안) 250
〈표 2〉 유행 역학조사 시 자주 발생하는 오류 및 주의점 259
〈표 3〉 바이러스 유행 수인성ㆍ식품매개감염병의 유행 원인병원체 진단기준 265
〈표 4〉 유행의 원인병원체 판단기준 266
〈표 5〉 유행의 감염원 판단기준 266
〈표 6〉 유행의 감염원 판단기준 세부 내용 266
〈표 7〉 인체 검체 검사항목 271
〈표 8〉 발생 개요표 양식 273
〈표 9〉 후향적 코호트 조사:상대위험도(RR, Relative Risk) 제시 275
〈표 10〉 환자-대조군 조사:오즈비(OR, Odds Ratio) 제시 275
부록그림목차 245
[부록 2] 검체 채취 및 실험실 검사 246
[그림 1] 대변 검체 채취방법 245
[그림 2] 직장도말 검체 채취방법 246
[부록 3] AㆍE형 간염 규모별 역학조사 방법 248
[그림 1] 역학조사 및 관리 절차 248
[그림 2] 역학조사 업무 흐름 253
[그림 3] 역학조사 조사디자인 258
[그림 4] 주관 보건소 결정 체계 260
[그림 5] 유행여부 판단 체계 267
[그림 6] 결과보고서 보고 체계 269
[부록 5] 제1차 바이러스 간염(B형ㆍC형) 관리 기본계획(2023~2027) 293
[그림 1] 제1차 바이러스 간염(B형ㆍC형) 관리 기본계획 비전ㆍ추진전략ㆍ세부과제 293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