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수학 교육 사상 1.1 수학의 교육적 가치 2 1.2 수학 교육 사상의 원류 9 1.3 수학 교육과 민주 사회의 합리성 추구 11
제2장 초등 수학 교육의 발달 2.1 산수 교육의 시작 22 2.2 19세기의 수학 교육 26 2.3 20세기 전반의 수학 교육 31 2.4 20세기 후반의 수학 교육 36 2.5 우리나 초등 수학 교육의 발달 41
제3장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변천 3.1 제1차 교육과정:생활 단원 학습 중심 50 3.2 제2차 교육과정:계통 학습 중심 52 3.3 제3차 교육과정:수학 교육의 현대화 54 3.4 제4차 교육과정:현대화의 반성, 문제 해결력 중시 57 3.5 제5차 교육과정:문제 해결력과 기초 학력 중시 62 3.6 제6차 교육과정:문제 해결력, 기초 기능의 중시, 컴퓨터의 활용 65 3.7 제7차 교육과정:학생 중심, 수준별 교육과정 68 3.8 2007 개정 교육과정 72 3.9 2009 개정 교육과정 76 3.10 2015 개정 교육과정 82 3.11 2022 개정 교육과정 88
제4장 자극 반응 이론과 수학 학습 4.1 손다이크: 효과의 법칙 99 4.2 스키너:강화 이론과 프로그램 학습 103 4.3 가네:학습 내용과 조직 109
제5장 통찰론과 수학 학습 5.1 형태심리학 122 5.2 베르트하이머: 생산적 사고 124 5.3 수학에서의 발견-발명의 사고 과정 127 5.4 브라우넬:의미 충실한 수학 학습 132
제6장 발견 방법과 수학 학습 6.1 소크라테스 대화법 138 6.2 브루너 150 6.3 오수벨 158
초등학교 교사들에게 필요한 수학교육 이론을 정리함과 동시에 그러한 학문적 배경에 포함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가지 이론들을 모아 나열하였다. 현재로서는 밀접한 연관이 없어 보이는 이론들이지만 이 이론들을 응용하여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를 거듭하고 이론들에 대한 비판과 평가가 다듬어지면 차츰 일관성 있는 초등수학교육론이 완성될 것이다. 제3판에서는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개정 배경과 특징을 설명하고, 그에 따른 교과서의 실제적 변화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