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 발간에 부쳐 - 5
■ 수록 원고 출처 - 8

제1부 변화하는 서사, 변형된 세계: 이론적 탐색
1. 공간의 토포스와 서사의 토폴로지-뉴미디어 시대의 공간 담론과 자아의 매체성 | 김영룡 ... 13
2. 기술의 발전과 리터러시 변화 | 이유미 ... 37
3. 디지털 인문학과 영미문학 연구 | 김용수 ... 59
4. 포스트디지털 시대의 문학과 서사: 디지털 미디어와 공간적 스토리텔링 | 조성경 ... 85

제2부 뉴미디어 시대의 이야기들
5. 뉴 미디어 시대의 전자 문학과 키네틱 인터랙티브 디지털 시 | 김사영 ... 109
6. 메타버스에 대한 두 가지 상상 | 김예리 ... 135
7. 미국 남서부와 생명공학-치카노/나 사이버펑크 서사의 상상력들 | 김명성 ... 157
8. 시대착오적인 인물들과 대항 서사를 통한 체제 전복적인 양식으로서의 만화-프레드 챠오의 「쟈니 히로」를 중심으로 | 이진 ... 173
9. D. H. 로렌스의 「섬을 사랑한 사나이」와 〈심시티〉 비디오게임 | 장성진 ... 191

■ 편저자 소개 - 209

이용현황보기

디지털 시대의 이야기들 : 뉴미디어와 현대 서사의 진화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79538 820.9 -25-4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0003179539 820.9 -25-4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본 총서는 기술의 발달에 수반된 서사 형식의 변화를 고찰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되었다. 소셜 미디어로 사람들 간의 소통은 훨씬 즉각적이고 다감각화되었고, OTT(Over-The- Top) 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는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정보를 소비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사용자 생성 콘텐츠(User Generated Content)는 일반 사용자가 방송을 기획하고 제작할 수 있는 시대를 열었다. 21세기의 서사는 기술 발달과 더불어 예측하기 어려운 방식으로 생산되고 소비된다.
전통적인 매체 경험이 전환되는 바로 이 지점에서 보편화되기 시작한 용어가 뉴미디어이다. 뉴미디어는 지역 라디오 방송이나 아날로그 인터랙티브 예술, 공공예술 프로젝트, 독립출판, 그래픽 노블 등 전통적인 매체와는 다른 방식으로 정보를 생산, 유통, 소비하는 모든 형태의 매체와 예술 형식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본 총서는 이처럼 변화한 매체 경험을 살펴보고, 무엇보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서사 문화가 진화하는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만화와 온라인 게임, 인터랙티브 영화, 온라인 스트리밍 플랫폼, 소셜 미디어, 디지털 미디어 아트 등 디지털 형식의 서사 매체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질 본 총서에서는 뉴미디어가 재현하는 서사들이 기존의 서사들과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차이점들이 영미권 서사 전통 속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아울러, 뉴미디어 서사가 개인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방식, 그리고 이로 인해 생겨나는 윤리적이고 사회적인 쟁점들을 점검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