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11
국문요약 5
Executive Summary 8
Ⅰ. 서론 19
Ⅱ. HDP Nexus 접근방식에 대한 이해 23
1. HDP Nexus 접근방식 정의 23
2. HDP Nexus의 세가지 필러 26
1) 인도적 지원 (Humanitarian Aid) 27
2) 개발 지원 27
3) 평화 구축 (Peacebuilding) 28
3. HDP Nexus 필러간 관계 및 Nexus의 주요 진입지점 32
4. HDP Nexus 기본원칙 및 조정 메커니즘 개념 33
1) 3대 핵심주제와 11개 원칙 33
2) 조정 메커니즘(coordination mechanism) 34
5. 새로운 일하는 방식(New Way of Working)으로서의 HDP Nexus: 창발성(Emergence) 38
Ⅲ. 타 공여국들의 실제 HDP Nexus 이행 평가 40
1. 조정(Coordination) 43
1) 원칙1: 공동 리스크 기반 분석 43
2) 원칙2: 리더십을 통한 조정 강화 44
3) 원칙3: 정치적 참여와 평화 구축 44
2. 프로그래밍(Programming) 46
1) 원칙4: 예방 및 평화 구축 우선 46
2) 원칙5: 사람 중심 접근 47
3) 원칙6: Do no harm 원칙 48
4) 원칙7: 위험 환경에 맞춘 공동 프로그래밍 조정 49
5) 원칙8: 국가 및 현지 역량 강화 50
6) 원칙9: 인도적, 개발 및 평화 행동 전반의 학습 및 증거 투자 51
3. 자금조달(Financing) 52
1) 원칙10: 증거 기반 재정 전략 수립 52
2) 원칙11: 예측가능하고 유연한 다년도 자금지원 53
4. 소결 54
Ⅳ. HDP Nexus 사업 설계 프로세스 56
1. HDP Nexus 설계 프로세스 개요 56
2. 준비 및 상황 분석 단계 58
1) 분석 단계별 주요 내용 58
2) 주요 공여국의 분석 도구 활용 사례 61
3. 계획 수립 단계 63
1) 융합 지역(convergence area) 선정 63
2) 공동 성과 설정 67
3) 조정메커니즘 구축 67
4) 재원 동원 계획 수립 80
4. HDP Nexus 사업 설계 관련 주요 도전과제 81
1) 기관 간 조정 메커니즘의 도전과제 81
2) 기관 내 조정 메커니즘의 도전과제 81
3) 데이터 분석 및 정보 관리의 도전과제 83
4) 신뢰 구축과 책임성의 도전과제 83
Ⅴ. 프로그래밍 및 자금조달 관련 핵심 고려 사항 84
1. 프로그래밍(Programming) 84
1) 프로그래밍의 기본 원칙과 특성 84
2) 국가별 혁신적 이행 사례 86
3) 프로그래밍 개선을 위한 과제와 발전 방향 90
2. 자금조달(Financing) 92
1) HDP Nexus를 위한 혁신적 자금 모델 92
2) 주요 공여기관의 접근사례 96
3. 주요 도전과제 102
1) 프로그래밍 관련 도전과제 102
2) 자금조달 관련 도전과제 103
Ⅵ. DR콩고 HDP Nexus 사례: 사업 설계 단계별 검토 및 고려사항 104
1. DR콩고 HDP Nexus 사업 개요 104
2. 조정 메커니즘과 리더십 110
1) 체계적인 조정 메커니즘 구조 110
2) 주요 리더십 (leadership) 114
3. HDP nexus 기반 사업 설계 주요 프로세스 117
1) 공동 분석 및 분석 공유(Joint Analysis and Sharing of Analysis) 117
2) 공동성과(collective outcomes) 설정 118
3) 통합계획 및 프로그램(Jointed-up Planning and programming) 118
4) 자금조달(Financing) 및 지리적 융합(convergence area) 계획 수립 119
4. 주요 성공 요인 및 도전과제 121
1) 주요 성공요인 121
2) 주요 도전과제(challenges) 123
Ⅶ. KOICA의 HDP Nexus 적용현황 127
1. 전략적 대응 과정 127
2. KOICA 주요 전략 대응 세부 내용 분석 130
1) 우리 정부의 인도적 지원 전략 개정(안)(2019, 외교부) 130
2) 인도적 지원-개발-평화 연계 이행 전략(안)(2021, 외교부) 133
3) KOICA 대응 과정 136
3. 소결 147
Ⅷ. 결론 및 시사점 151
1. 결론 151
1) HDP Nexus 개념에 대한 본질적 이해의 중요성 151
2) 평화필러(Peace pillar)의 정의와 실행 전략의 중요성 152
3) 사업 설계 초기 단계에서의 통합적 접근의 중요성 153
4) 유연하고 예측가능한 재원 조성의 중요성 157
2. KOICA에 대한 시사점 159
1) HDP Nexus에 대한 기관 차원에서의 합의된 정의 도출 필요 159
2) 평화 개념에 대한 합의된 정의 필요 160
3) 기존 조정메커니즘에 참여를 통한 진입지점 모색 필요 161
4) KOICA 본부 및 주요 해외사무소 내 넥서스 전담 인력 배치 필요성 162
5) 기관 내부적 넥서스 운영 역량 강화 필요 164
6) 분석의 체계화 방안 마련 필요 165
7) 타겟화된 전략적 재원 조달 방안 및 혁신적 재원 조달 방안 필요 166
3. 종합 제언: HDP Nexus 시그니처 사업의 주요 개선방안 제언 168
1) 국별협력사업 HDP Nexus 시범사업 발굴 168
2) KOICA 분쟁 및 취약국 지원 사업 계획 개선방안 169
참고문헌 171
[부록 1] 주요 공여국별 HDP Nexus 관련 이행 문서 수립 현황 177
[부록 2] HDP nexus 접근방식 적용 실제 가이드라인 및 지침 사례 178
[부록 3] 주요 공여기관별 HDP nexus 시범사례 운영 현황 184
[부록 4] HDP Nexus 파일럿 국가별 공동성과 설정 현황(OECD, 2022) 185
[부록 5] Sida의 HDP nexus 시범 사업 명단 187
[부록 6] 노르웨이 외교부의 HDP Nexus 접근방식 이행을 위한 체크리스트 189
[부록 7] 주요 공여국의 HDP Nexus 접근방식의 실제 적용 사례 분석 보이스아이코드 190
판권기 191
[그림 Ⅱ-1] HDP Nexus 개념도 25
[그림 Ⅱ-2] 조정(coordination) 수준 35
[그림 Ⅱ-3] 조정 구조 (Coordination Structure) 36
[그림 Ⅲ-1] Nexus 시범사업 대상 주요 공동목표 주제(Thematic area) 43
[그림 Ⅳ-1] 조정 메커니즘의 주요 구성 및 고려사항 68
[그림 Ⅵ-1] DR콩고 내 주요 조정 메커니즘간 작동 110
부록표목차 15
〈부록 표 2-1〉 UN-IASC의 HDP Nexus 접근방식의 공동 성과 도출 및 운영을 위한 8단계 프레임워크 179
〈부록 표 2-2〉 덴마크의 HDP nexus 접근방식의 형성 단계 182
부록그림목차 16
[부록 그림 2-1] 융합 지역(Convergnece areas) 내 HDP Nexus 이행 프로세스 181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