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머리말 4

제1부 동아시아와 그 너머 세계의 인두법
제1장 한국 종두법의 발전과 의학 기술의 문제 20
제2장 동아시아 종두 지식의 수용과 변용 46
제3장 일본 에도시대 두창 유행과 인두법 80
제4장 런던과 보스턴의 인두 접종 지식과 기술 도입 다시보기 110

제2부 동아시아의 우두법 도입과 발전
제5장 개항 이후 한국의 우두법 도입과 의학 지식 네트워크 144
제6장 청말 의료선교사의 눈으로 본 중국의 두창과 종두법 176
제7장 19세기 일본 종두사업의 제도화 204
제8장 19~20세기 우두법 연구와 글로벌 관점의 유용성 236

제3부 동아시아의 두창 유행과 관민의 대응
제9장 식민지 조선의 두창 유행과 관민의 대응 270
제10장 상하이 공공조계 우두 접종과 거주민의 반응 306
제11장 1920~1930년대 상하이와 베이징의 두창 방역 356
제12장 1930~1940년대 베이징의 두창 유행과 방역행정의 변화 388
제13장 일본 점령기 상하이의 두창 대유행과 우두 접종의 보편화 420

참고문헌 448
찾아보기 469

이용현황보기

동아시아, 두창에 맞서다 : 두창 유행과 백신 개발의 역사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79783 610.95 -25-1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0003179784 610.95 -25-1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동아시아에서는 두창이라는 감염병을 어떻게 성공적으로 방역했을까

두창은 기원전 1157년 람세스 5세의 미라에서 흔적을 발견할 수 있을 정도로 인류 사회에 오랫동안 고통을 안겨주었다. 1520년 에르난 코르테스(Hernan Cortes)가 이끄는 스페인 함대가 신대륙에 상륙하여 전멸 위기에 놓였을 때 테노치티틀란(현 멕시코시티)에서 발생한 두창은 이에 대한 면역력이 없었던 아즈텍 문명의 몰락을 가져올 정도로 파괴력을 가진 질병이었다.
이처럼 두창은 두려운 질병 중 하나였기 때문에 두창의 유행, 그것을 예방하기 위한 예방 접종의 전파와 확산에 대해서 연구자들이 많은 관심을 쏟아왔다. 특히 한국은 중국과 육로로 연결되어 있고, 일본과도 바다를 사이에 두고 인접하여 인적·물적 교류의 중심지였으며, 의학 지식과 기술의 통로가 될 수 있었다. 한국에서 종두법 연구는 서양의학 도입사의 시각에서 동아시아의 근대화와 관련된 핵심적인 주제 중의 하나였다. 특히 우두법은 서양의학과 동일시되었으며 일본은 식민 통치의 우수성을 보여 주는 사례로서 우두법을 선전하기도 했다. 그러다 보니 인두법은 감염 위험이 크고 상대적으로 낙후된 접종법으로 간주되었으며, 지석영의 우두법 보급을 위한 노력과 일제의 두창 방역의 성과가 주목받기도 하였다.
이 책은 동아시아에서의 우두법 도입과 확산에서 한·중·일의 차이가 생긴 배경과 의료 환경의 차이가 한·중·일 우두법 보급과 확산에서 차이를 가져온 과정을 분석한다. 한·중·일의 사례를 중심으로 종두법에 관한 기존 연구를 검토하고, 동아시아에서 두창과 종두법의 문제를 새로운 시각에서 다룬다.
이 책은 총 13편의 글을 실었다. 제1부에서는 동서양의 인두법에 대해 다룬다. 제2부에서는 동아시아에서의 우두법의 보급과 관련된 도전과 한계 그리고 성공적인 백신 접종 과정을 살펴본다. 제3부에서는 한·중·일의 두창 유행과 관민의 대응에 초점을 맞추었다.
또한 이 책은 동아시아에서 우두법의 보급과 확산이 진행되던 시기의 다른 지역에서 진행된 우두법 역사의 전개를 정리하고 있어 동아시아 우두법의 역사를 보다 거시적으로 지리적·시대적 맥락 속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돕는다. 따라서 동아시아 우두법의 역사를 글로벌 관점에서 생각해 보고, 추후 우두법 연구사 발전의 향방을 고민해 보는 기회를 마련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