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3

1. 슈퍼폭염의 등장과 문제제기 4

01. 슈퍼폭염의 개념과 대비 필요성 5

2. 슈퍼폭염의 발생 가능성 9

01. 국내외 폭염 발생 현황 10

02. 미래 기후변화에 의한 슈퍼폭염 발생 가능성 17

3. 슈퍼폭염의 영향 예측 24

01. 개인 및 사회경제적 영향 예측 25

02. 도시 인프라에 미치는 영향 예측 39

03. 경제ㆍ산업 분야에 미치는 영향 예측 52

04. 보건 분야에 미치는 영향 예측 65

4. 슈퍼폭염 대응을 위한 정책 방향 75

01. 기후환경 정책 방향 76

02. 도시 인프라 구조적 대책 방향 81

03. 경제ㆍ산업 분야 대응 방향 120

04. 보건정책의 대응 방향 123

5. 종합대책 및 도전과제 127

01. 슈퍼폭염에 대한 구조ㆍ비구조 종합 대책 128

02. 주요 쟁점과 도전과제 133

참고문헌 137

판권기 148

표목차 19

표 1. SSP 표준 4종 시나리오 19

표 2. 국내 건강부문 기후변화 영향 연구 사례 26

표 3. 국외 건강부문 기후변화 영향 연구 사례 27

표 4. 부문별 폭염의 직ㆍ간접 영향 34

표 5. 폭염의 건강영향에 따른 사회ㆍ경제적 손실 36

표 6. 기후변화의 근로자에 대한 영향 55

표 7. 폭염 취약 직종 57

표 8. 폭염 취약 직종과 비취약 직종의 민감도와 역량 차이 58

표 9. ISO 7243 과 NIOHS WBGT 폭염 노출 기준 60

표 10. 고온위험 노출집단과 비노출집단 간 임금격차 64

표 11. 기상청의 폭염 경보 기준 76

표 12. 폭염특보 단계별 발령기준 77

표 13. 폭염 대응을 위한 도시계획 정책 82

표 14. 도시 숲 조성 정책의 도시계획 요소별 온도저감 효과 85

표 15. 바람길(숲) 조성 정책의 도시계획 요소별 온도저감 효과 88

표 16. 그늘막 및 그늘목 설치 정책의 도시계획 요소별 온도저감 효과 89

표 17. 수경시설 설치 정책의 도시계획 요소별 온도저감 효과 91

표 18. 쿨링포그 설치 정책의 도시계획 요소별 온도저감 효과 92

표 19. 쿨링로드 운영 정책의 도시계획 요소별 온도저감 효과 95

표 20. 도로 물청소-살수차 동원 정책의 도시계획 요소별 온도저감 효과 96

표 21. 차열성 도로포장 정책의 도시계획 요소별 온도저감 효과 98

표 22. 쿨루프 조성 정책의 도시계획 요소별 온도저감 효과 101

표 23. 벽면ㆍ옥상녹화 정책의 도시계획 요소별 온도저감 효과 103

표 24. 도시계획적 정책별 온도저감 효과 범위 106

표 25. 자연재해 원인에 따른 탄력성 향상을 위한 공간 위계별 설계 적용 기준안 108

표 26. 제 3차 국가 기후위기 적응 강화대책[2023~2025] 세부시행계획 - 폭염 대응 정책 관련 110

표 27. 2024~2040년 폭염 적응을 위한 대응 계획: 건축 환경, 인프라, 및 공간을 대상으로 112

표 28. 기후변화 대비 폭염재난 상황판단 및 대응체계 고도화 연구에서 기획한 대책 115

표 29. 미래 극한 폭염 대응을 위한 다섯 가지 주요 영역 116

그림목차 10

그림 1. 연도별 폭염일수 및 최고기온 10

그림 2. 폭염일수와 온열질환 발생자 수 변화 11

그림 3. 2022년 유럽과 영국의 지표면 최고온도 분포 12

그림 4. 열돔 현상 모식도 13

그림 5. 우리나라 AWS (Automatic Weather System, 이하 AWS) 관측 및 모 격자별 모형의 여름철 기온 확률분포(2000~2019) 14

그림 6. 현재(2021)와 산업화 이전 폭염의 발생빈도와 강도 비교 14

그림 7. 기온 2℃ 상승시와 현재의 폭염 발생 빈도 및 강도 비교 15

그림 8. 미래 슈퍼폭염 발생 예측 15

그림 9. 시나리오별 미래 기온 상승폭과 40℃ 및 55℃ 이상의 슈퍼폭염 발생 확률 16

그림 10. 아프리카 지역의 미래 최고 기온 예측값의 확률분포 16

그림 11. 기후변화 적응 및 완화 노력에 따른 공통사회경제경로(SSP)의 구분 18

그림 12. 과거(1960~2005) 및 미래(2006~2100)에 대한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온실가스 배출 경로 19

그림 13. 기후변화 시나리오 생산체계(전지구(135㎞) → 동아시아(25㎞) → 남한상세(1㎞)) 20

그림 14. 기후변화 시나리오 구축 현황 20

그림 15. SSP 시나리오별, GCM별 2100년까지의 연평균기온 전망 결과 21

그림 16. SSP 시나리오별, GCM별 2100년까지의 연평균기온 전망 결과 22

그림 17. SSP 시나리오별 (a)일최고기온연최댓값 변화량, (b)일최저기온연최솟값 변화량 22

그림 18. SSP 시나리오별 (a)일최고기온연최댓값 변화량, (b)일최저기온연최솟값 변화량 23

그림 19. 최고기온과 온열질환 발생자 수 27

그림 20. 연도별 노동력 감소 추정 29

그림 21. WBGT에 따른 야외노동자(건설업 및 농업 종사자)의 작업역량 변화 30

그림 22. 기후변화로 인한 시나리오별 WBGT 변화 30

그림 23. 기후변화로 인한 시나리오별 근로역량 변화 31

그림 24. 기후변화와 상호 연관이 있는 사회경제적 분야 31

그림 25. 온도에 따른 복합영역 리스크 지도 32

그림 26. 폭염의 직ㆍ간접 영향 33

그림 27. 데이터 기반 폭염의 직간접 영향 분석 결과 33

그림 28. 2018년 최고기온 40℃ 초과 지역 35

그림 29. 2018년 폭염피해 35

그림 30. 인도와 파키스탄의 봄철기온의 비정상성 37

그림 31. 2021년 태평양 북동부의 폭염 기온 38

그림 32. 해양 생물에 대한 폭염 영향 38

그림 33. 연평균 기온과 연간 전력 소비량 간의 상관관계 42

그림 34. 일 최대 전력 수요량의 백분위수(X축)에 따른 국가 평균 기온(Tkor)과의 상관계수(Y축) 변화 44

그림 35. 상위 20% 전력 수요 예측을 위한 회귀 방정식 44

그림 36. 단ㆍ장기적으로 기온상승이 전력수요에 미치는 영향과 미래의 기온과 가정용 전력수요 간의 악순환 45

그림 37. 2018년 경기도 안산의 서해안 고속도로에서 발생한 도로 균열 47

그림 38. 각 지역별 시계열 및 배출 시나리오별 비용 50

그림 39. 체감온도 지표(WBGT)와 작업역량(Watts) 간 관계 60

그림 40. RCP 8.5 시나리오 하에서 기온 상승에 따른 WBGT 및 작업역량 변화 61

그림 41. 폭염에 따른 지역별 작업량 변화의 공간적 군집 62

그림 42. 기후변화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66

그림 43. 기상현상의 변화에 따른 건강 문제 67

그림 44. 민감계층과 비민감계층의 폭염에 따른 만성질환의 악화 경험 비교 68

그림 45. 민감계층과 비민감계층의 에어컨 사용 비교 69

그림 46. 폭염일수와 온열질환자 수 70

그림 47. 폭염 위험단계별 대응요령 79

그림 48. 산림청에서 조성한 '곰솔누리숲' 83

그림 49. 실제와 시뮬레이션을 통한 열 쾌적성 분석 결과 87

그림 50. 무더위 대비 스마트 그늘막 89

그림 51. 바닥분수 90

그림 52. 쿨링포그 91

그림 53. 쿨링포그 설치 유무에 따른 온도변화 92

그림 54. 마스다르의 윈드 타워 93

그림 55. 페르시아 시대의 고대 윈드캐처 93

그림 56. 쿨링로드 94

그림 57. 열섬 방지를 위한 살수차 운영 96

그림 58. 차열성 도로포장 시공 후의 모습 97

그림 59. 쿨루프 조성 모습 99

그림 60. 강남구 보건소 쿨루프 온도저감 효과 99

그림 61. 서울 돈의문박물관 마을 수직정원 102

그림 62. 지그재그 벽면의 개념적 모식도 104

그림 63. 3차원 차양이 열린 모습(왼쪽), 닫힌 모습(오른쪽) 104

그림 64. 쿠버페디 거주 공간 일부 109

그림 65. Arizona's Extreme Heat Preparedness Plan 114

그림 66. 행정안전부의 폭염 인명피해 판단기준 및 절차 124